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ngwon_주영 [1324551]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5-09-10 01:56:25
조회수 5,096

연세대 인문논술 첫날 경쟁률 심상치 않은(?) 부분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27153

안녕하세요, <인문논술 벼락치기> 저자 Jangwon_주영 입니다.

빠르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두서 없이 급하게 쓰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2026 경쟁률 심상치 않은 부분이 보여서 원래는 계획에 없던 칼럼 하나 던집니다.

2026 연세대 수시모집 첫날 경쟁률 방금 막 찍어왔습니다. (2025/9/10 00:20 촬영)

캡처된 해당 학과들은 모두 '인문 논술' 전형으로, 모두가 같은 시험지를 공유하는 통합 선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문/상경 계열 구분 X)


저희 팀에서 바로 직전 게시물에 5개년 지원자 수와 경쟁률 추이를 분석하여 올려드렸으니, 해당 게시물을 먼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게시물을 확인했다는 전제 하에, 설명 시작하겠습니다.

연세대 인문논술 쓰는 학생들이 경쟁률 눈치싸움을 하는데 도움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0. 전제

제가 첫날 경쟁률 지표를 유심히 봐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Case 1. 내가 정말 논술을 오래 준비했고 자신이 있는 '실수'이거나, 특정 학문에 대한 뜻을 가지고 깊은 탐구를 해 본적 있는 학생임

Case 2. 학원을 비교적 짧게 다녔고, 논술을 오래 준비하지는 않았음. 상향 원서로서 전략적으로 카드 한 장을 채우는 형태로 지원함


이 중, 눈치 안 보고 첫날에 지원할 케이스는 어디일까요?

당연히 Case 1 학생들입니다.

즉, '논술 괴물' 들은 Case 2 학생들에 비해 첫날에 지원하는 경향성이 높습니다.

첫날에 몰리는 과가, 실수들이 많은 과일 확률이 높은 것이죠.

그러므로 눈치 싸움을 위해서는 첫날 경쟁률의 경향성과, 마감 직전 경쟁률로 쌓인 표본의 경향성을 함께 고려하여 원서를 결정하셔야 합니다.


1. 철학과가 매우 심상치 않다

철학과는 원래, 오로지 연세대 철학만 바라보고 논술을 쓰는 학생들이 경쟁률 눈치 안 보고 뽑는 경향이 있어서 최초 경쟁률이 높고 시간이 갈 수록 안정화되면서 전체에서 중하위권 경쟁률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근데, 10:1이라는 수치는 예상을 벗어나는 높은 수치입니다. 거의 경영학과에 필적할 수준으로 철학과 경쟁률이 높게 잡힙니다.

늘상 최고 인기과인 경영학과 수준으로 경쟁률이 잡혔다면, 앞서 [전제] 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실수 학생들이 몰려 있을 확률이 큽니다.

심상치 않네요..

문과대에서 가장 인기 많은 학과인 심리학과의 7.25:1도 뛰어넘었고, 심지어 어쩌면 경영보다 더 논술 괴물들이 쓰는 언홍영의 7.6:1도 뛰어넘었습니다.

최종 경쟁률은 일반적인 철학과 경향 상 문과대 중위권 정도로 잡힐 것으로 보이지만,, 첫날 경쟁률만 본다면 실수가 몰려 있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자랑스럽다 진리의 빛 연세철학!) (더 높이 올라가자)


2. 국어국문도 심상치 않다

전통적으로 문과대 경쟁률 1황은 심리학과, 2황이 영어영문학과입니다.

아무래도 국문은, 영문보다는 낮고 불문 중문 노문 독문보다는 높은 경쟁률을 가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좀 다를 수도 있겠네요. 국문과 첫 날 경쟁률이 상당히 높게 잡히네요.

국문도 철학처럼 초기 경쟁률이 튀는 경향이 있는 학과기는 하지만, 그래도 다소 높게 잡히는 감이 있습니다.

하루 앞서 원서 접수를 시작한 고려대 경쟁률을 보면, 국문과 철학이 튀고 있기는 하지만, 유사 경쟁률을 가진 타 학과가 다수 존재한다는 점에서 연대 국문이 조금 더 튀는 감이 있습니다.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이, '다음 세대 한강'들에게 영향을 주었을까요?

조만간 문과대 1, 2황 자리를 철학과 국문한테 넘겨줄지도?

 

3. 진리자유학부, 생각보다 안 터진다?

제가 이전 게시물에서, 한양대의 사례를 들며 진리자유학부가 경영학과를 필적할 높은 경쟁률을 가질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그런데, 경영의 10.07:1과 비교했을 때 진리자유의 첫 날 경쟁률은 5.75:1, 문과대 경쟁률 대장인 심리학과보다도 적습니다.

