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뭐지
-
미적, 과탐필수고 미적 vs 생1 뭐에 집중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생1 1등급 커리 궁금합니다
-
퇴근이다 4
아 개힘드러
-
옯끼얏호우~~ 4
1컷일줄 알았는데ㅋㅋㅋㅋㅋ
-
이런.
-
아 밀리면 골치 아픈데..
-
나는 차였다..
-
그리고 몇시에 침대에 누워서 자기 시작할건가요
-
사문 질문있슴다 2
독립변인 종속변인은 실험법에만 나오는건가요? 아니면 양적연구면 다 가능한건가요?
-
넹
-
개인정보는 가렸음의외로 사람들이 안 보네?
-
학원쌤이 내 내신 크게 말하면서 네 성적으로 XX대가 최대야. 가 제일 상처.친구들...
-
구구까까 2
구까
-
현돌모특) 1
20회분34000원임
-
현대시는 다 볼껀데 고전시가랑 고전소설 중요한 작품 몇개 ㅊㅊ좀
-
1.98 설의 수시일반
-
훈련소 가는거 빼면 공보의는 그냥 메디컬 졸업했으면 신체적 여건에 관계 없이 아무나...
-
학교 별로 실모 만들어서 데스매치 하묜 어떨까하는 생각을 함 ..
그래서 [주서] 먹는다 이리 말하는 걸까요 으하하

정답. 방언은 보수적인 어휘를 간직합니다.찌찌뽕
아니 그럼 ‘줏어‘라는 사투리가 원래 맞는 말이었던 건가
딩동댕
현대국어에선 '주섬주섬' 같은 극히 제한적인 단어에만 남아 잇으
그럼 언제부터 줍다가 된 건가요
18세기에 '줍-'이 등장하는데 '줏-'과 19세기까지 경쟁하다가 언중이 '줍-'을 채택하면서 '줏-'은 사투리가 됩니다.
씻어를 [씨처]라고 발음하는 사투리가 있던데 혹시 이거도 비슷한 경우인가요.??
그건 좀 어렵습니다. '줏다~줍다'는 활용형을 오해했다는 점에서 소위 말하는 "어간 재구조화(어간을 새롭게 인식함)"라는 것인데, '씻다~씿다'는 활용형을 오해해서 만들어졌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어중 ㅊ은 ㅈㄱ 연쇄에서 발달했다고 설명하는데(ㅈ+ㄱ>ㅈ+ㅎ>ㅊ; ㄱ이 ㅎ으로 약화함) 그렇다면 '씿다'는 '*씾그다' 따위에서 온 말일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씻다'는 '씾다'에서 8종성법(ㅈ을 ㅅ으로 표기하는 표기법. '곶(꽃)'을 '곳'으로 표기함)을 적용한 표기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문제는 '씻다'는 15세기 문헌부터 ㅅ으로 연음됐다는 것입니다.
정확한 설명을 잘 모르겠습니다.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그래서 주서먹는다는 말을 쓰는거군요..사투린가?
맞습니다. 사투리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