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윤구T [266289] · MS 2008 (수정됨) · 쪽지

2025-09-04 21:16:59
조회수 913

[강윤구T] 3등급에서 100점으로 가는 공부(9모 예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56741

마지막 수학 학습 자체에 대해 답답함을 갖고 있는 

3등급이상의 친구들에게 강추합니다.



-3등급에서 100점으로 가는 공부-


https://www.youtube.com/watch?v=_h9qyVZqR14&ab_channel=%EC%9D%B4%ED%88%AC%EC%8A%A4%EC%B1%84%EB%84%90




1시간 정도 분량의 공부법입니다.


우리학생들은 단순히 문제를 푸는 것이 공부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보자에서 3등급까지의 공부는 개념 암기(지식 축적)과 단순 문제풀이 훈련만으로 가능하겠지만,


그 이후의 공부는 차이가 있습니다.




쉬운 문제는 쉽게 연결되고, 쉽게 기억에 남습니다.


하지만 어려운 문제는 문제끼리 연결이 어렵고 그렇기 때문에 쉽게 휘발되죠.


n제, 모의고사를 풀어도, 기출을 풀어도


수능 문제가 매번 낯설어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빈다.




4점 문제는 제대로 풀기 전, 문제를 연결하는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에 맞는 예시를 교차 암기한 후 문제를 푸는 것이 순서입니다.


하지만?



우리학생들은 단순히 수학 머리 좋은 사람이 문제 푸니 나도 문제푸면 성적이 오르겠지?와 같은


생각으로 소중한 인생을 허비합니다. 단순히 행위를 따라하는 것은 어린아이 같은 생각이죠.


메커니즘을 따라해야 합니다.




머리가 좋은 사람은 문제를 연결할 기준, 힘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문제를 풀면 그것이 기억에 남고, 점수가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여러분의 수학 문제 인식 기준은 어떻습니까?


점수, 단원, 문항 번호?


이런 것으로 인지하지 않습니까?


그러니 문제인식이 안 되고 시험장에서 낯설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수능은 사고과정을 묻는 시험, 사고 과정이 인식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21번을 예로 들어 봅시다. (28번도 동일하게 설명 가능합니다.)



f'구하기가 목적입니다. 이는 미정계수 2개만 구하면 된다는 뜻입니다.


이 예시로 많은 문제들이 연결되어 있죠. (기출로도 충분)


이때 구성요소로 항성부가 있습니다.(항성성립하는 부등식)


이 항상 성립하는 부등식의 기능은 


1) 성립조건으로 부등식 생성  2) 함수 연산   3) 등호에서 등식 생성

4) 등호에서 함수 생성  5) 케이스 선택 기준


입니다. 이때 목적이 미정계수 구하기니 3번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그냥 알 수 있으며


이는 작년 9월 21번으로 이미 연습해본 것입니다.


하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작년 문제는 바로 등호 지점의 숫자가 구해졌으나


이번 9모 문제는 바로 구해지지 않았죠


이런 위기 상황 속, 문제의 연결이 힘이 되는 것입니다.



항성부에서 바로 정보를 얻기 힘들면 이 항성부 문제처럼 식 정리를 먼저 하고 


항성부의 기능을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이미 ''해봤습니다.''


이 연결로 자연스럽게 식 정리하고, 그 다음 등호에서 등식을 만들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죠.



이렇게 문제를 연결하면 하나의 인식기준으로 여러 예시가 떠오르며


실전적으로 문제의 아이디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험생은? 기준없이 낱개의 문제를 풀고 지나갑니다.


특히 모의고사로 공부하죠?


모의고사에 나오는 문제는 매번 다릅니다. 연결이 될까요?


아무 연결도 안 됩니다. 이미 인식 기준이 있는, 혹은 머리가 좋아 암기가 잘 되는 


그런 학생들만 모의고사를 점수로 만들뿐


수험생 99프로는 그냥 돈과 시간만 버리는 것입니다.


흩어지는 공부? 의미 없습니다.


모으셔야 합니다. 많이 하는게 능사가 아니라 제대로 모은 것이 점수가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설문제보다는 기출문제가 친숙하니 기출로 연결하는게 더 효과가 크겠죠.







위의 영상에서 그 메커니즘 복사를 위한 공부를 알려드립니다.


이 영상을 본다는 것은 여러분 인생 최고의 선택이고,


이것을 반영해서 내가 공부한 것을 연결하시면 최고의 마무리가 되는 것입니다.





여러분, 지금 3등급이면 90점이상 맞을 준비는 끝났습니다.


어떻게 마무리하냐에 따라 점수가 달라지는 것입니다.



미적 선택인 친구입니다.


하라는대로 하면, 충분히 성적을 바꿀 수 있는 시간입니다.


여러분은 70일을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만,


저는 충분히 많은 시간이 남았다 생각합니다.


제가 100일 남기고 디트 공부를 시작했을 때보다 여러분의 상황이 더 좋을 것입니다.



저도 시간이 없을 때, 남들보다 뒤쳐져 있을 때


영상에서 말한 공부로 다 제끼고 결과 만들었습니다.


시간이 부족해도, 뛰어난 사람들을 제낄 수 있는 방법은 분명 있습니다.


왜냐면 수험생 대다수가 안타깝게도 무지성 공부를 하기 때문이죠


반대로 말하면 


여러분들도 역전할 수 있다는 것이죠.



잘 참고하셔서 좋은 결과 만드시기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rona​ · 1398635 · 09/04 21:20 · MS 2025

    작년에 수업 잘들었어요 쌤
    결국 수능때 최고점 나와서 고대갔네요
    특히확통이 ㄹㅇ신

  • 호또 · 1253197 · 09/04 21:22 · MS 2023

    확통3에서 못 벗어나고 있는 재수생인데요...
    파이널부턴 1주에 실모2회풀어라 문풀량이 부족하다 하도 그래서 실모도 풀고 엔제도 풉니다
    일단 실모를 풀면 어려운 문제는 풀지도 못하고 끝나버림-> 이게 의미가 있나? 의문이 듦과 동시에
    엔제를 풀면 솔직히 시간이 많이 걸리긴하지만 꽤 잘 풀고 꽤 많이 맞기도하는데 시험장만 가면 허우적대거나 이상한 실수를 남발해서 3등급같은 터무니없는 등급이 뜨니 실전운용이 부족한가싶어 실모를 진짜 안풀어도 되나싶네요 ㅠㅠ

  • 이거맞음!> · 1244711 · 09/04 22:21 · MS 2023

    과연 3등급이 실전운용의 문제일까요

  • 강윤구T · 266289 · 09/04 22:23 · MS 2008

    실모는 일단 문제의 90퍼 이상을 풀 줄 아는 사람들이 시험운용연습을 위해 사용하는 학습 수단입니다. 친구 말대로 4점 문제 대부분을 못 푸는데 모의고사를 푼다고 공부가 될 리 없습니다. 또한 N제는 문제의 분류 기준이 별로입니다. 시중 N제 대부분은 단원으로 문제를 나눠 놓았습니다. 과연 같은 단원이면 같은 문제인가? 당연히 아닙니다. 그래서 n제 풀어봣자 인식 능력이 향상되지 않는 것입니다. 문제를 푸는 행위 자체는 공부가 아닙니다.

  • 123살 · 972123 · 09/04 22:26 · MS 2020

    캬 우문현답이네요 애초에 3등급따리가 실모를 왜보냐 ㅡㅡ

  • 강윤구T · 266289 · 09/04 22:44 · MS 2008

    엥 나쁜말 노노

  • 사라니마쿠 · 1313924 · 09/04 22:54 · MS 202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