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hui2 [1281044] · MS 2023 · 쪽지

2025-08-25 17:39:06
조회수 128

경제러분들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37701

물가상승률이 감소해도 양의값이면 물가 상승하는거 아닌가요?이상한거같아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프사이 · 1399114 · 14시간 전 · MS 2025

    경제한지 오래돼서 그냥 상식선에서 설명해보자면

    실제로 물가는 거의 항상 증가하는 경향을 띄는데 그중에서 물가 안정이라고 하면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증가하더라도 속도를 늦추는 거임

  • 이상한 사람만 팔로우함 · 1255438 · 14시간 전 · MS 2023

    어느 선지에 대해 말씀하시는 거예용?

  • ghui2 · 1281044 · 14시간 전 · MS 2023

    그 문제상황자체가 총수요 총공급중 하나만 변하는 건데, 그러면 분명 물가가 낮아지는 상황이 생기잖아요 그런데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는건 물가가 낮아지는게 아니지 않나요?

  • 이상한 사람만 팔로우함 · 1255438 · 14시간 전 · MS 2023

    아 가령 총수요 감소의 현상을 저 그림으로는 못 나타내지 않냐는 말이죠? 다 원점 위에 있으니까 양수니까
    맞네용,, 그렇긴 한데 선지 자체는 그거랑 큰 연관은 없어보이고

  • 뀨ㅎㅇ · 1385811 · 9시간 전 · MS 2025

    e는 2024년 점이니까 e를 기준으로 2025년을 보는거죠! e가 (1,1), 2024년을 기준년도라고 가정합시다. 그러면 e의 물가상승률은 1이니까 명목/실질=1이겠죠(사실기준년도니까당연함)! e기준 왼쪽으로 갈 경우 물가상승률이 1보다 작아지니까 2025년 명목/실질은 1보다 작아지죠 = 명목gdp가 줄었다 = 물가가 낮아졌다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뀨ㅎㅇ · 1385811 · 8시간 전 · MS 2025

    물가상승률이 양의 값인게 중요한게 아니라 1보다 큰지,작은지로 물가가 높아졌는지,낮아졌는지를 판단하는겁니다! 명목/실질 이기때문에 기준년도는 무조건“1” 그 다음년도에 1보다 커지냐,작아지냐에 따라 명목(=그시기의물가반영)의 상승,하락을 알 수 있습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