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coffee [1373092] · MS 2025 · 쪽지

2025-09-15 00:29:19
조회수 90

강민철T 강E분 언매 인덱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85917

강E분 언매 인덱스


실전 모의고사 풀이 후 오답의 편의성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제가 보려고 만든 건데 필요하실 분도 있으실 것 같아서 올려요


EBS 교재페이지 + 문항번호 / E개념정리 / 강E분 교재페이지


수특

15 1번 최소 대립쌍과 음운 / 6

15 2번 표준 발음과 비표준 발음 – 연음 / 20

15 2번 표준 발음과 비표준 발음 – 거센소리되기 / 37

15 2번 받침과 관련한 표준 발음법 / 58

16 3번 음운 변동의 유형 / 16

23 1번 형태소의 구분 / 68

23 2번 품사의 통용(1) / 114

24 3번 복합어의 구조 분석(1) / 82

31 2번 안긴절의 문장 성분 생략(1) / 162

31 1번 다의어의 서술어의 자릿수 / 147

32 3번 부정 표현의 종류 / 198

38 1번 호칭어와 지칭어 / 210

39 2번 중세 국어의 자료 탐구(1) / 270

40 3번 중세 국어의 주체/객체 높임 표현 / 263

54 1번 최소 대립쌍과 음운 / 6

54 1번 국어의 음운 체계 / 9

54 2번 음운 변동의 표기 반영 – 비음화 / 23

54 2번 음운 변동의 표기 반영 – 된소리되기 / 28

54 2번 표준 발음과 비표준 발음 – 거센소리되기 / 37

54 2번 여러 가지 음운 변동 / 50

55 4번 여러 가지 음운 변동 / 50

55 3번 음운 변동의 표기 반영 – 된소리되기 / 28

55 4번 음절 구조의 제약과 음운 변동 / 12

55 3번 음운 변동의 표기 반영 – 비음화 / 23

55 3번 음의 동화와 관련한 표준 발음법 / 60

56 5번 표준 발음과 비표준 발음 – 유음화 / 23

56 5번 표준 발음과 비표준 발음 – 연음 / 20 

56 5번 표준 발음과 비표준 발음 - ‘ㄴ’ 첨가 / 34

56 5번 받침과 관련한 표준 발음법 / 58

57 6번 구개음화와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는 환경 / 29

57 6번 ‘ㅎ’ 탈락이 일어나는 환경 / 38

57 6번 ‘ㅡ’ 탈락이 일어나는 환경 / 43

58 2번 여러 가지 음운 변동 / 50

58 1번 모음과 관련한 표준 발음법 / 56

59 3번 음절 구조의 제약과 음운 변동 / 12

59 4번 동화의 유형 / 30

60 6번 겹받침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 / 46

60 6번 받침과 관련한 표준 발음법 / 58

60 6번 ‘ㅎ’이 들어간 겹받침의 발음 / 39

60 5번 반모음화(반모음 교체) vs 반모음 첨가 / 43

61 1번 의존 명사를 수식하는 관형어의 제약 / 97

61 2번 보조 용언의 의미 / 110

62 3번 형태소의 구분 / 68

62 4번 복합어의 구조 분석(2) / 83

63 6번 합성어의 어근 결합 방식 / 88

63 5번 어근과 어간의 구분 / 72

64 1번 동사와 형용사의 구분 / 104

64 2번 형태 변화를 예측할 수 없는 불규칙 활용 / 107

65 3번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구분 / 118

65 3번 다의어의 의미 확장 / 119

66 5번 접미사의 의미 / 75

66 4번 합성어 어근의 품사 / 89

67 6번 복합어의 형성 / 84

68 2번 부사어가 실현되는 방식 / 152

68 1번 문장 성분의 실현(2) / 141

69 3번 안긴절의 문장 성분 생략(2) / 162

69 3번 안긴절의 문장 성분 생략(3)) / 163

69 4번 문장 구조 분석(1) / 166

70 5번 주체 높임과 객체 높임의 실현 방법 / 177

71 6번 부정 표현의 종류 / 198

72 2번 관형어가 실현되는 방식 / 150

72 1번 서술어의 자릿수 / 146

73 3번 구조에 따른 문장의 종류 / 154

73 4번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과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의 구별 / 155

