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좃모 후기] 오이카와 차렷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72483
(45점 or 47점(점수 계산하다가 한 문제를 놓쳤는데 다시 세긴 귀찮아서 둘 다 썼습니다))
제 19년 인생동안 이렇게 빡빡한 모의고사는 처음입니다. 독서 언매 다 풀었고 문학은 3지문 날렸는데 독서 정답률 약 54%, 언매 정답률 약 68%입니다.
아 10번!!! 4번 찍으려다가 과추론인 것 같아서 2번으로 틀었는데 안타깝네요
+ 2페이지 덴노 지문 (나) 7번째 줄부터 시작하는 문장은 뭘 이야기하고 싶으셨던 건지 모르겠어요. 직전 문장 뒷부분까지 끌고 와서 쓰면
'~직무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는 데 있다. 그동안 수동적으로 ~ 본인이 직접 문제(를) 제기했다는 사실 그 자체였다.' 인데, 대체 무엇이 그 사실 자체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이의제기)
7번
GHQ의 통치가 다이쇼 시대가 쇼와 시대 앞이라는 배경지식 없으면 못 푸는 문제 아닌가 싶어요. 지문에서 GHQ가 통치한 시대가 안제라고도 안 줬고,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와의 선후관계도 안 줬는데 어떻게 7번에 5번이라는 걸 단정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7번이 가장 애매한 선지라고 해도 문제 발문은 '가장 적절하지 않은'이 아니라 '적절하지 않은'이니까 선지 적절성의 정도 가지고는 판단이 안 되는 문제라고도 생각하구요
12번
이것도 마찬가지로 원자로에 관한 배경지식이 부족하면 틀리는 문제 같아요. 일단 독자가 원자로의 구조를 잘 모르는 독자라고 가정헀을 때, 지문에서 RBMK에서 흑연을 빼고 물을 더 많이 집어넣었을 때 같은 상황은 전혀 다루고 있지 않으므로 물을 주 감속재로 사용한다고 해서 그 물이 다 증발할지 아니면 조금 남아서 냉각재로도 작용할지는 모르는 거잖아요. 만약 물이 다 증발하면 RBMK 원자로의 보이드 계수가 양이니까 핵분열을 방해하는 요소가 없어져서 오히려 원자로 제어가 불가능해지지 않나 싶어요.
만약 제 이의제기나 평가에 오류가 있는 거라면...
아저고능아호소인또지랄이네 라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지금까지 어좃모 1회 후기였습니다!
...
문학은 왜 후기가 없냐구요?
그야.........
시간없어서다못풀었다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좃모 2회에는 2
제가만든 지문이 들어갈 예정 많관부
-
12122 7
언매 94 - 137 (백분위 100 실패) 기하 88 (기하 2 / 공통 1) -...
-
대학도 좋고 키도 크고 성격도 좋은듯...
-
졸린 상태로 3시간 공부하는거 보다 말짱한 정신으로 30분 공부하는게 더 효율이...
-
어좃모의 순기능 1
풀고 3시간 쉰 다음 2606 플로리디 2분컷함
-
사설모고에선 4 이렇게 뜨는데 평가원은 고정1-2인 사람들 많잖음 반대케이스도...
-
하고있는건맞나 실력이 는다는 기분이 1도없음 두달전쯤엔 수핫도 는다는 기분이 약간은...
-
반수생이라 시작한진 얼마 안됐다만 최근 어지간한건 30후 40중 나오고 9더프도...
-
궁금함 3-2챙겨서 수시재수하는 시나리오가 드문게 아니었던거임?
-
연대보단 사범대에 훨씬 더 가고 싶어서 연대를 못 씀...
-
지금까지 괜찮아 문장편, 구문 20수 air,pro,유베가는 길 들었는데 벼락치기...
-
부럽당..
-
맨날 지가 사고치고 부탁있다면서 돈필요하다고 전역한 사람한테 돈달라하는 미친놈...
-
삼삼한 1
삼등급삼등급한사람
-
(분명 6모때는 백분 92였는데 :/) 시립대 경제의 꿈은 저 멀리로... 9평
-
떠야됨 ㅈㅂㅈㅂㅈㅂㅈㅂ ㅈㅂ
-
노래 추천 해쥼 1
갓곡임
-
근데 정시는 연>고임? 10
스나이퍼 돌렸는데 연대가 압도적으로 빡세게 나와서
-
윤리 모의고사는 딴거 안풀고 현돌모만 풀어도될까요?? 작수가 어려웠는데 김종익쌤...
-
조졌네 기출도 더 돌리고 싶은데 시간이 너무없
-
87 97 3 95 98 음 뭐지.. 화미사지 과목 문젠가..
