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아시스낙타 [1326686] · MS 2024 · 쪽지

2025-09-05 10:23:18
조회수 184

9모 영어 문법에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63620

답이 2번이잖아요

뒤에가 완전해서 찍긴했는데

이게 that으로 바뀌어서 동격으로 되야하는건가요? 자세히 어떤구조인지 잘 모르겠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투성애자 · 1348501 · 21시간 전 · MS 2024

    그냥 관계부사로 바꾸먄 되지 않나

  • 오아시스낙타 · 1326686 · 21시간 전 · MS 2024

    좀만 자세히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ㅜㅜ 저 문법이 약해서..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시간 전 · MS 2019

    안녕하세요. 차근차근 생각해 봅시다.

    원래 다음의 두 문장이 있었습니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자연 꿀은 또한 섞인[혼합된] 꿀이라고 불린다.
    ⓑ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in the 'blended honey'.
    다양한 원천에서 온 꿀은 'blended honey(혼합된 꿀)' 속에 함께 섞여 있다.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를 이용하여 한 문장으로 합치겠습니다. 이때, ⓑ 문장을 관계대명사절로 사용하겠습니다. 관계사를 이용해 두 문장이 하나로 이어질 때는 다음의 원칙을 따릅니다.

    1. 두 문장에서 의미상 겹치는 어구를 찾는다.
    → ⓐ의 'blended honey'와 ⓑ의 'the blended honey'가 겹침.

    2. ⓑ 문장에서, 겹치는 어구가 전치사 in의 목적어 자리에 앉아있고 사물이므로 관계대명사 which로 바꾼다.
    →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in which.

    3. 관계사는 자신이 있던 문장의 맨 앞으로 이동한다.
    →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in.

    3.5 전치사의 목적어를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바꿀 경우, 자신의 목적어(blended honey)를 잃고 홀로 뒤에 남은 전치사를 관계대명사 앞으로 옮겨줄 수 있다.
    → In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4. 관계사절을 선행사의 바로 뒤로 이동시킨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in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 계속적 용법으로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관계사절의 바로 앞에 콤마를 찍어준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in which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

    위의 2단계에서, 다시 다음과 같은 조작을 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2. ⓑ 문장에서, 겹치는 어구를 'the blended honey'라는 명사에 한정하지 않고 'in the blended honey'라는 전치사구라고 생각하면, 전치사구(in ~ honey)가 부사구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in 전치사구'를 통째로 장소의 관계부사 where로 바꿔 쓸 수 있다.
    →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where.

    3단계, 4단계를 거쳐 다음의 문장이 탄생한다.
    → Natural honey can also be called 'blended honey', where honeys from various sources are blended together.


    따라서 in which 또는 where 형태는 가능하나 which 형태로 쓰는 것은 불가능하다.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시간 전 · MS 2019 (수정됨)

    동격 that은 말 그대로 that 앞뒤의 어구(또는 내용)가 동격일 때 사용하지만, 여기서는 관계사절의 내용이 일어나는 '장소'로 선행사('blended honey')를 꾸며주고 있기 때문에 동격이라 볼 수 없습니다.

    ---

    관계부사 that의 경우 (주로 구어체에서) 다른 관계부사를 대신할 수는 있지만 계속적 용법으로는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 that ~' 형태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

    결국, 관계사절에 대한 이해가 받쳐주지 않으면 제 설명도, 다른 강사님들의 설명도 이해할 수 없거니와 문제를 제대로 풀 수도 없습니다. 어려운 수준의 어법 문제가 아니니 관계사절 파트를 다시 공부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영어를 두리뭉실하게 느끼시는 분들이 많은데, 언어도 일정한 규칙과 체계를 가지고 있는 만큼 대부분의 개념에서 원리가 존재합니다. (수학으로 치면 증명과정이 존재한다는 뜻)

    두리뭉실하지 않게 공부하시면, 명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which 뒤는 불완전 ~', 'what 뒤는 완전~' 처럼 가르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학생들을 위한 유용한 스킬은 되어주나 사실 불완전한 설명입니다. (이렇게 가르치는 분들 스스로도 이미 모두 잘 알고 계실 겁니다) 하지만 절평 기조에서 요구하는 학생들의 니즈에 맞춰 빨리빨리, 짧게 가르칠 수밖에 없다 보니 개념이 점점 불완전해지고, 그러니 조금만 문제가 꼬여도 틀리는 경우가 나오는 거죠..

  • 오아시스낙타 · 1326686 · 20시간 전 · MS 2024

    아하 장소로서 이해했어야 하는군요.. 친절하고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ㅜ!! 댓글보고 정리해볼게요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20시간 전 · MS 2019 (수정됨)

    저는 증명과정을 풀어써드린 것이고, 가장 쉬운 풀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which는 관계대명사이다.
    2. 이는 곧, which가 원래 선행사(blended honey)와 동일했다는 의미이다.
    3. which를 blended honey로 풀어 써보면, 이 명사구가 갈 명사 자리가 없다. 주어에는 이미 honeys가 있고, 본 문장이 3형식 수동태이므로 be p.p 뒤에는 목적어나 보어가 올 수 없기 때문이다.
    → 그래서 which는 안 된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