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가 '바래'가 되기까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70652
사실 ㅏ로 끝나는 용언이 ㅐ가 되는 경우가 종종 보임
오라다>오래다
보차다>보채다
보타다>보태다
ᄂᆞᆯ나다>날래다
'바라다'를 '바래다'로, '놀라다'를 '놀래다'로, '나무라다'를 '나무래다'로 쓰는 것 역시 이와 같은 변화로 보이지만, 문제는 이러한 변화의 기제를 명확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임. '오라다'는 '오래'라는 부사의 영향으로 볼 수 있겠지만, 나머지가 좀 곤란함. '하다'의 활용형에 유추된 것이라는 설이 있지만 위들 예들은 '하다'가 '해'로 쓰이기 전부터 나타나서 그렇게 보기 어려움. 그래서 그냥 아직 명확히 설명하기 어려운 ㅣ 첨가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하곤 함.
'바라다'의 '라'가 '래'로 쓰이는 건 초기 문헌에서는 <念佛普勸文(1704)>에만 집중적으로 보이는데, 다른 문헌에서는 주로 '라'로 쓰인다는 점에서 경상방언이 시작으로 보임. 20세기 기록을 보면 '바래다'가 없는 건 아닌데(방언 자료일수록 '바래/바ᄅᆡ'가 많음), 중앙어 즉 서울 자료는 주로 '바라'형이 많음. 조선어사전(1920)이나 Underwood(1890), Alévêque(1901) 등의 사전류와 독립신문 등의 신문에서도 '바라'가 압도적임. 1950년대부터 '바래'가 좀 보이기 시작하더니, 1988년 한글맞춤법이 제정될 때는 기어이 '바램'이 비표준어라는 주석을 달아줘야 할 만큼 서울에서도 '바램'이 꽤 쓰였다는 걸 알 수 있음.
아마 '바래'형이 남부 방언에서 시작되었기에 이런 개신형들이 서울까지 침투하기 오래 걸렸기 때문이겠지. 서울말의 내적 변화라기보 이미 다른 지역 방언에서 진행되던 변화가 서울로 유입되고 확산된 것 즉 방언 차용이라 볼 수 있음. 대중 화자들에게 친숙한 구어체에선 방언을 흔히 접할 수 있으니. 뒤늦게야 'ㅣ 첨가'형이 서울에 들어온 거지
마냥 근본 없는 음운 변화라고 보기는 어려워서 언젠가는 표준어가 될지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2 답글 달기 신고
-
만약 정치와법 (정법) 교과에서 법이 중간에 바뀌면 어캐댐? 1 1
지금 검찰 폐지 내년에 확정 됐고, 이재명이 대법원 법관 30명으로 늘렸는데 교과서...
-
이해 납득 둘다 포기하고 정보처리에만 집중하면 진짜 쉽게 풀림 +) 리트 수준으로 연습하기
-
환율 올라도 괜찮아 2 2
내 모든 현금은 달러니까
-
내입시인생최대후회가있다면 0 2
화학2를 선택한것. 시발 어떻게 48점이 2등급임? 표본ㅅ밯
-
에휴...에류
-
인생네컷사진 보면 됨...... 그러면 자기 얼굴이랑 1대1비교되는 느낌이라 얼마나...
-
이제 자야겠군 0 0
이제슬슬 오르비하는시간을줄여야하겠네(거짓말아님)
-
현역5등급 약술논술 도와주세요 1 0
국영수사탐5등급 현역입니다 상명대 가천대 인문약술 준비해야하는데 수학 김성은...
-
님들 항등식 어케만드심? 항등식 만드는게 너무어려움
-
역사적으로 볼 때 평가원 문학이 어려웠던 적이 언제였죠? 2 0
2010년대 초반 기출이었나..?
-
순이가 떠난다는 아침에 말 못 할 마음으로 함박눈이 내려, 슬픈 것처럼 창밖에...
-
근데 과거 가형/b형 미적 킬러보다 통합 미적 킬러가 더 어려운 게 맞나? 0 0
솔직히 19년부턴 슬슬 킬러 약하게내고 준킬 강화고 171130 181130 2개가...
-
언매 기준 전과목 만점자 있으려나 궁금하네 화작이면 좀 있을것같기도 한데 언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