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영어 지문의 본질을 깨달은 과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82764
이번 글에서는 제가 어쩌다가 이렇게
수능 영어를 연구하면서 살게 되었는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저는 어학 연수를 어릴 때 꽤 오래 다녀왔었습니다. (필리핀으로)
그래서 그런지 영어는 그냥 다 읽힙니다.
번역의 과정을 뛰어넘고 바로 그 문장이나 문단이 뭐라고 하는지가 와닿죠.
일단 이것 자체가 어학 연수를 어릴 때 다녀오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독해력을 키운 주요한 요인이 되었습니다.
그냥 보고, 받아들이고, 연결만 하면 되었기에
독해력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3 이었던 시절, 처음에 고1 모의고사를 풀었을 때 좋은 점수를 받지 못했었습니다.
저도 그 이유를 모르겠었습니다.
항상 나름 학군지라고 불리던 지역의 경쟁 치열하기로는 Top 3에 드는 중학교에서
영어만큼은 언제나 자신 있었던 저였지만,
고1 모의고사 점수는 그냥 70점 후반대, 운 좋으면 80점 초반대가 나왔었습니다.
(물론 유형이 익숙하지 않은 것도 작용하였겠지만, 직감적으로 그게 메인이 되는 원인은 아님을 알고 있었습니다)
남들에게 지기 싫어하는 제 성격상, 특히나 영어에서 남들에 비해 밀리니,
처음에는 좌절했었지만 나름 방법을 깨달으려고 많이 노력했었습니다.
(근데 또 성격은 고집이 매우 세서 학원 쌤들 말은 안 들었습니다 ㅋㅋㅋㅋ)
처음에는 샤프 안 대고 풀다가
어느 순간 샤프로 뭔가를 표기하며 푸는 게 생각 정리에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고,
처음에는 대충 대충 보다가 두 세번 읽던 걸
어느 순간 차분히, 조심스럽게 한 번만에 읽어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고1 모고 기준 고정 2등급은 나왔습니다.
단어도 부족한 걸 알아서 단어장 구매해서 미친듯이 외웠고요
(초딩 때 어학 연수 갔을 당시 하루에 단어 매일 400개 씩 외웠던 경험이 있어 빠르게 외우는 방법을 알고 있었습니다)
저희 지역이 학군지라 그런지
모두들 선행 학습에 대한 의욕이 매우 넘쳐났었습니다.
중2 때 조기졸업하여 과학고로 간 제 중딩 때 친구는
중1 때 미적을 보고 있었기도 했고요, 그런 친구들이 좀 많았었습니다.
여튼 그 분위기에 타서 그러한지는 모르겠으나,
고1 올라가서는 뭔가 수능에 자꾸 덤벼보고,
일반적으로 '영어 푸는 법'이라고 소개되는 '통념'스러운 것들에 개겨보기도 하면서
매우 반항아 적인 방식으로 영어를 공부했습니다.
말이 그렇지 사실 상 혼자 독학했습니다.
학원을 갔음에도 쌤 말은 안 듣고
인강을 사주셨음에도 영어만큼은 안 보고 (물론 레퍼런스 삼을만한 기출 해강은 듣긴 했습니다. 커리는 안 탔었습니다.)
평가원/교육청/경찰대/사관학교 기출, 고난도 영단어장, 구문 독해 책.
이것들만 가지고 끝까지 가보려고 했었습니다.
뭔가 자꾸 제 '자동적으로 발동하는 무의식 속 번역 능력'의 한계를 시험하는 것들이
고3 올라가면서 많이 보였습니다. (자이스토리 고난도 기출 / 천일문 완성 / 블랙라벨 1등급 보카 등)
이것조차도 이겨먹어야 직성이 풀릴 것 같아서
그냥 답지도 안 보고 제 자신의 생각이 답지가 될 것 같을 때까지 혼자 죽치고 앉아서
한 지문만 바라보기를 오래 했습니다.
그렇게 짬바가 좀 생기고
많은 지문을 보니 느껴지는 게 있습디다.
그게 제가 커뮤니티에 처음 쓴 칼럼의 주제인
통념에 대한 필자의 반박입니다.
또한, 도입 - 전개 - 결론 순으로 글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계속 분석하고 생각해보는,
'연구자'의 자세로 공부에 임했었습니다.
긴 문장은 어디를 잘라서 해석해야 가장 효과적일지
알아먹기 어려운 단어는 어떻게 추론해야 가장 정확할지
보기 문장만 보고 뒤에 올 문장을 어떻게 해야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을지 (이거는 그냥 많이 풀어보면 감으로 생기더군요)
등등
저도 정답을 모르겠는 주제를 두고
계속 고민하며 지문을 다뤘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렇게 되었네요.
