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윤,사문황님 질문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829146
롤스가 절차적 공정을 주장할때 만장일치적 동의를 근거로 들면서
무지의 베일을 주장하는데
결국 무지의 베일하에서 1,2원칙을 만들어도 그때도 만장일치적 동의는 나오지 않을텐데 이러면 자기모순 아닌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약술 0
국어 문학,독서 수특에 나오는문제 다풀어야 하나여? 지문만 정리된거 보는건 좀...
-
(나) 제시문에 pdi 높은 사회 내에서는 대다수의 복종하는 사람, 소수의 반대자로...
-
폭주족 시발 4
이 동네에 뭐 할 거 있다고 여기서까지 오도바이를 처타냐
-
언매 TMI 2) '들리-'는 '듣-+-이-'로 보는 게 나은 이유는? 0
https://orbi.kr/00074827701 나중에 글을 쓰겠지만 힌트 하나...
-
가끔 동네에서 보던 아긴데 자기 손에 얼마나 꼭 쥐고 있었으면 젤리가 쭈글함 ㅋㅋㅋㅋㅋ 진짜 귀엽네
-
기하는 22수능보다 어렵고 공통은 23수능급
-
내년에는 꼭 여자친구랑 갈거다 ㅇㅇ..
-
한달정도 전에 개념 한바퀴 돌리고 기출을 풀다가 스킬은 굳이 필요가 없을것 같아서...
-
지금까지 형 누나들만 봐서 잘 몰랐는데 동갑 애들 얼굴 보니까 체감이 확 댐 왜케...
-
대병훈
-
[기하] 자작문제 - 공간도형도 수2와 결합될 수 있다 5
문제 발문 쓰는 시간보다 가위 그리는 시간이 더 오래걸렸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해설은 조만간 올림
-
폭죽 터지는 소리 여기까지남
-
고려대 국문과 학업우수 지원했고 10명 뽑는데 4등입니다 근데 바로 밑등수인...
-
ㅓ쩐지 스카에 커플들이 안 보이더라
-
잘 풀다가 숫자 갑자기 이상하게 뭐 6인데 7로 적거나 계수나 차수를 식 풀다가...
-
파주에도 문산읍있는데 진주에도 문산읍있음
-
하 션티쌤 0
너무 조아요....
-
못 쓰고 다른 거 잘 써도 불합격인가요? 1-1,1-2,2-1은 잘 쓴 것 같은데...
-
65min/89(20,22,27) 20번 22번 최고차항.. 이건 아니잖아
-
했는데 이거만 내일 온대서 못 넣은 거에요 야채 좋아함 저도
-
모수 해보신 분 있으신가요??? 후기 좀 부탁드려요!! ㅠㅠ 5
해보신 분 있나요?!
-
내가 4일치 숙제를 미뤘기 때문이다 히힛 ㅅㅂ
-
엉우ㅜㅜ 시끄러워..
-
왜 그런거임
-
ㄷㅋㅈㅅㅇ 11
레어 등록하게 덕코좀
-
메가패스 구매? 7
고2인데 원래 친구꺼 안쓸 때 빌려쓰다가 시간 겹칠 때가 많아서 패스사려는데 뭐...
-
요즘 실모보면 단순계산실수만 기본적으로 2개씩은 하는 듯 덧셈 뺄셈 틀리고 분모...
-
1.시험 시작시간은10시 2.다른고사장은 10시전에 시험지 배부하고 10시...
-
지구과학 특 1
풀기전에는 뭘 모르는지 모르겠음 근데 문제는 틀림
-
공부 하기 싫어 3
해야되는데 하기 싫어
-
내가 못찾는건가 콘센트가 안보임..
-
주계열 진화에서 8
주계열 이후로 수소껍질연소는 안멈추는거?
-
누구 강의가 제일 컴팩트하고 실전적이냐ㅑ 어법 유기해서 동사자리에 ing...
-
열 38도찍음 6
아 공부해야하는데 진짜 미치겟네
-
9모 독서 1 문학 2틀인데 화작 20분걸리고 3개틀렸음 6평때도 그랬음 바탕n제랑...
-
서울대 붙으면 설렐 듯
-
"너는 짱이다"
-
혼자 있는게 조음...
-
오늘 저녁은 1
뭐 해먹지.. 마트 세일 코너 돌아야겠다
-
설레보고 싶다 20
-
그 우영호쌤 코어 자료분석 특강에 보면 실질cdp증가율 +물가상승률 하면...
-
히카 질문 0
제가 히카 cantata님이 쓰신 mbti 소개글을 읽어봤는데요 (23년에...
-
오늘 하나비 한다는데 같이 갈 사람 없어서 울었어…
-
오아시스명곡 3
half the world away 꼭 들어보세요
-
동생이 현실파악을 못하고 자꾸 의치대 노래를 부르는데 현실은 수도권 공대...
-
연논인문후기 6
유감없이쓰고왔습니다.. 결과와 상관없이 만족스럽네요 1-1, 1-2는 지금까지 쓴...
-
중독됐음 2
아몬드브리즈 중독
-
체인소맨 후기 7
원작초월 퀄리티.. N회차 할 만큼 재밌네요 레제<< Goat 그녀는 신이야
-
무언가를 포기해야만 얻는것도 있지만 꼭 무언가를 포기한다고 얻는게 따라오는건...
서로 가장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합의한 가장 원초적인 원칙이라서 그럴거에요 당사자들은 이러란 정의의 원칙에 동의하는 것이 자신에게 이익이 된다는 것 알고 있고, 이에 따라 만장일치로 동의하기에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 된다로 알고 있어요 저도 자세히는 모르는데 나름 작수 백분위 100 받았어서 아마 비교적 신빙성 있을거에요
1,2원칙 실행방안임 최소수혜자 이득같은건 무지의 베일해도 만장일치 안될거 같긴함
근데 1,2원칙은 만장일치 나올법도 함
1,2원칙만 만장일치면 되서 그런거 같아요.
맞겠죠?
그런 비판을 당시에도 받은걸로 아는데, 롤스는 “응 가상적 상황인데? 나도 이게 현실적으로 어려울거라는거 알아 ㅇㅇ” 라고 주장합니다.
자기가 자기 주장의 문제점을 알고도 의도적으로 누락한것은 연구 윤리 위반이다(o,x)
o..
깊게 파고들어보자면, 무지의 베일상에서 각자의 사회적 위치, 재능 등을 모르니 보편적으로 수용 가능한 원칙에 대해 합의하게 되는거죠. 또 롤스는 만장일치라는게 현실 사회에서 행해지는게 아니라, 본인이 무지의 베일 이라는 상태는 공정한 절차를 보장하며 이로부터 나온 합의는 만장일치적일 수밖에 없다 라고 주장하기에.. 본인이 그렇게 정의를 내린거니 별수 없죠
무지의 베일안의 개인들은 매우 이성적이고 도덕적이니까 이 개인들은 자신이 최소수혜자가 될 가능성을 고려하니까 만장일치로 1,2원칙이 도출되는 거 아닐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