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매 음절관련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612499

음운이 소리를 가지는 최소 단위
음절이 한번애 발음할 수 있는 소리의 최소단위가 맞나요?
예를들어 나뭇잎은 3음절이고 음운은 나문닙이라 8개
아무튼 ㅎ축약과 자음군 단순화가 잘 구별이 안가는데
자음군 단순화 부분에서 음절의 끝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어요
넣어에서 ㅎ은 음절의 끝이 아닌건가요? 어케 구별해야하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480점이면 지금으로따지면 한두과목빼고 모두 1등급이라는 말인가요?
-
중3 아들의 영어 공부를 도와주고 싶어서 만든 MagicVoca를 소개합니다....
-
아이고
-
삼각함수 도형 활용이 너무 안풀려요ㅠㅠ 머리아프고 열나는거 같아요 진짜
-
지금까지 싹다 응시하는 게 말이 되냐
-
조띠ㅢ따!!
-
닥가슴살로만들 치킨 먹으면 살도 안찌고 좋겠지
-
그냥 N제로 내라고 씨발새끼들아
-
왜 이렇게 안 오르고 맨날 시간이 부족하지 하
-
빠답이 필요한데 혹시 찍어서 보내주실 분 계신가요? ㅜㅜ 부탁드립니다
-
수시론 국민대 경제쪽 안정이라 쓸수 있고 정시로 숭실대 어문계열 60이상 나오는데...
-
이렇게 정리돼있는 자료가 없어서 직접 만들었습니다ㅜ
-
어제 새벽에 떡볶 먹엇슨…. ㅠㅠㅜㅋㅋㅌㅌ 배가안고파
-
가능성 있나 1:1과외쌤 붙여서 주3~5회 과외하고
-
논술 내신반영이 평균내신으로 반영되는건가요?
-
공격적 도전을 해볼 것인가 6,9모와 각종 사설들 대부분 국어점수가 1컷 -1문제 ~ 1컷 +1문제
-
어제 올린 문제에 대한 해설을 간단하게나마 적어봤습니다. 미적분 문제 만들기 너무...
-
어디감
-
2026학년도 인문 논술 6논술 조합 추천 - 날짜 최저 도표 영어 수리 총정리 1
2026학년도 인문 논술 전형 준비생들을 위해 대학별 일정, 최저 기준,...
-
원서접수 하려는데 기숙사 신청을 하라고 하네요 직영 기숙사랑 민자 기숙사 2개가...
-
기하 붐이 드디어 온거임? 내가 그렇게하라고했는데 미적분 하지도 못하는 자들은
-
수시카드중에 그나마 안정으로 쓰는 거 성대 공학계열vs성대 전기전자 둘 중에...
-
다시보니까 계약학과 진짜 지금이 미친 저점 맞는 거 같음 9
자꾸 계약학과라고 불러서 이해 못하는 사람들이 그냥 연고공 높공 서울대 공대 박는데...
-
이번 9모 미적 6,15,21,28,30틀 뭐푸는게 좋음
-
결과 0
서류보완필요
-
평가원 기준 뭐라고 생각함.??? 난 갠적으로 작9평 27은 말이 안될정도로 쉬운거같던데..
-
지균으로 가야하나 ;; 열심히 해서 다 초록색 떴으면 좋겠네요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
기하 설맞이 0
기하 설맞이 새로나온거 풀어보신분있음??
-
정시로 과기대 목표인 사람인데 미적 언매 물지 42224뜸 국어 아예 노배라...
-
1민 5천명이면 꽤나 선방한듯
-
ㅇㅇ 교과로
-
고논 살아있? 2
ㅈㄱㄴ
-
한국교원대 인식 6
사범대 준비하는 저로써는 건동홍 이상인 거 알지만 일반 교육쪽 준비가 아닌...
-
최저빡센 논술은 개꿀통임뇨
-
아무리 보기3개 넘겼다 해도 18분은...
-
장염 탈수 입갤 1
ㅆㅂ 수액맞는중
-
꼬르륵 0
준나쪽팔려서 죽고십ㄷ2
-
85 -> 84 -> 81 -> 70 꾸준히 우하향중 다행히 평가원은 백분위는 우상향중 수미잡!!