영감이 되었으면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백 특) 12
받아본적 없음
-
전 펜텔 그래프 1000 쓸거임
-
선택은 빼고 공통만 모고 형식으로 격일로 풀까하는데 어떤게 있나여??
-
이게 나아요?
-
나의최대겜창시기는 롤할때였다지만 고향...고향의향이그리워
-
방바닥에 앉아서 아무것도 안하고 하루 14시간씩 명상을 해볼까
-
제발그렇다고해줘요
-
ㄹㅇ..
-
화났을때 32
그 담날 자고 일어났을때 화 풀리는거 저만 그런가요 지금까지 그렇게 되던데
-
누가 올렷던건데 식 둘다 수렴하는 정수m값 6개라던데
-
외 투대이가 124인거신가
-
배고파죽겠다 6
배고파서일어나가지고밥먹으러갈 힘이 없음 이렇게 난 죽는건가
-
뭔가 형용할 수 없는 ㅈ같음이 가끔씩 밀려오는데 이거 다 그런가요?
-
이과는 서성한-중앙-이화시립-경희건국 이느낌같던데. 그런데 수시는 학과 따라서...
-
"차 살라 카는데 등록비 을마?" 사투리 못 알아듣는 대구시 AI 콜센터 3
대구시가 이달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한 AI 민원 상담 서비스가 지역 방언 인식에...
-
24수능이 근데 문학 하나때메 1컷 84점이 나온건 아니지 않음? 9
24수능이 일단 컷 박은 첫번째 이유는 언매가 역대급으로 21수능급으로 어려웠으며...
-
마라샹궈는 마이너스 칼로리라는 말이 있음
-
오늘 병원가서 공부 얼마 못함 ㅜ 내일 서바 프로 봄
-
1. 강의 x(학교 학원 다), 오직 문풀 100% (사유: 대치동 멀음, 동영상은...
-
고정 만점인 사람들은 다풀고 시간이 항상 남던데 문제를 보면 바로 답이 보이는걸까요?
-
안녕하세요. 사문의 정석 앱을 만든 대학생입니다. 현 시기에 모의고사를 계속...
-
약 1년간의 대장정 지치지 않게 푹 쉬는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어느덧 수능이 약...
-
홉스 로크 루소 모두 자연상태에서 자연권O 라고 말하나요? 소유권 재산권 같은건...
-
‘허황된 꿈’ 부추기는 AI…‘망상적 대화’ 통제해야 [자기도취 부추기는 인공지능] 7
AI챗봇 특유의 과잉공감적 대화 패턴으로 인해 나르시시즘에 빠지는 사람들이 늘자...
-
왜 투데이가 96이나
-
컨설팅을 받으렴
-
나는 오늘 옯질을 하지 않은덕에 투대이가 엄청 적게나옴
-
불확통이 오히려 좋음 28 30 걸러도 공통은 22만 틀리면 됨 캬캬
-
올해 수능 꼭 잘봐서 내년에는 수능이외의 세상 경험하기!
-
뭐 개인마다 지금까지 한 공부량이나 깊이 다 다르겠지만 지금 시기에는 내가 지금까지...
-
누가 더 건실한 청년임?
-
인생재미없네 6
"혼자" 놀만한것 추천받아요
-
ㄱㄱ혀
-
홍어삼합과 김치청국장 이제 누가 대가리에 빠따 꽂으면 올게왔구나 하면 됨
-
아 낼 서프네 1
연휴도 끝났구나
-
맞팔구함 2
팔로워가 넘 많이 줄어서 슬퍼요... 추석 용돈 대산 팔로우를 주세요
-
[칼럼] 수학 발상정리 자료집 1(Apocalypse II) 1
01. 함수의 확대 축소가 적용되는 사례 2026 수능특강 미적분 책을 참고해서...
-
다른거 다 맞고 여기서 2개빼고 다 틀림 ㅋㅋ ㅆㅂ
-
벌써 대학원 갈 나이는 아닌데
-
두각 이감 말고 또 어디있ㄴ나요?
-
어느게 나음?
-
30일의 기적 2
한지 쌩노베 지금부터 시작해서 3 ㄱㄴ?
-
울산의대생은 울상이 돼서 (울산의대>울산이대>울상이돼) 옯하하하하하
-
담아갔었음 쉬는시간에 창밖 바라보면서 한모금씩 함
-
위치 에너지 증가 쇼츠에서 봤는데 개웃김
-
40-32÷2 풀어보셈 11
정답은 4!
-
아침 8~9시: 일어나기, 밥먹기 아침 9~11시: 낮잠자기 아침 11시: 지구...
통념/반박....
국어에서도 써먹는 그것
진리에 가까운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