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수생 마지막 파이널 공부 비중 및 계획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39711
화작 미적 물리1 지구1
백분위 기준
6모(집모, 9모 일주일 전에 침)
87 99 2 98 96
9모
96 93 3 87 82
국어
만년 3등급인 과목
9모 전까지 공부를 하나도 안했는데 9평에서 1등급이 나왔는게 믿기지 않음..
달라진거라곤 평소 쉴 때 에세이나 소설 읽는다는거..?
나이가 차서 그런가 국어는 점점 쉬워지는 느낌
이제는 사설도 시간이 부족해서 그렇지 풀면 다 맞긴함
(독서 1지문 버리거나 날려읽음)
보통 문학에서 30-40분 걸리는데 님들 20-30분 만에 푸는거 보면 믿기지가 않음..
수능 전까지 문학 기출 (감상연습,선택지 논리 분석 / 범작가 기밀문서) + 고전소설 양치기 + 3년만에 ebs를 공부 + 쉴 때 e북으로 재밌는 현대소설 읽기
딱히 실력의 문제가 아니고 텍스트에 대한 친밀도가 떨어져서 수능장에서 글이 튕기는게 본인의 진짜 문제.
(본인은 현역 22수능 때 글이 튕겨서 화작을 30분 동안 풀다가 국어 omr을 백지로 낸 트라우마가 있다)
진짜 정신 없을 때도 수학 1-3 페이지는 가뿐하게 푸는 것처럼 글도 쉽게 받아들일 수 있게 만들기 (평소에 글을 읽자)
수학
더닝크루거 효과 절망의 계곡에 위치하게 만든 장본인
제일 잘했고 제일 열심이 해서 너무 슬프다
6모 22번, 9모 21번,29번 같은 문제들을 어떻게 대비해야할지 감이 안잡힘. 기출분석만으로 23년도 6모부터 이번 9모 전까지 단 한번도 1등급을 놓친적이 없음. 내가 했던 공부가 모두 부정당하는 느낌. 저 문제들은 참..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 문제를 읽고 그 속에 숨겨진 의미를 풀어 헤치는 능력이 수학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그냥 누가누가 잘 찍나의 싸움이 된 것 같다.
솔직히 진짜 극상위권 사람들 제외하고는
0622,0929 같은 경우는 다들 숫자 찍어서 맞췄을거다.
뭐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
오히려 본인은 0628, 0928(계산 실수ㅜ)이 더 적성에 맞고 쉬웠다
근데 뭐 평가원이 내는 시험에 평가 당하는 입장인데 어떡하겠냐..
그에 맞추셔야지 ㅋㅋ
그래서 내린 결론은
1. 감각이 좋아져야한다.
2. 고지능을 만들면 된다.
실제로 주변 수학 고수들에게 저 문제들을 어떻게 풀었냐고 물어보면 수학 강사들의 해설강의 마냥 푼 사람이 단 한명도 없고, 그냥 이럴거 같아서 숫자 넣었는데? 라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
(물론 후속적인 공부를 통해 배울건 배워가야지만)
그래서 수능 전까지
드릴6 전과목 / 설맞이,샤인미 미적만 / 주 3모(강k위주)
하면서 예전처럼 행동영역으로 푸는거 말고 그냥 본능적으로, 고지능적으로 푸는 능력을 키워야겠다.
미적분은 절대적인 실력이 매우 부족하여 공부 비중을 늘렸다.
영어
얘는 마지막으로 손댄게 24학년도 수능 대비 때..
안하고 2등급만 받겠습니다 ^^ 마인드였는데 굳이 쉬운 과목 하기 싫다고 버리는건 오바인 것 같기도 하고 3이 떠버리는 레전드 사건이 일어나서 공부를 하려한다.
추석 때 기파급 약점 파트 위주로 빠르게 돌리고
실모는 어차피 추석 이후에 주 1회 국~탐 풀모 돌릴거라 그 때부터 할거다.
물리학1
얘 때문에 현타가 너무 온다.
사탐런의 현상 때문인건지 내가 상대적으로 못해진건지 잘 모르겠다. 열역학 계산 실수로 42점이 나온거긴 하지만 9모 자체거 그렇게 쉽지는 않았던 것 같은데..
