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평 독서가 주는 시사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30004
정보량이 얼마나 복잡하냐는 난이도에 영향을 줍니다.
출제자가 과부화를 주는 방식은 크게 두 유형인데
1. 하나의 개념을 장황하고 복잡하게 서술함
2. 어떤 개념을 딥하게 건들지 않되 다른 여러 개념을 추가함
보통 리트는 전자 쪽이고 수능국어는 후자쪽입니다. 다만 1과 2를 동시에 주면 흔히 최고난도 내지 킬러에 해당합니다.
킬러 야미 이슈 이후 최근 기조는 2의 성향이 짙습니다. 여러 개의 항을 무차별적으로 던진 뒤 대충 15개의 선지에서 그것들을 총체적으로 다루도록 세팅합니다.
그래서 216의 쟁점잡고 구조파악이 아주 유효한 전략입니다. 무슨 말인지 이해하거나 공감하는 무언가가 아니라 무기로 빠르게 사살한 뒤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시스템입니다.
주목할만한 문제를 읊어보자면
허무하지만 범주에 충실한 8번 문항. 원인-결과에서 원인을 결과로 간주하여 오답
내용 파악은 수월하지만 여러 입장을 등장시켜 시간을 끌게한 12번 문항. 사례 두 셋에 입장 네 개
출제자의 온몸 비틀기 흔적이 다분한 16번. 선지보면 진짜 한정된 정보로 어떻게든 낚아먹겠다는 출제자의 노력이 그대로 보입니다.
17번은 딱히...입니다. 판단 난이도는 16번이 더 높다고 생각되지만 비주얼 겉보기 난도나 시간 이슈로 17번이 오답률이 높을 수는 있습니다.
근데 전반적으로 수능의 리트화는 이제 사라졌습니다. 리트만으로 독서는 충분하지만 수능을 위해 리트는 필요없습니다. (다시 부활 바람)
세 지문 모두 소재가 매우 전문적이거나 낮선 영역의 무언가가 아닙니다. 다만 선지 복잡성은 그대로되, 생소한 소재로 바뀐 지문을 통해 수능에서는 변별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겁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1번 다시 푸니까 많이 쉬운데.. 이 풀이법이 맞나요?.?? 0
무조건 3함수가 우함수고 맨앞 항으로 크기로 절댓값 판별식 쓰니까.. 개쉽게...
-
생윤 44 사문 42 각각 몇 뜰까요? 생윤 1 사문 2 가능할까요?
-
언미영생1물2 좆됐다 인생
-
수능 난이도 1
수능 국어는 보통 6모 9모 중간정도로 냄?? 9모보다 살짝 쉽거나 비슷하려나
-
확통 1
9모 확통 시발점 확통 3점부터 다나갔는데 사설에서 확통 1-2개 많이 틀려봤자...
-
제발
-
원래 개강 개학하면 글이 덜 올라오는거 아니었나
-
이과우월주의 사상에 세뇌되었던게지...
-
35분동안 확통 2830을 못풀었다는거임
-
15,19,22,28틀
-
사문 40점인데 1
백분위 몇임
-
본인 3등급 판독기인데 씨이이이발 80뜸
-
이 정도 난이도에 47은 너무한듯
-
프로젝트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프롤로그를 참고해주세요:) 프롤로그->...
-
죽고싶다 1
진지하게
-
뭔가 고민하는 시간의 문제라기보단 아예 모르거나 매체 선지 의미를 잘못 생각하거나...
-
이거 ㅅㅂ 도대체 뭐임
-
9잘수잘이 맞는건가 켘ㅋㅋ
-
쌍윤 황들 부탁드립니다
-
윤사 버근가 1
6월에 사문보고 8월에 윤사런해서 서양 아직 공부 안했는데 이게 왜 40점 나오지 ㅋㅋㅋㅋ 버근가
시간이슈로 17번은 찍고 넘어갔고 8번은 1번 보자마자 찍고 넘어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