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반영이 왜 욕먹는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67759
진짜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검정고시생이 차별받는다는 문제는 이해합니다만 그것은 따로 제도를 마련해야 할 문제라는 것에 공감하고,
여러분이 온리 그것 때문에 내신반영에 반대하는 것도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2028 개정 교육과정의 변별 요소로 보나 고등학생의 본분 측면으로 보나 당연한 흐름이라고 생각하는데
저를 설득시켜주실 분을 찾습니다.
일단 전 변화되는 수능으로 학과에 맞게 줄세우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이고
(예전엔 특정 학과마다 요구하는 필수 응시 과목이 따로 있었죠. 꼴랑 통합과학이랑 통합사회 제대로 배웠다고 서울대에서 요구하는 대학 수업 내용을 제대로 따라오리라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고등학생이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학교 수업에 충실하게 임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정시로 서울대를 노린다는 학생이 학교생활을 대충 해서 교과평가에서 C 또는 D를 때려맞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봅니다.
무작정 내신이 낮다고 낮은 점수를 주는 게 아니라 정시 내신반영은 mild한 학종이랑 다름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방 일반고에서 3등급 맞은 학생이랑 중동휘문에서 3등급 받은 학생이랑 교과평가가 다르게 나오는 것이 마땅하지요. 실제로 다르게 나왔다고 알고 있기도 하고요.
암튼 말씀해주시는 의견을 잘 들어보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똥싸고싶다 0
내 오랜 생각이다
-
https://youtube.com/shorts/wN5GwY_M6Y8?si=h_pq7...
-
너무 많아서 수학이랑 탐구만 남기고 국어나 영어는 버리러는데... 님들은 어캐하심??
-
현역 미적 선택자인데 수1을 넘 못해서 걱정이에요 귀납, 삼각함수 활용, 로그지수...
-
국어 헤겔 변증법 (3/6) 유류분 제도 (0/4) 유류분 제도 다 틀리고 너무...
-
중세국어의 평성 거성은 현대국어의 단음으로, 상성은 장음으로 남았다는 것과 상성은...
-
다시하면 감 돌아오나요? 이번 겨울방학때 기숙학원 같은데서 조교알바 해보고 싶어서...
-
막연히 높은 대학만 목표로 하던 애들은 정작 학점도 바닥을 기고 동기도 없으니...
-
솔직히 평소에 하는 업무 보면 왜 전문직 대우받는지 가장 이해안감
-
사람아니야.......
-
여기만 그런건가
-
문제 풀때 답 나온다음에도 막연하게 아 틀리면 어카지;; 이러면서 검토 한 5번은...
-
힘들구만 4
일어나 이제 시작이야
-
법무부, 체류기간 지난 동포에 특별합법화 조치 시행 3
법무부가 광복 80주년을 맞이해 체류 기간이 지난 동포에게 합법적인 체류 자격을...
-
글삭하셨네...... 좋아하는 수기글이 2개이상 사라짐 시간이 많이 흐르긴했구나......
-
9모전까지 끝내려는 양이 있는데 ㅈㄴ밀려서 하루라도 빠지면 안되는 상황이에요......
-
풀이를 아는상태로 그대로 푸는것만 3분이걸리는데 아니
-
이제는 ㄹㅇ 수능 다시 보면 큰일날 나이라 그런 생각이 안 드네요
-
사회성이 없다 이말은 틀린말 같긴한데 확실히 알바를 하면 사회성이 느는건...
-
국어 9등급-> 1
은 아니고 4등급인데 현장에서 안정 4 목표거든요…. 빨더텅도 있고 마닳도 있고...
-
이지영쌤 커리 따라가고 있는데 지금 4Step 진행중이고 개념노트, 심기일전 어디에...
-
해설에는 대본이있고
-
윤석열 ‘속옷 저항’ CCTV, 다음주 공개되나…이성윤 “꼭 보여드릴 것” 23
이성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무산 과정이 담긴...
-
많이쉬움?
-
문제형식 꼬아놓은건 걍 풀만한데 몇몇 단순 개념 선지가 너무 어려움.. 이거때문에...
-
게임 헤드셋 0
드디어 왔군 13만원의 가치를 하길 빈다... 나 이제 그지야...
-
허공에 단단해지기를 외쳐
-
내일 해 시발
-
지금까지 빅포텐1, 지인선 X 정병호, 4규 시즌1 끝냈는데 다음 N제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하 시발
-
수특, 수완 푸는 거 필수일까요
-
님들 그거 앎? 1
저 지금잘거임
-
하루에 독서1지문 문학1지문씩 하고 싶은데 모의고사 형식이라..
-
요즘도 횡단보도 못 건너게 하고 그런가
-
개정되면 통통까지 공부해서 4년동안 과외할꺼야.. 기하 100점받아서... 기출...
-
방금 로또 샀음 2
사실 로또는 아니고 연금복권임 심심할 때마다 로또나 연금복권 사고 있음. 5개...
-
오르새쌤 현강ㅇ 0
오르새선생냄 현강 다니시는 분!!! 9월부터 가고싶은데 현장자료 같은 거 있나요??...
-
으우…
-
함수 대칭표현 2
f(x)와 f(4-x)가 2에 대해 대칭관계인건 알겠는데 그럼 f(2+x)와...
-
Only me
-
계산이 ㄹㅈㄷ 평균변화률을 k에 대해 미분하면 cos(k+t)-cos(k) 가...
-
그림 한글에 어떻게 그려서 넣어요..?
