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9모 대비 모의고사 - 1등급 3% (플마1%) - 26일까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87769
이번 모의고사 시리즈의 특징 )
1. 최근 트랜드에 맞는 새로운 이론들 내용 포함
2. 듣기평가는 기존 모의고사를 활용
3. but, however 등의 역접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단어는 최대한 배제하고
구문의 표현으로 대체
4. 정답은 정확하게 하나가 되도록 하면서
그 반대의 의미나 매력적인 오답들을 포함시킴
(본문 보다 정답을 선별하는데 조금 더 시간을 쓰도록)
5. 해석의 정확성을 요구 하면서도 정답이 포함된 지문은 어렵지 않도록
6. 수능과 비슷한 기조로 단어는 어렵지 않게 교육청 단어 중심으로 배치하지만
문장의 구조와 추상적인 내용으로 이해가 처음부터 선명하지는 않도록 함.
(물론 해석 잘하고 문제 많이 풀어본 학생은 배경지식을 통해 이해)
7. 실전에 적용해서 테스트 해 본 결과
7월 전국 모의보다 2개 정도 더 틀린 결과가 나옴.
(최상위권 학생들은 비슷)
8. 앞으로는 자작 모의고사를 평과원에서 만드는 유형 계속 적용해서
한두문제 정도 더 어렵게 만들계획.
9. 이 모의고사 시리즈는 1회부터 지금까지
주제,요지,빈칸 글에서 중요한 요소를 찾아내는 훈련을 하도록 만들어져 있음.
(배경지식 훈련을 위해 수능에 사용되는 여러 표현들이 함께 포함되어있음.)
(역접, 인과, 강조구문, 관계사 조건문, 작가의 의도가 포함된 문장찾기 등등 훈련)
순삽 문제 역시도 1. 글의 이어짐을 읽어낸 법 2. 지시사의 구분 3. 새로운 소재의 등장
4. 유사한 어조의 문장 고르기 5. 글의 긍부정 전환
를 집중 훈련하도록 했습니다.
훈련은 같은 유형 (다른 소재, 다른 단어) 를 반복해서 훈련하여 습득하는 것 말고는 없습니다.
실전 모의고사를 이렇게 30개 이상 만들어서
일주일에 두 세개 정도를 꾸준히 푸는 것으로
영어 공부 시간을 최대한 줄이면서 필요한 훈련에 집중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절대평가이니 영어에 공부 비중을 많이 둘 수 없는 학생들에게
특별하게 효과가 큰 훈련이지요.
그렇지만 시중에는 유형별 문제나 두세개만 들어있는 모의고사만 출시되고 있어서
반복 훈련이라는 개념이 적용되기 어렵습니다.
그냥 스킬을 소개하고 끝나게 됩니다.
그러면 성과가 크지 못해요.
쉽게 받을 수 있는 1등급을 못받게 되죠.
올해 시범삼아 계획한대로 제작을 해나가고 있는데
현강 학생들은 확실히 문제 보는방법을 익혀나가는게 보이네요.
단어도 반복해서 같은 단어를 사용하니
눈에 익어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자 이제 수능 D-84 이고 9월 다다음 주 입니다.
다들 신경쓰면서 열심히 공부하고 계실텐데
응원하고 좋은 결과 있을거라 이야기 전하고자 합니다.
저는 공부만 가르치고 공부만 하던 사람이라
이런저런 재미난 이야기 잘 못해서
그냥 학업적인 모습으로 쭈욱 갈게요.
그럼 또 봐요~~~
아직 9개 정도 모의고사 더 올라갑니다
이번 모의고사도 1주일 오픈하고 삭제합니다.
일주일에 하나씩 풀어보실 분들은
다음주에 새로 받아가시면 됩니다.
이제는 본격적으로
수능유형과 비슷하게 만들어갑니다.
일주일에 하나 !!!!
그걸로 자신의 성적을 바꿔보시길 바래요.
from 신성균 선생님
정답이 모호하거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언제든 여기에 올려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빨리 주말이 와야 해 16
-
졸 8
졸
-
그걸 누가 일차함수로 보는데 ㅋㅋ
-
굳이 따지자면 어디를 선호하시나요 이유도 부탁드립니다
-
댓글쓰면 12
답글써줌
-
먹겠습니다.
-
락 추천해드려요 14
잔잔한거 빡센거 신난거 골라보세요
-
아까 열어줬는데 안들어와서 다시 닫았는데
-
물1 전망 어떰 10
올해나 내년 물2보다는낫나
-
싱커,시냅스,수분감(step2는 손도 못대겠더라..)함 목표 15,21,22만...
-
코트 샀는데 4
기장 짧아서 잘 안 입게됨.. 신중ㅎㅣ 고를걸
-
브크에 지문들 다 정답률 5~60퍼대 문제들만 있냐 하..
-
강대 다니는 친구한테 이 모의고사를 받았는데, 문제는 해설지가 없네요 ㅠㅠ 이렇게...
-
씨발 연상녀의 3
노예가되고싶다
-
버튜버시청?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