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 그래프 해석에서 힘빼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938284
지엽이나 퍼즐에 힘주는건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함
본래 그래프란 숫자로 된 통계자료를 쉽게 알아보라고 그리는 건데, 어렵게 그려놓고 답을 찾아내라 하는 식이니 주객전도된게 아닐지?
올해 세지 본수능 퍼즐 기대중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ㅅ욕 어캄 8
ㅁㅊ겟네
-
서로 다른 감각들의 시너지 효과는 아마 테셀레이션 연산급일거에요 삶이 진짜 달라짐…
-
아 미치겟네 5
신기한 경험이엇따..헤헿
-
저는 초대라면전문가 진영준님 채널 구독자에요 나무위키보니까 너구리 컵라면 “컵라면의...
-
인생을 건 도박이 되겟지
-
국어하다보니 수학떨어질까봐 불안하고 수학하다보니 영어 3뜨는 상상하면서 영어떨어질까...
-
이쁜 일러 모음 4
-
잘자! 2
굿나잇
-
수능시계 살건데 7
1부터 12 숫자로 다 적혀있는거 말고 평소에도 낄생각이라 그냥 l 모양 짝대기만...
-
컵라면 많이 드신 분들 10
라면 이름 말하면 전자레인지 조리 가능한지 바로 아시나요
-
G컵미소녀한테난도질당해서요
-
개웃기네 2
ㅋㅋㅋㅋㅋㅋ
-
다음 생: 공사 파일럿 그 다음 생: 요리사 이번 생에 뭐할지만 모르겠어요
-
우유사러가야지 5
캬캬
-
아기때부터 죽을때까지 사랑으로 키우다가 보내줄거임
-
700개라니.. 언제 다 지워 이걸
-
흠.....
-
빡세다는 브포원정 승리 ㅅㅅ
-
최솟값도 1이고?
-
두개의 자아로 활동을 하는거임
-
3시 넘으면 인생큰일남
-
맨날 새르비하고 8
유튜브보다가 쳐자는데 어떡하지
-
진동이 76부터 96까지 와랄랄라
-
잘자요 25
굿밤
-
나의 마음의 마음의 고향은
-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우선 저는 작년 현역 때 생윤사문 모고 항상11뜨고 파이널때는...
-
저도 앞으로 행복할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안녕히 주무세요 선생님,,
-
행복의 근원은 2
불행일까
-
그냥 랜덤 짤 3
선별그리고고뇌
-
오르비 굿밤 2
바바
-
판매하려는건 전자기기고 시세대로 올렸는데 어케 연락 한 통이 안 오냐
-
잘자 6
내 꿈꿔
-
연세대 갈꺼다 1
무적권.
-
알면나도알려주라.
-
왜 인간은 5
바꿀 수 없는것에 매달리는가..
-
가천대 모의지원으로 탐방 중이다 글 썼다가 너같은 애들 때문에 컷 높아진다고...
-
어쩌다...
-
왜케돈아끼게되지 0
파이널니라 뭔가 돈나가는게 많음...근데 불효짓하는거같고 정신병옴
-
자신이 없어지는 것이 당연한 것인가요,,
-
사이고노 2
스타더스트~
-
트렌드를 따라가는 모습이다
-
그녀가나를찾도록
-
2칸된 나를 알까?☠️☠️
-
내가?
-
원서 당일에 딱 0칸
-
30점대로 꼴박함;;
-
실제 인생 vs 체감상 인생 그래프 4살 이전은 아예 기억이 안 나고, 4살부터...
퍼즐이 어떤문제를 말하는 것임?
사문st
기괴하게 만들어 놓은 그래프들 보면서 이게 뭔 의미가 있나 싶긴했음
근데 사실 퍼즐도 무슨 의미인진 모르겠지만...
지리 개념에 대한 변별이 아닌 문항 구성 방식에 대한 논리 구조를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묻는 이른바 퍼즐 문항은 그럼 지리 교육 과정에 부합한 평가 방식이고 변별도가 높은 문항일까요? 수능 퍼즐을 응원한다는 이런 식의 글이 더 문제라고 봅니다
지리교육학 전공자신듯하신데, 개인적인 의견으로 솔직하게 결과만 보았을 때 더 이상 확실한 변별 지점이 없다면 지리학적 의미가 가득찬 시험지로 1등급 컷을 50점으로 만들어 지리를 좋아해 선택한 수만 명의 수험생들에게 피해를 끼치고 내년 지리 선택자를 감소시키는 것보다 사회문화 및 수많은 타 탐구 과목처럼 어떠한 지식적 의미를 갖지는 않아도 고득점자의 충분한 표준점수 확보를 위한 문항 등장이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사회 과목은 오히려 퍼즐 문항에 힘을 주는 판에 언제까지 지리 선택자들은 선택만으로 전전긍긍해야하는지, 학문적 의미라는 매너리즘에서 좀 탈피할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해요.
번외로, 제 글들 유심히 읽어보시는 듯 하여 남기지만 모두 개인적인 의견이니 하나하나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크게 의미부여한 적 없습니다 다만 단정적인 진술에 대해 늘 그러한 것은 아니며 그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 표명을 했을 뿐이니 크게 신경쓰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지리 문항에서 지리학적 의미가 가득찬 문제를 출제하는 것이 어떤 문제점이 있을까요 문항의 변별도와 타당도에 대해 구분도 못하는 출제진과 평가원이라면 늘 옳다고 무지성으로 옹호하는 사람들이 더 문제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