이 20분컷 만점 굇수들만 득실거리는 곳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 지 모르겠다.
9모 이후에 시대라이브를 시작하여 현정훈T 수업을 듣기 시작했는데..
하도 오르비에서 말이 많아 기대를 해서 그런지 실망도 컸다.
당연히 풀이법이나 선생님의 실력에 대한 실망은 아니고
중간에 합류한 학생들에 대한 배려가 1도 없어서 실망이었다.
본인의 풀이법으로 설명 하시는데 강의 중 그걸 바로 알아듣기도 쉽지 않고 해설지도 인생에서 본 해설지 중에 제일 대충 써져 있어서 혼자서 추가적으로 공부할 수가 없다. 효율이 너무 떨어진다.
이게 왜 이렇게 되는건지 혼자서 증명하려하면 1-2시간은 그냥 날린다..ㅋㅋ 그냥 내가 공부하던 방식(강민웅, 메카니카)대로 해도 딱히 결과는 달라질 것 같지 않다.
사탐런 했다가 다시 과탐으로 돌아왔을 때 초반 공부를 너무 대충해서 그런지 실모를 칠 때 문제에 적용되는 개념이나 스킬이 바로바로 안튀어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수능전까지..
그리드(시대북스 실전서) + 파브 + 추석 이후 서바 재합류
추석 때 폼 바짝 올리고 유지 시킨다는 마인드로 공부
지구과학1
9모 이후 시대 라이브 이신혁T 듣고 있는데
그냥 확실히 깨달았다. 천천히 푸는 법을 깨달았다.
지난 3주간 실모에서 실수로 틀린 문항이 극히 드물다.
1컷 35점인 서바 14회도 당당히 42점
최근 이신혁 모의고사도 조교님 현장 점수를 압도적으로 이겨 자신감이 빵빵하다. 양은 매주 오는 컨텐츠로 할게 차고 넘쳐서 수능 전까지 이신혁T 커리만 꾸준히 따라갈 것이다.
매주 오는 컨텐츠를 절대 안미루는게 목표다.
진짜 얼마 안남았지만 아직 판뒤집기에는 충분한 시간이다.
5년 째 수험생활 하면서 이 시기 기준 제일 열심히 하고 있는거 같다. 앉아 있는 시간 말고 대가리 깨지는 시간 기준으로..
하기 싫은 공부, 대가리 깨지는 공부, 장시간 집중력 올리는 공부
3가지 지키면서 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거라 믿는다.
모두 화이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침에 독서실 와서 옵티마 풀려했는데 오늘 풀 부분이 사회집단 부분인거임...
-
수능이 이제 정말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이 시점에서 필요한 건 새로운 개념이나...
-
아 갬기 걸렸네 2
훌쩍훌쩍
-
자도지도졸려 3
너무졸
-
표준점수가 소수점까지 나오던 때도 있었는디 왜 없어졌지
-
안녕하세요 실모 고민중인 반수생입니다. 수학은 지금 강x 시즌3 계속 1등급 나오긴...
-
아 진짜 1
신발이랑 바지 다젖어서 개찝찝하네 벌써 집에가고싶다
-
1시 30분쯤에 자서 6시 30분쯤 일어나는데 너무 많이 자는 건가요..?
-
국어3등급 0
어떻게 하면 3등급 뜨나요 하..
-
오우 2등 먹음 4
파산 직전에 이런 일이..
-
2학기인데 하루라도 공부하긴해야겟지 근데수시재수안되는교과가 많던데 아니 수시재수그딴거안할건데
-
언수외 14
이거 못알아듣는 사람 혹시 계신가
-
화작/미적/사탐2개 한다고 가정해서 사탐 두과목에서 총 한개 틀리고 영어 1이면...
-
어른이 되었음을 느낌
-
심찬우: 화학한다고?? 왜? 괜찮아? 다들 박수 학생들 다들 박수쳐줌 김승리: 화1...
-
화작 미적 물리1 지구1 백분위 기준 6모(집모, 9모 일주일 전에 침) 87 99...
-
데이트 3
20대 남자분들, 주목! 혹시 프라이빗한 데이트 좋아하시는분계신가요? 동행이나...
