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모 D-1, 비겁해지지 않기 — 행동강령과 낯선 문제 대응 프로토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518712
작년 9모를 다시 풀어보는데, 분명히 “이제는 괜찮겠지” 하던 문제에서 틀린 표시가 또렷이 보였습니다. 사실 건들지도 못했습니다. 순간 머리가 띵했지만, 충격을 오래 붙들지 않기로 했습니다. 틀린 건 ‘나’고, 내 태도와 습관이 남긴 결과니까요. 인정하고, 오답하고, 자세를 다시 세워서 내일 시험장에 들어가겠습니다.
고2 때 제 수학 점수는 20~30점대였습니다. 학원에 몸만 왔다 갔다 했고, 공부는 ‘한다’고 착각했죠. 이후 점수는 조금 올랐습니다. 솔직히 더 떨어질 데가 없어서 오른 것도 있습니다. 사설은 고점을 갱신해도, 평가원/교육청처럼 학교에서 보는 시험은 여전히 위태로웠습니다. 멘탈도 흔들리고, ‘문제 궁합’도 심하게 탑니다. “수능 때 낯선 문제만 나오면 다 틀리는 것 아닌가”라는 공포가 붙어 다녔습니다.
그래서 오늘, 9모를 하루 앞둔 시점에 제가 실제로 쓰는 행동강령과 낯선 문제 대응 프로토콜을 공유합니다. 내일 시험장에 가져가 “머리 대신 손”이 움직이게 만드는 틀입니다. 저도 매번 이 틀로 버텼고, 내일도 이 틀에 기대겠습니다.
1) 왜 사설은 오르는데 평가원은 무너질까 — 짧고 냉정한 진단
- 풀이 관성: 사설에서 익힌 빠른 패턴이 평가원 ‘조건 해석’ 단계에서 발목을 잡음.
- 조건 번역 속도: 문장 → 수식 변환, 정의 재호명, 변수·범위 정규화가 느려서 초반 시간 손실.
- 검산 결핍: 부호/범위 확인 루틴이 없다 보니 어이없는 실수로 득점을 흘림.
- 시간 배분 실패: 막히는 문제를 끊지 못하고 감정 소비 → 후반 문제까지 타격.
이 네 가지는 내일도 반복될 수 있습니다. 틀이 필요합니다.
2) D-1 행동강령
- 오답의 목적 제한: 오늘 오답은 “새로 배우기”가 아니라 실수 패턴 라벨링이 목적.
- 라벨 5종: (A) 정의 미소환 (B) 조건 누락 (C) 부호/계산 (D) 범위/경계 (E) 시간·집중력.
- 한 장 노트: 내 실수 라벨별 “예방 구문”을 손글씨로 A4 한 장에 정리.
- 손 안정화 루틴(30분):
- 기출에서 3점, 쉬운 4점 난도 10문제 골라 무오답으로 연속 풀기, 즉 예열 → 쓰기 속도와 필기 질감 회복.
- 시간 감각 리허설(25분):
- 스탑워치로 15·30·45분 체감 훈련(펜 놓고 남은 시간 가늠). 내일 시간 배분의 기준점 확보.
- 지금 하지 말 것: 새로운 파트 학습, 새로운 문제지, 과도한 암기. 오늘은 틀 고정.
- 준비물·동선 체크(수능 기준): 수험표, 신분증, 시계, 겉옷, 시험장 가는 길/좌석/화장실 동선 확인.
- 수면을 산다: 취침 7시간 확보를 최우선 과업으로 설정. 알람 2개, 디스플레이 소등.
3) D-Day 루틴(수학 기준, 다른 영역에도 적용 가능)
입실 전
- 10분: 한 장 노트(실수 예방 구문) 눈으로만 훑기. 펜 미사용. & 예열 문제
- 3분: 호흡 4-4-6(들이마시기4·멈추기4·내쉬기6) × 5회. 심박 안정.
시험 시작~10분 (확정 득점 구간)
- 표지 훑고, 확실히 맞는 문제만 우선 잡아 연속 득점.
- 계산은 “자리 단정–수평 필기–항마다 체크” 3단계. (헷갈림 없게 하기 위함)
- 헷갈리면 소단위 식 옆에 조건을 다시 쓰기(조건 재호명).
