배경지식은 독해의 전부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23685
안녕하세요. 소테리아의 길 입니다.
많은 학생이 ‘배경지식’을 단순히 읽고 외우는 과정으로 이해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배경지식 학습은 지식이 왜, 어떤 맥락에서 생겨났는지를 이해하는 사고의 틀을 세우는 일입니다. 예를 들어 서양 철학의 역사는 흔히 ‘이성과 감성’의 대립으로 설명됩니다. 그런데 그 대립의 뿌리를 더 깊이 들어가 보면, 그리스의 두 신 ― 아폴론과 디오니소스 ― 에서 출발합니다.
아폴론은 질서와 조화, 명료함의 상징이고, 디오니소스는 광란과 감정, 파괴의 상징입니다. 이 두 신의 대비가 바로 서양 철학 전반에 흐르는 이성과 감성의 근원적 대립 구도를 만들어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습니다. 과연 동양인의 시각에서 아폴론과 디오니소스의 세계관이 직관적으로 와닿을까? 혹은 너무 낯설고 추상적으로 느껴지진 않을까?
우리가 배우는 철학은 종종 “삶과 밀접하다”고 말하지만, 사실상 ‘그리스인들의 사고 체계’라는 렌즈를 통해 본 세계관을 배우는 셈입니다. 즉, 철학은 보편적 진리라기보다 특정 시대와 문화, 즉 그리스 문명의 ‘이성과 질서’ 중심적 사고가 반영된 학문입니다. 그렇기에 이후의 철학사 ― 중세, 근대, 현대 ― 는 결국 이 그리스적 사고 체계를 전복하려는 시도들의 역사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전복의 과정이 바로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이기도 합니다.
《문명》 교재에서 다루는 배경지식 세션은 단순히 지식을 쌓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그보다는 “왜 이 철학자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가?”를 스스로 묻고, 그 사유의 근거를 탐구하는 시간입니다.
<문명 교재 구입처>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395013
철학적 이해란 ‘정답 암기’가 아니라 사유의 연결망을 구축하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학생은 공자=인의 철학, 아리스토텔레스=형상과 질료, 톨스토이=도덕적 실천처럼 ‘공식’으로만 철학자를 외웁니다. 하지만 이런 학습으로는 사고력, 즉 생각하는 힘이 자라지 않습니다. 진정한 사고력은 서로 다른 지식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생겨납니다. 철학, 예술, 과학, 정치가 한 축 안에서 맞물려 돌아갈 때, 비로소 그 사람의 머릿속에 ‘지식의 구조’가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배경지식을 공부할 때는 ‘이 철학자의 사유는 어디서 출발했는가’를 중심으로 읽어야 합니다. 또한 같은 주제를 다루더라도 여러 철학자와 사상을 연결해보며, 시대적 변화와 전복의 흐름을 스스로 정리해보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유튜브에는 이미 훌륭한 철학 강의들이 많습니다. 굳이 제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한 주제를 정하고 여러 시각에서 탐구하며 서로 연결 짓는 힘을 기르는 것이 배경지식 학습의 핵심입니다. 결국 철학 공부란 ‘남의 생각을 외우는 일’이 아니라, ‘생각이 어떻게 생성되는가’를 이해하는 일입니다.
+ 아래는 작년 리트 수업을 수강했던 한 여학생의 ‘필기 노트’ 입니다. 이 학생은 법학 세션에서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을 학습했습니다.
그 사고의 뼈대가 바로 26년도 리트 1번 지문에서 출제되었습니다. 리트 문제에서 해당 개념의 ‘기표’(용어) 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사유의 구조는 완벽히 동일했다는 것입니다. 즉, 단어는 달랐지만 말하고자 하는 철학적 내용은 같았습니다.
많은 학생이 배경지식을 쌓을 때 ‘100명의 철학자’, ‘200개의 개념’을 외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오히려 그 반대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100명의 암기보다 중요한 것은 ‘30명의 제대로 된 연결’입니다. 즉, 모든 지식을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문명》 교재에 등장하는 30명의 사상가, 그들의 사유가 어떻게 시대와 철학을 이어왔는지를 ‘깊고 유기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30인의 사상만 온전히 내면화한다면, 그 위에 쌓이는 새로운 지식들은 결국 그들의 연장선 위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됩니다.