진리자유학부가 입학 후 메리트가 크기에, 긍정적으로 고려해볼만 한 대표적인 과로 판단됩니다.


4. 경제학과 인원 반토막, 성능 확실하네

논술 외의 수시 전형에서 상경대학에 '상경계열' 이 신설되고, 진리자유학부 신설 인원을 상경대학 논술 인원에서 빼 오면서, 경제학과 첫날 경쟁률이 많이 나오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13명, 2025년 10명을 뽑던 경제학과가 올해는 단 5명만을 모집합니다.

2024년 4명에서 2025년 2명으로 감소한 응용통계학과는 오히려 경쟁률이 올라간 만큼, 인원이 준다고 경쟁률이 반드시 내려가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경영과 항상 세트로 따라다니는 인기학과인 경제학과의 첫날 경쟁률이 5.00:1이라면, 예전의 연세대 경제보다는 경쟁력의 위상이 확실히 낮아진 것이 느껴집니다.

경영학과에 벽을 느껴 경제를 쓰던 학생들이, 이번에는 진리자유학부라는 또 다른 선택지가 생겼음을 생각하면, 해당하는 학생 집단이 진리자유와 경제로 양분된 감이 있는 것 같습니다.


5. 결론

여전히 선택은 학생의 몫입니다. 결국 논술을 직접 응시하고, 자신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건 자신 뿐이니까요.

해당 자료는 경향성을 예측하고, 연세대 논술 합격자이자 저자, 강사로서 드리는 제언이므로, 참고용으로 잘 확인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이 사람 너무 빙빙 돌려 말하는데' 라고 느끼시는 분들을 위해, 다른 결론도 드리겠습니다.

누가 칼 들고 협박하면서 '야 나 연세대 논술 어디 쓸까' 라고 묻는다면, 철학과 쓰라고 얘기 하겠습니다. 저를 협박했으니까요 ㅠㅠ

그리고 뒤에서 몰래 진리자유랑 경제 중에 고민하다가, 경제 넣겠습니다.



*연세대는 인문논술 전형에 대한 결과나 통계 자료를 정말 거의 공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가 드리는 내용도 어디까지나 예측입니다.

즉, 제가 드리는 내용중에 '사실'과, 이를 기반으로 한 자체적인 '예측과 분석'이 섞여 있습니다.

사실은 이견 없이 받아드려도 좋으나, 제 분석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원서 영역은, 학교의 모든 통계를 가진 행정 담당자가 아니라면, 그 어떤 논술 전문가도 정확히는 맞출 수 없는 영역입니다. 

(이건 명백한 '사실' 입니다.)

본 게시물에서, '심상치 않다', '예측된다' '~할 것으로 보인다' 는 예측과 분석의 영역으로, 여러분은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제가 단정적으로 '~이다.' 라고 서술하는 것은 사실의 영역이므로,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사실의 영역을 잘 받아들이시고, 예측과 분석의 영역을 잘 참고하시어 슬기로운 원서 접수를 하시면 좋겠습니다!

또한 제가 과의 경쟁률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표현들은, 과의 수준, 입결, 아웃풋 등과는 관계없는 서술입니다.

댓글에 인문논술 관련해서 궁금한 말씀 물어봐주시면, 제가 답변 가능한 한도 내에서 답변 드립니다!

연세대학교 인문논술 지원하는 모든 학생들을 응원합니다 :)



합격자가 직접 집필하여, 사후적 풀이는 배제하고 ‘실전적 요소’를 극대화한 지금까지 없었던 인문논술 교재!

인문논술 시험 직전 '3일 컷 독학서' <인문논술 벼락치기> 연세대학교 편 출간!

구매 바로가기: https://atom.ac/books/13535/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삼환 · 824224 · 09/10 02:01 · MS 2018

    연세대 철학과에 선우환 교수님 계시다고 누가 소문낸 거야…

  • Jangwon_주영 · 1324551 · 09/10 02:02 · MS 2024

    ㅋㄱ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하루빨리 선우환 교수님 수업 들을 날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교수님수업들을때까지숨참겠습니다 흡!

  • 유삼환 · 824224 · 09/10 02:03 · MS 2018

    하 저 교수님이 학부에서 여시는 수업 네 개 다 들었는데 더 듣고 싶어요 흑 ㅠㅠ

  • Jangwon_주영 · 1324551 · 09/10 03:35 · MS 2024

    인문논술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여기 댓글로 질문해주세요!!
  • 동방프로젝트는현역임 · 1410153 · 19시간 전 · MS 2025

    진리자유학부 마지막날 가면 몇백대일 찍힐듯?