10~40분 (본문 전개 구간)
- 중간 난도 처리. 조건 정규화 템플릿으로 시작:
- 정의·범위·단조성·대칭 유무 표시
- 경계/특이점 먼저
- 표현 통일(예: 로그 밑, 좌표계, 길이/넓이 단위)
- 막히면 3분 규칙: 아이디어가 안 열리면 표식(☆) 붙이고 다음으로 이동.
40~80분 (상성 관리 구간)
- ☆표시 문제 재도전. 아래 프로토콜을 그대로 적용.
80~100분 (검산/회수 구간)
- 부호/경계/단위 3요소만이라도 전수 확인.
- 숫자 계산이 많은 문항은 역대입 등으로 오답 회수.
4) 낯선 문제 대응 프로토콜(“패턴이 안 먹힐 때” 그대로 따라가기)
- 문제의 언어를 수학의 언어로: 조건에 등장한 모든 단어를 기호·식으로 옮기되,
- 범위(정의역/매개변수 제약), 관계(↔인지 →인지), 대칭/단조성 표식으로 가시화.
- 경계–특이–대표값 순서:
- 경계점/분기점/절댓값 분기/함수 전이점 체크 → 특이한 지점(분모0, 로그밑/진수 조건) → 대표값(0,1,–1, π/6 등) 의미 있는 대입.
- 형 변환 4종 세트:
- (a) 치환(대칭·주기성 기반) (b) 가시화/그래프 스케치 (c) 합성관계 분해(안쪽부터) (d) 부등식 표준화
- 결과형 예측: 요구 값이 정수/자연수/개수이면 정수론적 제약이나 단조성+경계로 틀을 먼저 세움.
- 증거 축적식 풀이: 한 줄에 하나의 사실만 적고, 사실끼리 →로 연결. 감으로 건너뛰지 않기.
- 막히면 질문 바꾸기: “이 식을 푼다” → “이 식이 언제 참이 아니다?” 같은 부정문/상보 사건으로 전환.
- 검산 체크리스트: 부호/등호 성립조건/최종값의 범위·단위 적합성/극단·대칭에서의 일관성.
금지 규칙: 무지성 사례대입, 근사 추정, 기계적 미분/적분 남발, 조건 생략.
원칙: 조건에서만 출발하고 조건으로만 닫기.
5) 멘탈 스크립트(시험 중 마음에 대고 말하기)
- “모두를 맞출 필요 없다. 맞을 문제를 하나도 흘리지 않는 것이 목표다.”
- “낯섦은 오답이 아니라 절차의 시작 신호다.”
- “지금은 ‘왜 어렵지?’가 아니라 ‘어디서 시작하지?’다.”
- “감정은 나중에, 지금은 손이다.”
6) D+1 오답법
- 결과물: A4 한 장 요약.
- 구성: (1) 틀린 번호 (2) 라벨(A~E) (3) 원인 1문장 (4) 예방 구문 1문장 (5) 같은 유형 미니문제 1개.
- 원칙: 해설 필사 금지, 조건–정의–경계를 내 문장으로 다시 쓰기.
끝으로 — 나와 같은 사람을 위해
저는 실력이 없다는 사실을, 수없이 많은 오답들이 증명해 왔습니다. 그래서 저는 오늘도 제 편이 아니라 원칙의 편에 서려고 합니다. 점수는 변덕스럽고, 컨디션은 배신하지만, 원칙은 배신하지 않습니다. 내일 우리는 각자의 자리에서 같은 것을 할 겁니다. 조건을 읽고, 정의를 불러오고, 경계를 확인하고, 손을 믿는 일.
낯선 문제를 만나면 두려움부터 오지 말고, 절차를 시작합시다. 그 절차가 우리를 구해낼 겁니다.
내일, 모두 좋은 시험 보세요.
그리고 무엇보다, 비겁해지지 맙시다.
틀렸다면 인정하고, 배웠다면 남겨두고, 끝까지 우리의 손으로 풀어냅시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4번 헷갈릴만한 요소에 티벳 고산기후 낚시 19번도 어렵다고 보는데 제 실력이 부족한걸까요
-
전체-(가 여사건+나 여사건-가 여사건 나 여사건 교집합) 답은 나옴
-
국어랑 사문 어카노...
-
어짜피 어렵게 안나올것 같다는 생각이 내 대가리를 지배하고 있어서 문제 꾸득꾸득...
