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를찢어 [1366010]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10-07 00:55:55
조회수 27

높새바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58805

푄 현상과 관련된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다



LCL은 상승응결고도[km]

T는 공기덩어리의 온도[°C]

Td는 공기덩어리의 이슬점[°C]


이 공식으로는 상승응결고도, 온도, 이슬점 중 2가지를 안다면 나머지 하나를 알 수 있게 된다


교과서 및 수능특강에서 소개하는 공식은 이거 하나 뿐이고

지2를 어느정도 한 사람이라면 아는 공식이 더 있다



H는 산의 높이[km]

LCL은 상승응결고도[km]

ΔT는 공기덩어리의 온도 변화량[°C]



H는 산의 높이[km]

LCL은 상승응결고도[km]

ΔTd는 공기덩어리의 이슬점 변화량[°C]


그리고 이 둘을 조합한



ΔT는 공기덩어리의 온도 변화량[°C]

ΔTd는 공기덩어리의 이슬점 변화량[°C]


여기까지가 널리 알려진 공식이고 

이 외에 짜잘한 공식이 더 있으니 알아보자



ΔT는 공기덩어리의 온도 변화량[°C]

ΔT0는 공기덩어리의 초기 이슬점 변화량[°C]


초기 이슬점이 T만큼 상승하면 

최종 온도가 5/8T만큼 상승한다



ΔTd는 공기덩어리의 이슬점 변화량[°C]

ΔTd0는 공기덩어리의 초기 이슬점 변화량[°C]


초기 이슬점이 T만큼 상승하면 

최종 이슬점이 5/8T만큼 상승한다



ΔT는 공기덩어리의 온도 변화량[°C]

ΔT0는 공기덩어리의 초기 온도 변화량[°C]


초기 온도가 T만큼 상승하면

최종 온도가 3/8T만큼 상승한다



ΔTd는 공기덩어리의 이슬점 변화량[°C]

ΔT0는 공기덩어리의 초기 온도 변화량[°C]


초기 온도가 T만큼 상승하면

최종 이슬점이 3/8T만큼 상승한다

rare-범바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