-
베비 유 0
멕미 스마일 니 스타일은 다 맞아 그게 너라서 더 좋아
-
유전자 탓 사회 탓 환경 탓 하지 마라. 아빠도 엄마도 충분히 기다려줬다. 니...
-
자아 분열 3
-
다들 와봐요 0
좋아해요 쪽 >3<
-
내신 기준으로 화작 : 언매 비율이 5:3~6:2 정도 나올 것 같은데 상위권들이...
-
김기현 아이디어 3
지금 수2 듣고있는데 연습문제 8개가 있으면 3~4개 정도는 어느정도 풀 수 있는데...
-
누가 해 달래서 올리긴 올리는데 ㅁㄹ 해설안해봐서 이게맞는진몰르겟읆...
표면적으로는 그렇긴 한데
학생들 입장에서는 공교육을 이수할시간에 사교육 컨텐츠 공부하는게 더 효율적이라 그런걸수도 있겠네요
저는 이러나저러나 딱히 생각없긴함
말이 좀 셀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정신 똑바로 박힌 학생이라면 공교육에 최선을 먼저 다한 뒤에 사교육으로 눈을 돌려야죠. 저도 대치동 왔다갔다하면서 내신 비교과 다 챙겼는걸요..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버리고 효율적인 수험에만 집중하는 학생을 안 뽑겠다고 선언하는 게 불공평하다는 논리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ㅎㅎ
전 진로가 더 획일화될 것 같은 아쉬움이 가장 크게 남습니다
크게 꿈없는 친구들한테 진로를 고등학생때 미리 정하라하는게 말이 되나요
타당한 지적이라 생각합니다
서울대 학종에는 전공적합성보다는 계열적합성(공대 지망이라면 수학에서 두각을 보여야 하는 등)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 중론이긴 하지만
학생 개인의 입장에서, 특히 학종에는 큰 관심이 없고 정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미리 전공을 정해야겠다는 압박이 생길 수 있으니까요
내신 시험 퀄리티 생각하면 내신 권한 세지는거 반대하기도 하고...하여튼 저도 현역땐 수시로 갔지만 항상 수시싫어합니다
어차피 학원다니느라 정신없는데 억지로 꿈붙여서 만드는거 싫었음
이해합니다.
그치만 저는 살짝 다른 입장인데... 하기 싫은 거 꾹 참고, 대들고 싶은 거 꾹 참고 학교 선생님 밑에서 설설 기어보는 경험도 나중에 반드시 의미가 있는 것 같거든요. 모두에게 권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제 자식이라면 사회생활 경험해본다 치고 꾸역꾸역 해 보게 시키고 싶습니다 ㅎㅎ
고생 많으셨겠네요.
조금 원색적인 말이지만 좋은 대학 가고 돈 버는 게 남에게 굽신거리지 않게 살도록 하는 목적도 있지 않나요?
공부잘한다고 굽신거리지 않게 못살아요
저야 뭐 내신반영하면 이득 보는 쪽이긴 한데...
고등학교부터 진로를 정할 것을 요구하고, 정작 대학에서는 무전공 전형을 확대하는 건 좀 이상하다고 생각해요
동의합니다. 정시에서의 내신 반영만큼은 전공적합이나 계열적합을 안 보는 쪽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인 것 같으네요..
수시에 대한 신뢰가 떨어진 사람이 많다는게 문제임요. 내신 시험, 생기부 두 방면 모두로요.
그에 비해 정시는 상대적으로 그런 부분에 신뢰가 남아있다고 판단하는 사람이 많은 듯 합니다
그런 문제라면 충분히 납득이 가능하겠네요!
내신 한번 미끄러지면 영원히 발이 묵이는거....엄청많은 문제가 있지만 이거 하나만으로부터 벌써 엄청심각함요.
이해합니다만 글쎄요... 내신도 엄연히 학생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고 그걸 한번 미끄러진 건 안타까운 일이지만..
1) 내신 시험은 총 10회이므로 한번 미끄러지는 게 정시 교과평가에 큰 영향이 있는가?
2) 미끄러진 내신 때문에 내신을 버리고 정시파이터로 전향하는 행동은 옳은 것인가? (개인 입장에서 효율적인 판단일 수 있으나 학생으로서 마땅히 할 일을 버리고 효율적인 수험에만 집중하는 수험생을 안 뽑겠다는데 뭐라 할 수 없지요.)
를 고려하면 크게 잘못이라는 생각은 안 드는걸요. 내신 한번 미끄러지면 발이 묶이는 건 수시 학생부교과 또는 학생부종합입니다. 정시 내신반영에서는 하나 미끄러졌다고 발이 묶이지는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올바르겠지요.
군대 갔다와서라든지 사회생활하다가 다시 학업을 하고싶은사람들은 정말 엄청난 타격입니다. 한번 미끄러지거나 삑사리 나면 재도전 또는 사다리를 끊어놓겠다는 의도죠.
그런 케이스도 있겠군요.
하지만 D를 받지 않는 이상 사다리를 끊는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은데... 과연 D를 받을 정도로 학교생활이 심각했던 것을 삑사리라 할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23학년도에 내신반영이 처음 등장했을 당시, 내신반영이 이런 사람들을 배제하는 제도인지를 놓고 공방이 있었던 것으로 아는데, 결국 정시에서 한 문제 더 맞추면 되니 불공평하지 않다는 식의 의견이 있었던 기억이 납니다. 저도 이런 생각이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