-
정말 조용하지만 꾸준하게 히트하셨었네
-
왜냐면 100점 못맞을수도있음 진지하게
-
사고 매일 조금씩 마실수도 없고 적은 용량도 안파ㅔ는데 다들 커피 사면 그날...
-
난이도 어때요? 5회차까지 풀었는데 퀄도 좋고 맘에들긴한데..너무 쉬운편인가요 9모에 비해서?
-
학원 와이파이로 앱이 안들어가져서..
-
좆됐네 1
좆됐어
-
다섯시간은 잣군 2
흐오어오어어
-
입실, 일욜 0
-
좀 제대로 들은 애들의 진짜 후기를 보고 선택하고 싶은데 수강평 들어가보면 뭔 죄다...
-
중국인들 중의학 겁나 믿는데 한국에서도 한의원가서 한약탐 근데 앞으로 꾸준히 대거...
-
0-0) 절대 다시는 5분만 쉬다가 공부해야지 라는 자기객관화 떨어진 발상을 하지...
-
더데유데 지금부터 시작인데 1도 풀고 2도 풀면 다 못 플거 같은데 2만 해도...
-
나 학교에서 괴롭히는 여자 혼내줘
-
비 왤케많이와 2
양말 다젖겟네
-
그냥 미친짓이겠죠?
-
헛소리를 많이 하게 되요..
-
수능 같이 치고 100점 인증 하면 됌 그러면 자기 방법론이 확실하다는 거 증명하는 거임
-
와 아침에 3등 연속으로 당첨 돼서 15000덕 정도 있었는데 4
언제 5000덕 증발했냐
-
얼버기? 0
이게 얼리버드 맞나
-
대산모의고사 1회차 올려드리겠습니다. 흐흐흐흐
-
잠온다
-
공부하긴 좋은 수면패턴인건가
-
사실 연고대가 서로 막 물어 뜯고 하지만, 사실은 그만큼 서로 사이가 좋아서 이럴...
-
암막 커튼 치고 자서 몰랐는데 비가 왜 이렇게 많이 와..
-
오늘은 제 생일입니다 21
대략 11시부터 무척 바빠질 예정
-
진짜 선배랍시고 와서 16
저 사람 때문에 학교 전체가 욕 먹고 이게 뭔 망신임 진짜 개빡치네
-
물2가 계산 좀 더 많은 대신 퍼즐이 없어서 덜한가요? 아님 계산때문에 더 걸릴까요
-
설레임 N제 0
이거 많이 어렵나요??
-
지인선 N제 0
와 풀어보고있는데 이런 비슷한 느낌 N제 있을까요..? 멘탈관리에 많이 도움이 되는 것 같아서요
-
요즘 올라오는 글이나 오르비에서 생기는 일들을 보면 역시 오르비도 음지까지는...
-
문제듣고 말하는내용 영어로 써보면서 풀라는사람도있고 그냥 틀린거 답지보면서 몰랐던...
-
좋은 아침 2
또 아침이 오고야 말았어요
-
연계좀 더 하고싶은데 컨 좋은거 없나요 올해국어 무제랑 엑셀밖에안했어요
선택 다 겹치네요 응원합니다
지구잘하는거 개부럽당
함정에 걸리지만 않으면 꽤 높은 점수를 유지할 수 있더라고요.. 뭐 지구가 타임어택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아주 천천히 다 읽고 푸는 연습하다보면 수능장에서 실수 안하실 겁니다. 무운을 빕미다
9모 29번 3모 30번에 거의 똑같은 문제 있습니다…
제가 하고 싶은 말은 평가원이 해당 단원의 개념을 적절히 활용한 추론을 요구하지 않고. 유리수, 정수에 대한 특성을 활용하여 사실 껍질만 무한등비급수고 본질은 고1 수학인 문제를 냈다는 것에 당황스럽다는겁니다..
점점 고여가는 교육과정의 끝물에서 그저 변별의 수단으로서 의미 없이 냈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22-24학년도에 비슷한 능력을 요하는 문제가 있었을까요..
물론 평가원이 변한다면 평가 당하는 수험생은 그에 맞추어 공부해야 하겠지만요..
비슷한 문제로는 대칭축 사용한 240913 그리고 정수를 활용한 문제는 240622,240914,241122등 꽤나 많은 것 같네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