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타임즈 [1136344] · MS 2022 · 쪽지

2025-10-05 21:35:15
조회수 213

지리 그래프 해석에서 힘빼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38284

지엽이나 퍼즐에 힘주는건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함


본래 그래프란 숫자로 된 통계자료를 쉽게 알아보라고 그리는 건데, 어렵게 그려놓고 답을 찾아내라 하는 식이니 주객전도된게 아닐지?


올해 세지 본수능 퍼즐 기대중

rare-YouTube rare-서강대학교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B-FREE · 934775 · 10/05 21:49 · MS 2019

    퍼즐이 어떤문제를 말하는 것임?

  • 투타임즈 · 1136344 · 10/05 21:57 · MS 2022

    사문st

  • 불루댄스한헝가리인 · 1292653 · 10/05 22:20 · MS 2024

    기괴하게 만들어 놓은 그래프들 보면서 이게 뭔 의미가 있나 싶긴했음
    근데 사실 퍼즐도 무슨 의미인진 모르겠지만...

  • remini · 1341816 · 41분 전 · MS 2024 (수정됨)

    지리 개념에 대한 변별이 아닌 문항 구성 방식에 대한 논리 구조를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이른바 퍼즐 문항은 그럼 지리 교육 과정에 부합한 평가 방식이고 변별도가 높은 문항일까요? 수능 퍼즐을 응원한다는 이런 식의 글이 더 문제라고 봅니다

  • 투타임즈 · 1136344 · 33분 전 · MS 2022

    지리교육학 전공자신듯하신데, 개인적인 의견으로 솔직하게 결과만 보았을 때 더 이상 확실한 변별 지점이 없다면 지리학적 의미가 가득찬 시험지로 1등급 컷을 50점으로 만들어 지리를 좋아해 선택한 수만 명의 수험생들에게 피해를 끼치고 내년 지리 선택자를 감소시키는 것보다 사회문화 및 수많은 타 탐구 과목처럼 어떠한 지식적 의미를 갖지는 않아도 고득점자의 충분한 표준점수 확보를 위한 문항 등장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사회 과목은 오히려 퍼즐 문항에 힘을 주는 판에 언제까지 지리 선택자들은 선택만으로 전전긍긍해야하는지, 학문적 의미라는 매너리즘에서 좀 탈피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해요.

    번외로, 제 글들 유심히 읽어보시는 듯 하여 남기지만 모두 개인적인 의견이니 하나하나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remini · 1341816 · 29분 전 · MS 2024 (수정됨)

    크게 의미부여한 적 없습니다 다만 단정적인 진술에 대해 늘 그러한 것은 아니며 그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 표명을 했을 뿐이니 크게 신경쓰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지리 문항에서 지리학적 의미가 가득찬 문제를 출제하는 것이 어떤 문제점이 있을까요 문항의 변별도와 타당도에 대해 구분도 못하는 출제진과 평가원이라면 늘 옳다고 무지성으로 옹호하는 사람들이 더 문제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