-
스나이퍼 후기 1
스나이퍼 ui 마음에 들어요
-
개 축계네 진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할 수 있을까
-
국어 제발 2
문학 사설식으로 내지 말고 리트식으로 내줘 독서도 마찬가지 지엽적 사실관계 파악보단...
-
흠..
-
6월에 법 출현시키면서 슬슬 간본 느낌임 9월엔 그냥 일반사회 내고... 그...
-
1컷 47은 말이안됨
-
근데 기출들 공부하면서 "캬 ㅋㅋ 역시 평가원 ㅋㅋ 문제 소름돋게 정교하네.." 11
"사설과는 다르지 ㅋㅋ 품격. 이 있잖냐 기출문제는 ㅋㅋ" 했던 그 평가원은...
-
별 볼 일도 없는 언매 0틀 말고 공통 0틀이 하고 싶다
-
A는 갑국의 전통 의례 중 ~ 새로운 방식에 착안하여 뿌리는 형태의 새로운 향수를...
-
9모 기록용 0
.
-
그냥내뇌가늙어서적응못하는거고 현실부정해봤자바뀌는게업다.... 아늙기싫다
-
올해는국스퍼거의해임..
-
제 친구가 언매 미적 영어 한지 세지 이번 9모 52333인데 이 친구는 수리논술을...
-
세 정수가 연속한 세 항일 수 밖에 없음을 밝히고나면 가조건이 없어도 |r|의...
-
제 9모 성적 국 88 수 92 영 2 물 47 생2 42 인데요 저 정도로...
-
제가 평가원 이의제기 사이트에 올린 내용입니다. 이의제기 사이트는 시간이 지나면...
-
[인문논술] 중앙대 기출을 공부해서 연세대 합격 가능? 0
부제: 연세대 인문논술, 타 학교 대비 그리 어렵지 않다. 안녕하세요, 저는 작년에...
-
왤케후함? 작년 6 9 다 후하던데 올해도 후하고 수능은 모르겠지만
-
국어빨이 크구나 5
수학 사문 박았는데도 고속기준 시립대 문과까진 가능이네 ㄷ
-
하.........아직 고인물 많은 것 같은데 탈출하기엔 너무 늦었나........
-
일부러 막전위랑 세포문제 앞에 좀 봐줘서 얼만큼 틀리나 보는데 44 에 ㅈㄴ 몰린걸...
-
오전에 글 썼는데 묻혀서.. 지금부터 새로 독서만 커리 타려 하는데 독서는 어떤가요
-
ㅋㅋ 재미삼아 만들어봄
-
필적확인란 문구 읽고 “아 이번에 미적 존나 어렵겠구나” 생각함 어떻게 필적확인란...
-
내가 걍 바보였음… 어제 어려운데 다들 쉽다한다고 엄청 찡찡댔는데 .. 왜 그랬니 어제의 나야
-
유튜브 ㅊㅊ 좀 14
-
6모때 까보니까 백분위 더 높았던거 감안하면 백분위 100 되나요? 아 애매하네
-
Hey, Guys and Gals, This is Ryan from Busan. Enjoy!
-
넘나 당황했는데
-
더 어려워했으려나
-
국어 문장을 나만의 말로 바꾸는 연습을 시켜주는 강의 추천해주세요 인강도...
-
뭐가 더 힘든가요
-
시간 모자라던데 뭐가 문제지 ㅋㅋㅋ 그냥 최대한 빨리 읽고 푸는데도 물리적으로 부족한 느낌
-
좌미x우미=음수 인거 보고 f(x)가 가지는 x개수별로 케이스 나눠서 푼건데 맞게푼건지..
-
지문 자체는 할매턴보다 9모 양덕영감이 더 어렵지 않았음? 24
관계 서술이 할매턴보다 모호했던 것 같은디
-
솔직히 뭐가 더 나음?
-
유리한거에요? 같은 점수라고 했을때
-
국어 읽은문장을 나만의 말로 바꾸는 방법을 담은 인강이나 예시로 몇 개 더 적어주세요
-
허수인거냐..부대 공용외출써서 관할지역 고닥교에서 시험쳤는데 지구 29점 나와서...
-
그 22번이 8
나도 첨에 a를 왼쪽으로 했는데 그럼 내 기억에 가조건에 모순인걸로 기억함
-
할매턴은 진짜 그냥 보법이 달라
-
물2 13번 3
거의 그냥 물1아님?
-
허리가 완치가 안되네
-
무서워서라도 더 열심히 해야겠어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