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미분계좌 [1362393] · MS 2024 · 쪽지

2025-08-25 19:48:29
조회수 232

슈퍼문지문 이걸 어케알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39113

저 보기에서 1월 7월을 무슨 근거로 근일점 원일점이라고 볼 수 있는 건가요? 지문에서는 계속 ‘장축 상‘ 에서 가장 가깝고 먼거를 얘기하는데 보기는 장축 상이라는 조건 없이 그냥 젤 가깝고 먼거를 나타내는거 아닙니까


배경지식인가요ㅠ 문과는버겁네요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JJONAKLOVE♡♡♡ · 968227 · 9시간 전 · MS 2020

    ?

  • 오르비안들어올거야 · 1136548 · 9시간 전 · MS 2022

    내기억으로 배경지식 쓰이는거 없던거 같은디...
    해봤자 공전이 뭔지? 정도인데

  • 박쥐는안물어 · 1237660 · 9시간 전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고대가고싶다고옥 · 1252551 · 9시간 전 · MS 2023

    지구와 태양만의 거리를 고려할 때 그 거리가 가까울수록 조차가 커지는데(반비례 관계)
    북반구가 겨울인 1월에 조차가 가장 큼 (=거리가 가장 가까움=근일점)
    북반구가 여름인 7월에 조차가 가장 작음 (=거리가 가장 멂=원일점)

  • 고대가고싶다고옥 · 1252551 · 9시간 전 · MS 2023 (수정됨)

    원일점에서 왜 조차가 가장 작고 근일점에서 왜 조차가 가장 큰지 궁금하다면 (원일점에서 왜 태양과의 거리가 가장 멀고 근일점에서 왜 태양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지 궁금하다면) 지문을 읽으면 나옵니다

    지구는 태양을 한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로 태양을 공전하는데 표시한 거와 같이 타원은 두 초점에서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입니다 따라서 그림 상 지구가 근일점에 위치할 때 태양이 위치하지 않은 초점으로부터 지구까지의 거리가 가장 머니깐 근일점에서 태양과의 거리가 가장 가깝습니다

    다시 정리하면 태양이 위치하지 않은 초점과 지구와의 거리가 가장 멀어졌을 때가 지구가 근일점에 위치할 때고 그럼 지구로부터 두 초점까지의 거리의 합은 일정하니 근일점일 때 지구와 태양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것이 됩니다 그래서 조차는 가장 커지는 거구요

  • 수미분계좌 · 1362393 · 9시간 전 · MS 2024

    와... 두번째 문단으로 설명하신 부분을 생각못했네요... 한쪽 길이가 최대가 되니 한 초점이 최소가 될 거라는 생각을 못했네요.. 감사합니다 사랑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