-
나온다지 않음? 올해 수시 모집요강 보니까 수학은 없는데
-
기하 수능 2등급 받은 적 있음/ 미적 1컷 확통은 액기스만 들었는데 문제는 잘...
-
'황금돼지띠 영향' 수능 응시생 55만 돌파…10명 중 6명 '사탐런' 2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생이...
-
7회 풀어봤는데 걍 개어려운디
-
머가 더 빡셈요?
-
지금 빨더텅 푸는데 항상 2등급나와요.. 이다지 개념완성 문풀상권하고 실력이...
-
독기 내놔 0
나도 독기 가져보고 싶돠
-
전역하면 투룸으로 옮겨야지
-
feat. 감자까앙 나는 이제 지쳤어요 땡벌땡벌
-
현생 바쁘게 살고 있어요
-
왕복 1시간 30분을 길에 내버려야한다니
-
연세대 인문논술 쓸 '야수의 심장' 여러분, 모두 모이셨습니까? 제 소개부터...
음운은 말그대로 구별하니까 발음 기준이 아니에요 써있는 그대로로 세야해요 3음절은 맞고요
음절은 발음되는 건데 음절 구조에 의한 제약이 음끝이랑 자단이에요
ㅎ탈락이랑 자단은 ㄹㅎ이랑 ㄴㅎ환경에서만 구분하면 되는데 ㄹㅎ과 ㄴㅎ 뒤에 모음 시작 형식형태소가 오면 ㅎ탈락이고 ㄴ이 오면 자음군단순화에요
1. 음운은 소리를 가지는 최소 단위라고 이해해도 큰 문제는 아니지만 의미를 변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로 정의하는 게 정확합니다.
2. 네 음절은 그렇게 독립해서 말할 수 있는 최소 단위로 이해하셔도 무방합니다.(정확한 정의는 어렵지마는) '아침'에서 '아'와 '침'이 각각 음절입니다.
그러므로 '나뭇잎'은 '나, 뭇, 잎'으로 음절이 3개고(발음을 기준으로 한다면 '나, 문, 닙'으로 3개가 되겠죠), 음운은 /나문닙/이므로 ㄴ, ㅏ, ㅁ, ㅜ, ㄴ, ㄴ, ㅣ, ㅂ의 총 8개가 나옵니다.
3. ㅎ 축약은 없습니다. ㅎ 탈락이랑 헷갈리신 것 같습니다. ㅎ 탈락과 자음군단순화를 구별하는 법은 간단합니다. ㅎ 탈락은 연음 후 ㅎ이 탈락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고, 자음군단순화는 연음이 아닌 단독으로 쓰이거나 혹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어미와 만날 때 자음군이 단순화되는 것입니다.
'끊어>끄너'와 '넣어>너어'가 ㅎ 탈락인 이유는 ㅎ이 모음 사이 또는 울림소리 사이에서 탈락하기 때문입니다. '넣어>너어'를 ㅎ 탈락으로 보는 순간, 같은 성격의 '끊어>끄너'도 ㅎ 탈락으로 보아야 합니다.
반면, '끊는>끈는'은 ㄴㅎ이라는 자음군이 '-는'이라는 자음 어미와 만나면서 ㄴㅎ의 ㅎ이 탈락하는 것이므로 자음군단순화로 설명합니다. 이는 '읽는>익는>잉는'과 동일한 경우입니다. 우리말에서는 자음이 세 개 이상 연속해 올 수 없으니 ㄹㄱㄴ의 연쇄에서 ㄹ이 탈락하고 '읽는>익는'의 자음군단순화가 일어나는 것이죠.
'끊는'도 마찬가지입니다. ㄴㅎㄴ이라는 연쇄가 불가능하니 가운데의 ㅎ이 탈락하는 것이고, 이는 모음/울림소리 사이의 ㅎ 탈락과는 성격이 다른, 음절의 제약에 의한 음운 현상이므로 자음군단순화로 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