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의 정법 9모 11번 기린의의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22695
일단, 계약 자유의 원칙과 계약 공정의 원칙의 내용,범주를 비교해보자
계약 자유의 원칙 -> 자신의 법률관계를 자유로운 의사에 기초하여 형성할 수 있어야 하며, 국가가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원칙
계약 공정의 원칙 -> 공정성을 잃은 계약은 무효로 하고, 권리 행사와 의무 이행에서의 신의 성실의 원칙을 강조함. -> 계약 자유의 원칙에 대한 보완
출처 ( 최적 개념 시스템 )
여기서 우리는 24수능의 기출에서 교훈 하나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문제를 봐 보자
답은 3번인데
당시 현장에서 A를 계약 공정의 원칙으로 학생들이 많아 정답률이 평소보다 낮았다.
이 문제에서 얻어갈 교훈은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 약정은 A에 의하여 허용된다
-> 자유롭게 성립된 계약을 A에 의해 보장한다 . 즉 , 계약 자유의 원칙에 따라 이 계약을 허용해야한다는 말이다.
근데 이걸 공정의 원칙으로 볼 수 있지 않은가? 라고 생각한다면 틀렸다.
공정의 원칙 개념 자체를 다시 봐보자.
공정성을 잃은 계약은 그 효력을 무효로 한다 -> 이 개념을 제대로 봐야한다.
이 원칙이 계약 체결 여부, 계약 내용 형성, 계약 방식 선택 과정에서 발생하는가?
216식 논리를 써보면
“무효로 한다 ” -> 있어야 무효로 만들지
이미 형성된 계약 중 사회에 반하는 계약 하나를 ‘조진다’
이게 공정 원칙의 내용이다.
그니깐 정리하자면
공정 원칙은 하나의 스킬이라고 보면 되는 것이다. 사회에 반한 계약을 무효로 때리는 것 자체의 내용이 있어야야 공정 원칙이라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계약 자유의 원칙과 헷갈려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서 온다.
공정 원칙을 통해서도 계약을 “바르게” 형성하고 웅앵웅.. 그럴 수있지 않나? 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형성되는 과정에 있지 않다. 있어야 무효로 만들지 . 그냥 공정 원칙은. 스킬이다. 무효시키는 스킬.
설명을 덧붙이자면 그동안 우리는 기출을 통해 근대의 민법원칙 또한 현대에서 쓰인다는 것이다.
그니깐 이걸 어떻게 봐야하냐면, 계약 자유의 원칙과 계약 공정의 원칙의 교집합을 없다고 생각하라는 것이다.
형식적 법치주의와 실질적 법치주의의 관계와는 딴판인 거라는 것임
계약 자유의 원칙에 포함되는 계약 성립과 체결 등을 공정의 원칙에서도 자유롭게 보장하되, 사회에 반하면 무효로 한다. -> 이렇게 생각하면 안된다는 것임. 아니 그럴거면 애초에 계약 자유의 원칙 자체가 필요없지 이미 공정의 원칙에서 다 커버치고 있는데.
계약을 자유롭게 하게 만들게 둔 다음. 얘네가 이상한 짓거리를 하는 순간 제재를 때리는 걸로 ’보완‘ 하는건데.
제재를 때리는 것 자체만을 계약 공정 원칙으로 보겠다는 것.
그럼 이제 9평 문제를 봐 보자
“ 이에 대법원은 해당 약관이 A의 한계를 일탈하여 약관 조항을 무효로 볼 정도에 이르렀다는”
-> 여기서 약관 조향을 무효로 볼 정도에 이르다를 B라고 보면
A의 한계를 일탈하여 B를 적용시킬 정도에 이르렀다는
이라고 해석된다.
그럼 여기서 앞서 말했듯 B를 하나의 스킬로 본 관점으로 계약 공정 원칙이라고 땅땅 결정 지으면
B의한계를 일탈하여 B를 적용시킬 정도..? 뭔리개소리지 -> cut
가볍게 A를 계약 자유의 원칙이라고 보면 된다
사실 이외에 그냥 독해로 A를 유추하면 되긴 하는데. 필자는 국어 똥멍충이라 현장에서 ㅈ도 안돼서 24수능의 교훈을 삼아킬스킬적?
풀이를 구사해보았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1시에 한다매..
-
국어1컷으로는 안되나요? 참고로 수학은 컷 조금 넘은 낮3입니다. 이번에 태어나서...