-
1.2배속으로 듣는다 이렇게 들으면 문풀시간 개빡빡해서 매 시간이 스피드런임
-
세상 편하게살면 좋잖아
-
이러면 점점 개꿀잼 시나리오 가나 흐흐
-
사고치고 다니는걸 내가 돈을 왜대주고 있는거지 생각해보니까 감기약먹고 음주운전...
-
궁금한게 하나잇는데요.. 수탐영을 ㅈㄴ잘하는데 국어만 못하는게 어케가능? 5
저가 안겪어봐서 잘몰라서요 진심 순수하게 궁금함 이유가 뭐제?? 국어가 뭐때문에...
-
ㅏㅏ.. 현역인데 연휴에 공부 할 자신이 없
-
스나이퍼후기 0
자퇴를 할 수 있을것만 같네요 제발 수능때도 이정도로만 나와주길 ..
-
수학 3받으려몀 0
문제 몇 번까지는 무조건 맞아야 함???확통임
-
9모 4등급이에요
-
언매 확통 영어 생윤 사문 96 98 1 92 98 연대경영 스나는 63, 텔그는...
-
다 1~2등급대네… 부럽다…
-
9평 성적 인증 6
제대로 박았네 국어 때 긴장을 너무 많이 해서.. 9평 괜찮게 치고 수능 망친...
-
화2 vs 지2 1
물리학2는 고정으로 할거같고 짝으로 뭐할지 고민인데 제가 계산이 빠르고 암기를...
-
지금부터 수능 공부 할 계획이고 목표는 27수능입니다 26수능 신청했고 그냥 한번...
-
해설강의 수강평과 함께 잘가르친다고 나 찬양하면 아라비아따 받을 확률이 높아짐
-
의치라인 텔그 0
어떤가요 가채는 인설이었는데 실채는 인설 어림도 없다고 나오네요ㅠ
-
아이디어후 뉴런 2
안녕하세요 고2 학생입니다. 지금 수1수2 아이디어 한후 기생집 하고 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comment/029/00...
-
조정식 2026 TDYD season2 답 아시는분
-
어존모 2
평파열음화와 비음화 음끝규라는 명칭 별로임
-
사면 김승리가 적자라는데 이걸안사? 라는나쁜말은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ㄴ
-
6,9평에도 안 내고 사설에서도 안 나와서 .. 저는 작년에 보자마자 개털렸는데...
-
친구가 얘 새로 나왔는데 ㄱㅊ다고 해서 방금 9모 실채점으로 돌려봤음 일단 상위권...
-
현역 9모 성적 1
투투 고른거 땅치고 후회중 공부 상대적으로 덜 한 국어가 2등급->백분위99까지...
-
독서강의가 매우좋다고들었는데 김승리도 좋다고해서 고민입니다ㅜ
-
주 몇시간 정도 해야 적당할까요
-
명절이 두렵다 4
친척의 잔소리 폭탄이...
-
국어 황 부럽다 4
어떻게 그렇게 잘하지 부럽다
남자 체크한거 왜 웃기지
남자라서남자체크한건데
근데 모고때 저거체크란에 다른성별로하면 서류 다른성별로 나오나
학평이면 담임이 찾아와서 고치라 할 듯
사설이면 걍 처리가 안 되지 않을?까
10학평때해본다
이름 다릉거 써도되던데
이름 쓰려면 하루종일 똑같은 이름 쓰면 되긴 하는데 성별은 사실 어디 쓰는지도 몰라서 잘모르겟음...
본문 내용 추가했습니다!!!
+ 2페이지 덴노 지문 (나) 7번째 줄부터 시작하는 문장은 뭘 이야기하고 싶으셨던 건지 모르겠어요. 직전 문장 뒷부분까지 끌고 와서 쓰면
'~직무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는 데 있다. 그동안 수동적으로 ~ 본인이 직접 문제(를) 제기했다는 사실 그 자체였다.' 인데, 대체 무엇이 그 사실 자체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12번씹공감,,,,
7번: 지문에 따르면 GHQ의 통치는 전쟁 이후이고 (별표로 제시), 다이쇼 데모크라시는 전쟁 이전입니다(지문에 직접 제시). 또한, '연원'이라는 단어의 뜻으로도 풀 수 있습니다. 연원의 뜻은 '사물의 근원'이므로, 그 근원이 일본 국내라는 서술에 비추어 볼 때, 미국의 영향을 받지는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12번: 이는 지문이 감속과 추가 감속을 구분하고 있다는 점에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RBMK에서 물은 감속이 아닌 추가 감속과 더불어, 오히려 핵분열을 방해하는 대상임이 지문에 나타나 있습니다. 한편, 물을 '감속재'로 쓴다는 것은, 감속재가 담당하는 필수적인 감속을 물이 담당하도록 하겠다는 말입니다. 참고로, 이 경우 물은 냉각재와 감속재의 역할을 모두 하게 됩니다.
