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int1 · 1395169 · 12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오류인 듯
    다 틀린 거 아닌가

  • Point1 · 1395169 · 12시간 전 · MS 2025

    저도 경제 뉴비라 정확하지는 않을 수 있음

  • 돌해린 · 1378508 · 11시간 전 · MS 2025

    아래 댓 한 번 봐주실 수 있나요?

  • 돌해린 · 1378508 · 11시간 전 · MS 2025

    저 경제 선택자는 아니지만 경제학부생인데
    당연히 5번 아니에요?
    합리적 선택은 순편익이 가장 클 때이지 양인지 음인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 아닌가.
    5번 선지의 경우 총지출액이 가장 클 때 (=소비량 5) 순편익은 27-26=1 이니 참 아닌가

  • 박종우의 굽네치킨 · 1096659 · 11시간 전 · MS 2021

    그런듯 위에는 총지출이고 밑에는 한계편익인데 잘 안보고 한 것 같음

  • 이상한 사람만 팔로우함 · 1255438 · 11시간 전 · MS 2023

    덧붙이자면,

    다수 선택 (대안 여러개) 일 때는 순편익이 양수인 게 하나밖에 없는 게 맞아용

    다만 이런 타입의 문제는 각각의 개수를 구매할 때를 서로의 대안으로 보는 다수 선택 문제가 아니라, 하나 하나의 상황에서만 바라보는 단일 선택이고, 각각의 상황이 벌어졌을 때의 편익과 지출(명시적 비용)만을 표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따라서 순편익이 편익-명시적 비용 이 되고, 따라서 양수인 상황이 여러 개 나올 수 있어요

  • 이상한 사람만 팔로우함 · 1255438 · 11시간 전 · MS 2023

    4개 사는 게 5개 사는 거의 대안인거로 바라보면 암묵적 비용 생각했을때 5개 사는 건 순편익이 마이너스인 거 아니냐! 라고 질문하신 거 같은데,

    이건 그냥 이런 문제에서 그렇게 안 다룬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용
    다만 평가원에서 저런 상황에서 순편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게 일반적인 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건 저도 찾아봐야 알 듯

  • 돌해린 · 1378508 · 10시간 전 · MS 2025

    기회비용 따지면 그 말이 맞네요. 애초에 문제가 사설이라 문제가 있는듯..?

  • 돌해린 · 1378508 · 10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나 까먹고 있었는데 너 전국에 몇 없는 수능 경제 만점자였구나 진짜 개쩌네

  • 이상한 사람만 팔로우함 · 1255438 · 10시간 전 · MS 2023

    흐흐 저희때는 18명이었서요

  • Point1 · 1395169 · 10시간 전 · MS 2025

    옹 그렇구나...

  • 부자되고싶다 · 1115643 · 10시간 전 · MS 2021

    평가원은 지금껏 단일 재화에 대한 순편익 비교를 안 물어봤던 것 같긴 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