-
샘앞에서 연기해야함..근데샘은 날예뻐하신단말이지ㅜㅜ
-
아직 상위권 표본 안들어왔나
-
영어는 둘다 1이니 안세도 되겠지 6모 -4 -1 -0 -0 9모 -6 -0 -1 -1
-
아수라랑 우기분 병행하려하는데 아수라 정해진분량 푸는데 몇시간정도 걸려요? 하루에...
-
물2지2 선택자 합친거랑 비슷하네 ㅅㅂㅋㅋ
-
사문 26만이면 1
수험생 절반은 사문하는거냐?
-
5개년 분석하고 그 전꺼는 실모처럼 활용하는거 어떰? 9모는 언매 93인데
-
ㄱㅂㅈㄱ
-
설대 농대가 적정인데 고대 학종으로 경영 쓰면 붙을 확률 어느정도라 보시나요
-
올해 무전공 개터질 것 같지만 걍 질러볼게 뚫으면 그만이야
-
무빙건도 9평땐 4
4개나 틀렸다고 함. 파이팅
-
지거국 ㄷ 인서울 여대 14
어디가 더 괜찮나요
-
국민대 이과 0
종합으로 국민대 지원하려는데 괜찮을까요 전과목 2.8이고 국영수과는 2.5 입니다...
-
가능세계는 드라마로도 안 써지나요?
-
명함도 내밀기 힘드네요.
-
ㅇㅇ 아마 매우 높은 확률로 이윤민이 패스 양도권을 판다고 했고 제 3자가 살거처럼...
-
고대 성균관대 한양대 중앙대 중앙대 홍익대 이과입니다... 내년까지 하기 싫어요...
-
ㅈㄱㄴ
-
한양대 상경논술 0
수리논술 범위가 미기확 수1수2인데 어느정도로 공부해야할까요 미적 수1 수2는...
-
여타 인문 지문이랑 비슷하게 읽었는데 다 읽으니까 머리에 남는게 없네 ㅋㅋ
-
한양대논술 0
벌써 이렇게 높으면 어쩌라는거냐... 의대가 98:1인데
-
근데 국어는 왜 5
구문독해강의가 거의 없는걸까 영어처럼 주어 동사 목적어 수식어구 이렇게 분석하는...
-
사이트기준 1컷 85 (1컷판독기가 또) 독서 -10 / 문학 -0 / 언매 -7...
-
언미정사인데 112만점만점으로 가능해보이나요? (제가 그런건아님)
-
하 ㅅㅂ 독서 ㅈㄴ 안되는 거지 왜
-
한완수 하편 1
제가 한완수 상,중,한완기를 다 끝내면 10월 중순쯤 될것같은데ㅠ 그때 한완수...
-
거리는 아예 신경 안 써요 이과로 하면 어디가 낫나요?
-
핵심내용 로슈거리: 행성이 파괴되지 않고 접근할 수 있는 거리상의 한계 로슈거리...
-
서울대 치전원 가기에 대입에서 딱히 유리한 대학이나 학과는 없는건가요?
-
읽을만한거 나오면 1등급 ㅈ도모르겠는거 나오면 3등급 이렇게 널뛰기하는데 어떻게 공부하면 되나요
-
수학 n제 고민 0
이해원이랑 설맞이 중에 뭐할지 고민인데 뭐가 나을까요?
-
고논 최저있음? 2
ㅈㄱㄴ
-
독서+문학 세트입니다 택포 15000원 쪽지주세요
-
갑자기 쌀쌀해져서 그런지 존나 외로움
-
둘다 최저는 맞출 수 있는데 둘 중 어디 쓰는게 나을까요?? 경희대 사회계열은 안...
-
사문 질문 ㅠㅠ 9
빨간 펜으로 쓴게 왜 발명인가요? 문화융합 아닌가요? 알려주실 천사분 ㅠㅠ
-
고려대 문과에서 0
중소가는거 흔한가요?
-
날씨가 선선해지니까 10
국밥이 땡기는구나
-
개념 막 완강한 4~5등급인데 실전커리 듣고 나면 뭐 풀지 너무 어렵기만한건 도움도 안될것같음
-
작년까지는아닌데 4합6 이런 곳은 2.1정도만되도 지역인재교과로 갈 수 있을듯...
-
하제발여ㅜㅜㅜㅜ지금 5-6번임 1힉년은 개근
-
유리한거아님??
-
잠 부족한거임? 님들은 하루에 몇시간자노
-
삼년내내 전자공학으로만 채워진 생기부인데 한양대 전기공학과(전자공학x)에 지원해봐도...
-
3합4 최저 맞추더라도 내신이 3점대면 가망 없다고 봐야하나요? 이 내신이면 수시는...
-
부산대 경북대랑 국숭세단 비교하면 어디가 낫나요? 거리는 아예 상관 없구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