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렁일렁 [1339018] · MS 2024 · 쪽지

2025-09-27 18:17:51
조회수 67

생윤 고트들 롤스 질문 ㄱ,ㅂ해요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30041

롤스는 현실 사회에서 우연성이 최소 수혜자 이득 보장이면 그럴 수 있다고 하자나여,

근데 우연성에 따른 분배 자체가 부정의 하다고 할 순 있나요? 


글구 "롤스와 노직은 모두 불평등을 허용하지만, 롤스는 결과적 정당화, 노직은 절차적 정당화로 접근했다"

요거는 어떻게 보면 될 까요? 차등의 원칙으로 결과적 정당화 인 동시에 절차적 정의인 것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루루리 · 1414436 · 8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1. 우연성에 따른 분배가 이루어지는 대상인 선천적인 능력, 사회적 지위(금수저 흙수저) 그 자체는 부정의하지 않지만 그 분포가 부정의 한 것인데 그 이유가 그것을 원래 공동의 소유로 보기 때문인걸로 알고 있어요. 그러니까 그것에 대한 도덕적 응분의 ‘자격’이 없는 것이구요
    2. 롤스와 노직 모두 절차적 정의에 대해서 말하는데 둘 다 절차가 정의로우면 결과도 정의롭다에 입각했잖아요. 근데 롤스의 경우 그 절차가 원초적 입장에서 정의된 정의의 원칙에 입각하는 것인데 정의의 원칙 중 차등의 원칙이 ‘최소수혜자에게 최대 혜택’ 이기 때문에 결과적 정당화로 볼 수 있죠..! 반면 노직은 소유물의 정당한 취득과 이전이 만족 된다면 그것이 정의롭다고 보았으니 절차적 정당화로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둘다 제가 공부한 내용 바탕으로 해서 정확하진 않을 수 있어요!!
    제가 틀린거 있으면 알려주세요!!

  • 일렁일렁 · 1339018 · 6시간 전 · MS 2024

    감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