  • Jangwon_주영 · 1324551 · 18시간 전 · MS 2024

    자율전공의 메리트가 크기도 하고, 경제와 경영 인원 감소로 인하여 해당 지원자 풀이 진리자유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어 세 자리 대로 끝나기는 할 것 같습니다. 다만 첫날 진리자유의 경쟁률이 막 높지는 않다는 점에서 그 수많은 지원자 중 실수들의 비중이 어느 정도 되는가에 대해서는 조금은 좋은 전망으로 볼 수 있겠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 국평5 · 1312880 · 18시간 전 · MS 2024

    고려대는 확실히 어문이나 교육쪽이 뚫릴거 같습니다

  • Jangwon_주영 · 1324551 · 18시간 전 · MS 2024

    경쟁률을 보아하니 나쁘지 않게 잡히는 것 같아요. 고려대는 오늘이 마지막이라 슬슬 경쟁률이 뻥튀기되기 시작했는데, 고려대 역시 철학과가 유달리 터지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작년에 '마감 경쟁률'이 60:1 정도였는데, 벌써 그 정도로 집계가 되네요 ㄷㄷ

  • 국평5 · 1312880 · 17시간 전 · MS 2024

    ㅋㅋㅋㅋ 저도 이런걸 4년동안 보고 있으니 어디가 구멍이 날지가 대충 보이네요

  • 사람답게살자 · 725059 · 16시간 전 · MS 2017

    철학과 경쟁률 뻥튀기는 로스쿨때문이아닐지 ㅋㅋ

  • Jangwon_주영 · 1324551 · 12시간 전 · MS 2024

    사실 주변 보면 철학 아니여도 문과대 사과대는 전반적으로 로스쿨을 많이 준비하는데, 특히 철학에 몰리는 점은 신기하긴 하네요

  • Jangwon_주영 · 1324551 · 12시간 전 · MS 2024

    철학과가 유달리 로스쿨 비율이 높긴 한 것 같습니다 ㅋㅋㅋㅋ 철학에서 사용하는 논리랑 가장 연계되어있기도 하고, 저희 선배 초청 프로그램도 보통 로스쿨 수석입학 선배 초청하는 등 관련 진로를 많이 진출하는 것 같긴 하네요

  • AUDI_Maker · 1371953 · 8시간 전 · MS 2025

    내가보기엔 약간 물리학과, 수학학과같은 느낌..

  • Jangwon_주영 · 1324551 · 8시간 전 · MS 2024

    수리쪽이 경쟁률만 봤을땐 물리, 수학의 경쟁률이 그렇게 높지 않은데, 철학이 경영보다 높은 지금 상황은 굉장히 이례적인 현상 같네요.. 마지막 날에도 이 정도일까요? ㅋㅋㅋ

  • AUDI_Maker · 1371953 · 8시간 전 · MS 2025

    대신 찐한거죠.

  • AUDI_Maker · 1371953 · 8시간 전 · MS 2025

    철학과 농도 99% 우라늄인듯

  • 연세대 아카라카 · 1236933 · 11시간 전 · MS 2023 (수정됨)

    고려대 사범 논술 썻고 최저는 괜찮은데 지금부터 시작해도 괜찮을까요ㅜㅜ

  • Jangwon_주영 · 1324551 · 11시간 전 · MS 2024

    지금부터 기출 한 바퀴 돌려서 추석 연휴동안 공부하고, 이후에는 수능 한참 준비하다가 수능 직후 감 다시 끌어올리는 플랜이면 수능 최저 낭낭하게 확보하고 논술까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

  • 인생망한정신병자 · 1319206 · 8시간 전 · MS 2024

    혹시 벼락치기 교재 출간 예정인 학교가 연대 말고 또 어디 있는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 Jangwon_주영 · 1324551 · 8시간 전 · MS 2024

    고려대, 한양대 현재 작업 진행중입니다!
    올해의 목표는 적어도 수능 3주 전까지 [연고서성한중경외] 까지 8개 대학의 전체 출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 심찬우fan · 1343866 · 7시간 전 · MS 2024

    아 국문쓸건대 ㅠㅠ

  • Jangwon_주영 · 1324551 · 2시간 전 · MS 2024

    다행히 둘째날 느낌이 철학만큼 팡 튀진 않았어요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화가 된 것 같습니다. 추천할 정도는 아니더라도 철학만큼 말릴 정도는 또 아닌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