74 5번 안긴절의 종류와 기능 / 158

74 5번 문장 구조 분석(3) / 167

74 6번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의 기능 / 184

75 1번 문장 구조 분석(2) / 166

75 1번 문장 성분의 실현(3) / 141

75 2번 문장 성분의 실현(1) / 140

76 4번 구조에 따른 문장의 종류 / 154

76 3번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의 의미 관계 / 156

76 4번 안긴절의 종류와 기능 / 158

76 4번 문장 구조 분석(1) / 166

77 5번 문장 종결 표현의 종류 / 172

77 6번 능동문과 피동문의 대응 / 189

78 1번 담화 상황의 이해(1) / 220

79 2번 직접 발화와 간접 발화 구분 / 206

80 3번 담화 상황의 이해(2) / 220

81 4번 담화의 의미 / 204

82~83쪽 5~6번 담화의 응집성을 높이는 방법 / 218

84 2번 명사 파생 접미사와 명사형 전성 어미의 구별 / 254

84 1번 중세 국어의 주체/객체 높임 표현 / 263

85 3번 중세 국어의 합성 용언의 구조 분석 / 242

86 4번 중세 국어의 자료 탐구(2) / 270

87 5번 중세 국어의 자료 탐구(3) / 271

87 6번 모음 ‘∙’의 소실 과정 / 281

87 5번 중세 국어의 이어 적기 / 234

87 6번 근대 국어의 원순 모음화 / 281 

88 2번 모음 변동의 유형 / 44

88 [01~02] 유의 관계의 유형과 검증 방법 / 122

90 3번 음운 변동의 표기 반영 – 비음화 / 23

90 3번 음운 변동의 표기 반영 – 구개음화 / 27

90 3번 음운 변동의 표기 반영 - ‘ㅎ’ 탈락 / 39

90 3번 음운 변동의 표기 반영 – 반모음 첨가, 모음 탈락 / 44

90 4번 품사의 구분 / 94

90 4번 본용언과 보조 용언의 구분 / 110

91 5번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른 훈민정음의 자음 구분 / 231

92 [01~02] 유음화 / 23

92 [01~02] ‘ㄹ’ 탈락 / 38

92~93 2번 중세 국어의 ‘ㄹ’ 탈락과 유음화 / 239

93 3번 서술어의 자릿수 / 146

93 3번 안긴절의 종류와 기능 / 158

94 5번 복합어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 / 90

94 4번 사동 표현의 형성 / 193

94 4번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 / 193

94 4번 사동문에 대응하는 주동문을 상정할 수 없는 경우 / 193

95 1번 ‘ㅎ’이 들어간 겹받침의 발음 / 39 

95 1번 받침과 관련한 표준 발음법 / 58

96 2번 파생 접사와 어미의 구별 / 76

97 4번 문장 구조 분석(3) / 167

97 3번 접사의 다양한 의미 / 75

98 5번 중세 국어의 이어 적기 / 234

98 5번 중세 국어의 자료 탐구(4) / 271

99 1번 여러 가지 음운 변동 / 50

100 2번 복합어의 구조 분석(2) / 83

100 2번 시제 형태소의 기능 / 185

100 2번 어근들의 의미 관계에 따른 합성어 구분 / 89

100 2번 문장 구조 분석(4) / 167

100 3번 높임 표현 분석(1) / 178

101 [04~05] ‘이/가’, ‘을/를’ 보조사로 쓰이는 경우 / 100

101 [04~05] 부사격 조사와 보조사 / 101

101 [04~05] 조사의 종류 / 100

101~102 5번 중세 국어 조사의 특징 / 249

103 [01~02] 반의어의 종류와 위상 차이 / 123

105 3번 형식 형태소의 선택 양상 / 70

106 5번 중세 국어 조사의 구분 / 249

106 5번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의 명사 파생 접미사, 부사 파생 접미사 / 254