너무 쉬운 문제.
26년도 리트 지문 중 1번 관련 문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미 문명 교재에서 다루는 철학적 흐름을 학습한 학생이라면, 분석할 필요조차 없이 지문 구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결국 배경지식은 양이 아니라 구조입니다.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소테리아의 길 드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걸 보는 당신은 무슨 생각이 드는가?
-
1. 옵션 제로만기 시장 참여한다. 2. OTM penny 풋을 이빠이 산다. 3....
-
ㅈ목질 저격 1
@inseoul_med_plz
-
이거 정풀로 하려면 진짜 계산 특수 찾기 개빡센데 저거 직선들에 로그 루트 3씌우면...
-
그 날 이후로 친구 아버지가 이름바꿔주겠다고 하셨는데 역사에 남을 이름이다...
-
너이게이씨 그걸 수험생 커뮤에다
-
드디어 시간이 생겼다
-
오늘의저녁 0
새우구워먹기
-
공부해야지 0
-
ㅠㅠ 보고싶다
-
어려운축에 속하는거 맞죠? ㅜㅜ 이거
-
어느정도 나이 찬 이후로는 운다는 것 자체를 생각해본적 없어서 되게 어색한 듯 뭔가...
-
다맞히면된다이런거말고...
-
잘생겨도 학벌 별로면 별로일듯 배울점있는사람이좋음 몰라그냥 또래보다 연상이좋은데...
-
인강에서 불공정한 거래 행위 / 부당한 광고 공정거래법 / 표시광고법 이니까 첫문단...
-
아오
-
뭘해야될지 감도 안잡힘
-
진짜 말안됨 곧 프랭크오션 딴다
-
레어 4개 장착 완료 24
조유리 과기대 아주대 한의사전문의협회 제가 좋아하는 세가지와 싫어하는 한가지입니다
-
도와주셈 2
킬캠 풀껀데 IAMMUSIC VS K FLIP VS DONDA 뭐 들으면서할가
-
의대생누나랑사귀고싶다 12
하아
-
ㅅㄱ
-
엘니뇨때 동태평양에서 용승함에 따라 해수면이 하강하는데 태풍 주변에선 왜 용승함에...
-
치킨킹 빼고
-
잡담태그만 달면 되는거임?
-
존재하지않는 미래
-
공부든 뭐든 열심히 해야 됩니다
-
6번 28번 틀림 29 30은 맞힘
-
킬캠풀겨
-
새기름으로 교체 안한게 분명한듯 하 너무맛있다 미국에 기름 교체 50%만 하는...
-
만들면 재밌겠다 ㅋㅋㅋ
-
서프가요런느낌이던데 정체성혼란이오는중...
-
컨관 감없네 10
대유쾌마운틴 맞장구쳐주는 광고계정 왜 산화시킴 광 어게인
-
누나 친구들옴 창문열고 뛰어내리까
-
현재 고2 자퇴생이고요 정시로 의대 준비하고 있는데 원래는 물리 생명을 하다가...
-
다들 자욱있는 식사하세요
-
생기부 0
평가 해주실 분?
-
바지 옷 팬티 벗어서 대충 모아서 베고 잠 다 벗어야 그나마 뭘 베고 있는 느낌이 나더라고
-
영어단어는 2
어플이 편하냐 책이편하냐? 난 책?
-
어떠셨음 후기점요 생각해보니 잠6 공부15 기타3 하고...
-
문학은 있는거 그대로 끌고오면 되고 독서는 있는거 가공하면 되는데 화작 내용은...
-
여돌 고트 26
ㅇㅇ
-
오늘 개고생해서 1
웨이팅 해서 맛집 갔는데 그냥 그저 그랬음..
-
ㅈㄱㄴ
-
현실에서 토론할 친구 없어서 그런거 맞음 주제는 아무거나 ㄱㅊ
-
에 10
에
-
이미지 적어드림 31
아무도없으면 쫌서운할지도
-
그래야 점수가 안 꼬임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