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의 힘] 골 때리는 이 문제의 정답은 과연 무엇?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407197
지문이 해석이 되어도 보기가 어려우면 결국 전체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약간은 골 때리는 지문(아래 해석 참고)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날씨가 너무 더워서 같이 웃어보자고 만든 지문입니다.
정답을 아는 수험생은 댓글에 남겨주세요.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Not in any other domestic phenomenon do we observe such complex topological entanglements as when remote controls mysteriously vanish within the four-dimensional continuum of living rooms. Given the limited attentional resources of humans, these devices exploit cognitive blind spots and memory lapses to execute their disappearing acts. Furthermore, spatial perception distortion occurs through both neurological fatigue and televised content which temporarily alters dimensional awareness. In which homes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remote control locations forms peculiar non-Euclidean patterns across couches and between cushion crevices. Consequently, searching for the device becomes increasingly futile as time progresses. When users approach certain household regions, remotes tend to quantum tunnel toward improbable hiding spots. Participating in this spatiotemporal shell game, humans develop elaborate yet ultimately ineffective search algorithms. The more desperately one searches, the more topologically complex the remote's concealment manifold becomes. Considering these factors, researchers now recommend purchasing backup remotes for each room or simply accepting this inevitable consequence of spacetime curvature within domestic environments.
* topological : 공간의 구조와 관련된 ** entanglement: 복잡한 엉킴 *** spatiotemporal : 공간과 시간이 결합된
① backup remote purchases solving spacetime curvature problems in homes
② human cognitive limitations in detecting hidden household electronic devices
③ quantum tunneling effects causing remotes to relocate between dimensions
④ non-Euclidean patterns formed across couches and cushion hiding spots
⑤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between search intensity and concealment complexity
지문 해석은 아래에 ....
지문 해석
Not in any other domestic phenomenon do we observe such complex topological entanglements as when remote controls mysteriously vanish within the four-dimensional continuum of living rooms.
집 안에서 리모컨이 거실에서 신비롭게 사라질 때처럼 복잡하고 얽힌 현상은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어.
Given the limited attentional resources of humans, these devices exploit cognitive blind spots and memory lapses to execute their disappearing acts.
사람이 집중할 수 있는 힘이 제한적이다 보니, 리모컨은 우리가 잠깐 딴생각하거나 깜빡할 때를 틈타 사라져 버려.
Furthermore, spatial perception distortion occurs through both neurological fatigue and televised content which temporarily alters dimensional awareness.
TV를 오래 보거나 피곤하면 공간을 제대로 못 느끼게 돼서, 리모컨이 어디 있는지 더 헷갈리게 돼.
In which homes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remote control locations forms peculiar non-Euclidean patterns across couches and between cushion crevices.
어떤 집에서는 리모컨이 소파나 쿠션 틈새 같은 이상한 곳에 숨어서, 마치 평범한 공간의 규칙을 안 따르는 것 같아.
Consequently, searching for the device becomes increasingly futile as time progresses.
시간이 지날수록 리모컨을 찾으려는 노력이 점점 소용없어져.
When users approach certain household regions, remotes tend to quantum tunnel toward improbable hiding spots.
우리가 거실의 특정 장소에 가까이 가면, 리모컨은 마치 마법처럼 전혀 생각지도 못한 곳으로 이동해 버려.
Participating in this spatiotemporal shell game, humans develop elaborate yet ultimately ineffective search algorithms.
이 시간과 공간 속 숨바꼭질 게임에서, 사람들은 복잡한 찾기 방법을 생각해내지만 결국 별 소용이 없어.
The more desperately one searches, the more topologically complex the remote's concealment manifold becomes.
더 필사적으로 찾을수록 리모컨은 점점 더 복잡한 공간 속에 숨어버려.
Considering these factors, researchers now recommend purchasing backup remotes for each room or simply accepting this inevitable consequence of spacetime curvature within domestic environments.
전문가들은 방마다 여분의 리모컨을 사두거나, 집 안에서 리모컨이 사라지는 게 당연한 일이라고 받아들이라고 조언해.
전체 내용 요약:
이 글은 리모컨이 사라지는 평범한 일을 마치 과학적이고 복잡한 현상처럼 과장해서 설명한 웃자고 만들어 본 지문입니다. 위상수학, 시공간, 양자 터널링 같은 어려운 단어를 써서 재미를 더했지만, 결국은 "리모컨 찾기 힘들지? 여분 사두거나 포기해!"라는 간단한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렇게 이해가 되었다 해도 보기를 보는 순간 정답을 찾는 것이 그리 쉬워 보이지 않습니다.