7번
GHQ가 전쟁 이후라는 건 제 오류가 맞습니다. 그런데 지문에서 다이쇼 데모크라시에 대해 제시한 내용은
1. 메이지 헌법이 전쟁보다 훨씬 이전에 제정되었다.
2. 메이지 헌법 제정 과정에서 '군주는 국권의 초상'으로 이해되었고, 이후에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가 시작되었다.
인데 이것만 가지고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와 전쟁 간 선후 관계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연원의 뜻이 '사물의 근원'이므로, 이 '연원'이 가리키는 대상은 (적어도 지문 내용만으로 한정해서 봤을 때) 메이지 헌법 제정 당시입니다, 이는 다이쇼 데모크라시와는 상관이 없습니다.
헌법에 상징군주제가 명시된 것은 전쟁 이후 평화헌법 시기입니다. 이는 (가)의 하단에서 알 수 있습니다. 메이지 헌법(흔히 일본제국 시절이라고 하죠) 시기의 천황은 실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즉, 지문의 '연원'이 지칭하는 대상은 메이지헌법 제정시기가 아니라 평화헌법 제정시기입니다. 이는 (나) 전체의 맥락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현행 평화헌법 제정 과정에서 ‘상징’이란 표현은 어떻게 삽입되었고, 이후 어떤 방식으로 이해되었는가?"라는 문장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상징군주제가 직접적으로 명시된 것은 전쟁 이후 평화헌법 시기가 맞지만 (가) 마지막 문장의 '되돌아갔다'라는 진술에서도 알 수 있듯이 상징군주제 자체는 전쟁 이전에도 존재했습니다. 메이지 시대에 천황이 실권을 가지고 있었는지는 역시 지문에서 제시를 안 해 줘서 잘 모르겠고, 실권이 있었어도 8번의 1번 선지에서 상징적 대표와 실질적으로 통치하는 대표의 역할 모두를 할 수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지문의 '연원'은 '(평화헌법에 쓰인 표현인) 상징으로써 덴노를 설명하는 논의의 연원'입니다. 이는 "'상징'으로서의 덴노를 설명하는 논의의 시발점'으로 바꿔 쓸 수 있고, 이 연원은 (나) 지문 상에서 '전쟁 이전에' 메이지 헌법 제정 과정에서부터 '군주는 국권의 초상이라고 이해되었다'라고 서술하며 '메이지 헌법 제정 당시'를 가리킵니다.
메이지 시대의 천황은 실권을 가지고 있었음을 ‘메이지 헌법‘이라는 표현이 근대화 시기, 흔히 말하는 일본제국시기이임을 근거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 지적하신 바와 같이 지문의 ‘연원‘은 상징으로서의 천황제가 어떤 과정에서 논의되었는지를 말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지문에 따르면 ‘전쟁 이전‘이고, 국내의 연원입니다. 따라서 미국의 GHQ가 개입할 수 없는 것이죠.
말씀해주신 것처럼 메이지 헌법의 제정 시기는 전쟁 이전이므로 GHQ가 개입할 수 없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7번 문제 5번 선지에서 묻는 것은 '다이쇼 데모크라시'가 미국의 영향을 받았는가 받지 않았는가이고, 위 댓글에서도 설명했듯이 배경지식을 제하고 지문 내용만으로만 판단했을 때는 다이쇼 데모크라시가 전쟁 이후인지 이전인지 알 수 없습니다. 전쟁 이전이라면 다이쇼 데모크라시 또한 미국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이 맞지만, 전쟁 이후라면 미국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역사적 사실이 아닌 '지문 내용을 근거로' 설명한 것입니다.
아하 그러니까 ‘이후‘라는 시점이 확정 안된다는거죠?
ㅇㅋㅇㅋ 이해함

네 맞습니다이건 이의제기랑은 별개 내용이긴 한데 제목은 농담이었습니다...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ㄴㄴ 기분 안나빠요
나 도게자박는사진 있는데 그거나 올릴까
존나어려운거 안어렵다고바이럴해서 ㅈㅅㅎㄴㄷㅈㅅㅎㄴㄷ
오이카와님한대만떄려도됨요?
"재밌었으니까 끝까지 푼 거 아니에요?"
끝까지 못풀었다며
시험 도중에 포기한 건 아니잖아
12번
12번은 제 의견이 틀린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무튼 풀었잖아? 한잔해~
일단 아시다시피 실제 사실관계상 오류는 아닌데 좀 배경지식이나 개연적 추리를 요구하는건 맞네요 좋은의견 ㄱㅅ

저도 몰랐던 사실 알게 돼서 좋았습니다ㅎㅎ 다음에도 좋은 모의고사 만들어주세용아니 비쥬얼 뭐지 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