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일년_ [1262626] · MS 2023 · 쪽지

2025-09-05 20:43:12
조회수 209

260628 이계도함수 존재 조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69020

260928은 같은 상황인데 미분가능만 준거 보면

260628에서 무지성 두번 미분으로 풀고 난 다음에

미분가능으로만 풀리는 풀이 분석 안한 사람들이 260928에서 털리게 하기 위한 평가원의 3달짜리 계획이 아니었을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꺾이지 않는 마음 · 1193639 · 8시간 전 · MS 2022

    이계도존재한다만 보고 미분미분이 무조건맞다는 사람있었는데 흠 ㅋㅋ

  • 꼬얌잉​ · 1382943 · 8시간 전 · MS 2025

    상관 없지 않나용
    9모는 g(x) 이계도함수 조건 없으니까 우변 두번 미분하지말고
    f"(pi)=0을 f(x)가 대칭인거만 봐라고 해석 했는데

  • 벌써 일년_ · 1262626 · 8시간 전 · MS 2023

    f가 3중근을 가지는 논리가 g의 미분가능에서 파생되는거라 260628 미분가능으로만 변곡접선 상황 나오는 원리랑 같아요

  • 꼬얌잉​ · 1382943 · 8시간 전 · MS 2025

    혹시 f(x) 삼중근 선제적으로 알수가 있나요
    저는 식으로 g(pi)=2pi 넣게 돼서
    조건 따라가다보니까 삼중근 얻어가지고

  • 벌써 일년_ · 1262626 · 8시간 전 · MS 2023

    우변 합성함수의 겉함수 x-tanx가 x=2pi에서 3중근 변곡점을 갖는데, g가 미분가능하므로 g 곡선 위의 모든 부분이 y=t꼴의 상수함수와 만나는 점의 차수가 1이상이어야 합니다.

    차수가 1보다 작으면 접선의 기울기가 무한대로 발산하는 미분불가능한 곡선이 되기 때문에요

    따라서 우변 합성함수의 x=pi에서의 차수는 3×(1 또는 그보다 큰 실수)이므로 3이상인데, f의 가능한 최대차수가 삼중근으로 나오는 상황인 3이므로
    좌변 우변 함수의 차수가 3인 상황만 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좌변 삼차함수가 x=pi에서 삼중근을 가져야만 g가 x=pi에서의 접선의 기울기가 무한대로 발산하지 않고 미분가능할 수 있습니다

  • 개미키미 · 1369708 · 8시간 전 · MS 2025

    아 씨 뭔소리지..... 공부 더해야 겠네.....

  • 수학황이될래요 · 1392440 · 8시간 전 · MS 2025

    근데 단순히 상황 파악 자체는 이미 6모에서 비슷하게 제시하기도 했고, 삼중근 조건은 이미 f'(pi)=0으로 결정되어서 굳이 안 준거일 수도 있을거 같아여

  • AlphaBeta123 · 1396968 · 8시간 전 · MS 2025

    와 그게 딱 나임 9모 28번은 뭐랄까 무지성 미분이 아니라 합성함수를 보는 시야를 많이 길러야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