대다수의 수험생들은 지문만 열심히 해석합니다.
보기도 연구 대상입니다.
Good nite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우히히 기유 조아
-
심찬우를메가로
-
유튜브 보다 궁금
-
사람이어떻게저리되나
-
실제로도그랬고 현실에서친구만나는것보다더편안해
-
드디어 6
시대 물리 기출문제집 700문제 다풂 일주일 걸렷네 이제 용수철 보면 토할거같ㅇㅏ;...
-
알려주세용 귱금해ㅐ
-
심심해 6
놀아줘
-
찬우쌤이 왜 3
오르비 그만하라고 했는지 알겠음..
-
잡담태그켜주세요 3
감사합니다
-
올오카 듣다가 비독원 a,b 끝내고 비원실 들어갈건데 아수라일지라도 본교재 + 실모...
-
고2인데 기출 가스라이팅? 당해서 겨울방학까지는 기출만 미친듯이 할꺼같은데 너무 기출에 미친건가..
-
지구 안하는데 오티는 싹다듣고 개념강의도 몇개 엄슬리가이드는 3회독함
-
레퍼토리를 좀 바꿔봐...
-
지구과학 3
7모 5등급이엇는데 9모 어느정도 나오려나
-
19학년도 수능부터 25학년도 수능까지의 예비문항
-
막걸리 가져가면... 막 걸니까... 와인은 괜찮음... 걸리면 와인노? 이러혜...
-
이제 사라지니까 최후의 발악하며 역대급 난이도에 미출제요소 꾸역꾸역 다 집어넣을 것 같음
-
개강하니까 옯하하하하하하
-
개정되면서 여러 주석들이나 토막 이야기들이 많이 빠짐
-
수능 끝나고 1월 쯤에 차년도 수능 대비 문항으로 공개하는거
-
설체님 0
글 보시면 댓 좀 부탁드릴게요
-
여성향 샤랄라 이런 느낌인거 성비 나오는 거에서 남자가 생각보다 많길래 놀람..
-
고2수학 모고 2
스블이랑 기출 공통킬러들돌리면 100점 가능? 무조건 100점이여야함. 6모처럼...
-
독재아니면러셀가세요그냥
-
연호쌤 스킬 복영만 사려는데 언제인가용 ㅠ?
-
에피 따려고 했는데 ㅅㅂ 온라인은 안된다네여 이런 모두 굿나잇
-
오소리 ㅋㅋㅋㅋㅋㅋㅋ
-
딱히 상관없나 해강은 ㅇㅅㅇ?
-
맘에안드는사람은 6
저격말고 조용히차단해요
-
꼭 남녀의 사랑을 다루지 않거나 비중이 적더라도 남자가 없으면...
-
테겐남임 ㅅㄱ
-
심멘 사랑합니다 심찬우 사랑합니다 심차은우 사랑합니다 내일 심화엔제 dog river 기대가 되네요
-
시야에서 사라지니까 더 불안하잖아ㅠㅠㅠㅜㅜㅜㅠㅠ
-
오노추 2
-
오늘도 수고했다 4
내일도 뺑이치자 학교는 안 가네 그래도
-
6시부터 공부하기로 한건 잘 지켜지는데 6시에 일어나려면 7시간은 자야되니까...
-
연애썰 7
-
교재 정오만 조금 더 줄어들면 좋긴 할듯함 근데정오표받으러들어가면 머리박고있는 사진...
-
그냥 오르비할래 16
괜히 통제만 하다가 역효과 났어 공부는 안 하고 오르비 대신 유튜브 존나 봤어 그냥...
-
진짜 그냥 인지도 부족 때문인가 사실 나도 올해 첨 알았는데
-
거긴 그나마 긴급한 환자들이 많아서 잘 눈치 못채는데 일반병원이나 다른 곳 간다?...
-
심심하다
-
야 4
안녕
-
내 방에 바퀴벌레 존나 큰거 한마리 들어왔음.... 아 씨발 여기저기 돌아다닐텐데 ㅈ같네 진짜
-
상상 파이널이랑 이감 파이널 샀는데 국바는 사지말까 걍
-
자러가자ㅏ 0
키 커야지
-
이번주도 기댜가 된다 ???: 아니 애들이 나 통과 못할 거 같다고 무시하더라고...
-
진짜모름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