106 4번 문장 구조 분석(5) / 168

107 1번 1차 성분과 2차 성분 / 142

108 3번 표준 발음과 비표준 발음 – 자음군 단순화 / 19

108 3번 음운 변동의 표기 반영 – 된소리되기 / 28

108 2번 서술어의 자릿수 / 146

108 3번 표준 발음과 비표준 발음 – 거센소리되기 / 37

108 3번 받침과 관련한 표준 발음법 / 58

109 5번 중세 국어의 자료 탐구(5) / 272

109 4번 품사의 통용(1) / 114

224 1번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일어나는 환경 / 19

225 2번 안긴절의 종류와 기능 / 158

225 2번 안긴절의 문장 성분 생략(2) / 162

228 4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의 표기 / 128

225 2번 문장 구조 분석(1) / 166

226 3번 형태가 같은 피동사와 사동사의 구별 / 194

227~228 5번 ‘ㅎ’ 종성 체언의 형태 변화 / 244

236 1번 접미사 ‘-답-’의 의미 / 77

237 2번 부사의 역할과 특성 / 112

238 3번 담화 상황의 이해(3) / 221

239~240 4번 의문문의 구분 / 173

239~240 5번 중세 국어의 판정 의문문과 설명 의문문 / 260

258 36번 중세 국어의 자료 탐구(6) / 272



수완

87 1번 조음 위치, 조음 방법의 변화 – 비음화∙유음화 / 22

87 1번 조음 위치, 조음 방법의 변화 – 구개음화∙된소리되기 / 27

91 1번 합성어의 어근 결합 방식 / 88

92 3번 반의어의 종류와 위상 차이 / 123

92 3번 반의어의 구분 / 124

92 2번 형태소의 구분 / 68

96 1번 문장 구조 분석(6) / 168

97 2번 대명사의 미지칭 용법과 부정칭 용법 / 96

98 3번 높임 표현 분석(2) / 178

102 1번 지시 표현과 대용 표현의 기능 / 214

103 2번 중세 국어의 높임 표현 분석 / 263

150~151 35~36번 상대 높임에 대한 이해 / 179

151 37번 받침과 관련한 표준 발음법 / 58

152 38번 품사의 통용(2) / 115

152 39번 자음 ‘ㅿ’의 소실 / 280

152 39번 모음 ‘∙’의 소실 과정 / 281

152 39번 중세 국어의 모음 조화 / 239

176 35번 외래어 표기법의 원칙 / 136

177 36번 국어의 역사적 음운 변화 / 10

177~178 37~38번 단어의 의미 변화 양상 / 258

178 39번 간접 발화의 특징 / 207

205 36번 음운 변동의 적용 순서 / 46

205 35번 음운 변동 발생의 조건과 근대 국어의 구개음화 / 281

206 38번 중세 국어 자료의 시간 표현 / 266

206 37번 보조사가 쓰이는 자리 / 101

207 39번 지시 표현과 대용 표현에 쓰이는 단어 / 215

218 35번 여러 가지 음운 변동 / 50

232 37번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의 기능 / 184

232 37번 문장의 확대 / 155

232 36번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구분 / 118

233 38~39번 근대 국어의 표기법 / 280

233 38~39번 소리대로 적는 원리를 따르는 중세 국어 표기법 / 234

257 35번 시제 형태소의 기능 / 185

259 39번 지시 표현과 대용 표현 구분 / 215

259 37번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 / 106

259 38번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 / 106


오타가 있을 수 있습니다(제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급하게 만들어서 아마 내일 아침에 다시 올릴 것 같긴 한데 일단 올려두겠습니다


인덱스라고 검색하시면 다른 것도 조금 나오긴 합니다

rare-중꺾마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