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96점 맞을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359137
제곧내입니다 현재 수학 성적은 거의 88~92 정도 나옵니다
좀 어려운 실모 빼고 교육청 학평 평균 정도 실모에서 항상 같은 패턴이 나오는데
88점까진 50~60분까지 다 풉니다 그리고 정확히 22 28 30 이렇게 세 문제가 남아요 미적 선택잡니다
근데 여기서 더 나아갈 수가 없어요
가끔식 92점 맞는 날은 28분에 30분 갖다 박아서 겨우 풀 때 이런 성적이 나옵니다
이제 앞으로 무슨 공부를 해야될까요?
제가 느낀거는 단순히 뭔가 양치기에 한계가 보이는 거 같습니다
계속 고차원적인 발상을 요구하는 이 느낌...
수학황분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리트300제 교재랑 강의 내년에 새로나옴? 지금 샀는데 올해 못풀거같아서 내년에...
-
지방러라 서바나 강k 같은거는 구하기 빡셈
-
저메추 2
-
아니네
-
독재에서 12시간 갇혀 있어도 순공 10시간은 힘들지 않나? 그것도 문제만 푸는거면
-
난 수영못해서 지식의 바다로 가면 익사함 평생 유아풀에서 물장구치고 놀아야할 운명임
-
84면 2등급인가 스러너 5회가 파이널 1회임??
-
간짜장 그냥 짜장소스에 대충 기름섞어서 줌 야발련아 면도 다불어오고 ㅅㅂ
-
내 약한 심장... 이래서 커피를 못 마심
-
불법체류자를 합법체류자로 왜 바꿔줌?
-
관광릿으로 뽀록 터진 거긴 한데.. 그래도 사설도 좀 (공짜로) 풀어보면서 리트 칠...
-
스블 수2 후기 1
1컷 정도 실력이 들었는데요 킬러 많이 박혀 있어서 어려웠음 절대 3점 다 풀...
-
힘들다
-
ㄱ선지 동그라미 쳐놓고 ㄱ선지 없는 거 고른다거나, 동쪽 서쪽 헷갈려서 틀린다거나 하는 실수요
-
보통 대학 어디쯤부터? 서울 올라가시나요 저는 중경외시라고생각햇는데 엄마는 서성한...
-
최적의 구매 시기라 생각합니다. 이 책으로 기출 갈무리, 개념 이해, 체화까지 다...
-
버거킹 더오치맥시멈3
-
이왕 기출 가져다 쓰는 거 기출 지문에 자작문제 몇 개 추가해서 맛깔난...
-
김기현 기생집,아이디어들었음 1.먼저 문제를푼다 2.맞으면안봄,틀린거만...
-
담당쌤이 내라는거 안내서 생기부에 "나쁘진 않음" 이라고 적어놨는데 이거 나중에...
'고차원적인 발상'은 맞는데 그것도 더 단순한 부분적인 개념들로 쪼갤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준킬러를 많이 푸는 연습을 하시다보면 킬러도 풀 수 있게 되는 것 같아요.
준킬러들의 조합 = 킬러 니까요
고품질 N제나 모의고사를 최대한 많이 구하셔서 문제를 많이 풀어보시면 됩니다
저도 작년에 미적만 모의고사 400~500회정도 봤는데 뭔가 어설펐고요
1000회정도 보면 되는 것 같아요
ㅖ?
와
선생님 제가 물어볼 때가 없어서 좀 더 물어볼께요
1. 제가 뉴런하는 시간이 아까워서 수1 수열하고 미적 급수쪽만 듣고 스킵했는데 특별히 들었으면 하는 부분이 있나요?
2.혹시 추천하시는 n제 있으신가요? 이해원 외엔 딱히 푼 n제는 없습니다
3.공통이랑 미적 공부 시간 배분을 몇 대 몇으로 해야 될까요?
소중한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ㅜ
500회 1000회라고 하니까 엄청 많아보이지만 실제로 모의 1회분이 27~30번으로 '실질적 4문제'니까 고난도 문제를 4000문제정도 푸시면 되는 것 같아요.
1. 뉴런을 들을 시기는 아닌 것 같은데, 미적분은 한번 들어두면 도움은 될 것 같아서 2배속에 10초씩 빨리 넘기면서 몰랐던 부분들만 가져가면 좋지 않을까요?
2. 실력에 맞게 하시는게 좋은데 가격 생각 안하고 제일 좋은건 서바이벌+브릿지 모의고사 풀세트입니다
3. 미적에 80%이상 투자하시고 공통은 그냥 곁다리로 감만 잃지 않게 하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28은 그래도 요즘 실모에서도 풀만하게 나오는 편이던데 번호에 쫄아서 더 그런거 아닐까요
그렇긴한데 기본적으로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요 작년 9평 28도 30분 넘게 걸리구
가형기출을 논리적으로 완벽히 해체하여 분석.(예를 들어 210921의 그래프 풀이가 논리적으로 무엇이 잘못되었고 그렇다면 논리적으로 정확한 일반해 풀이는 무엇인가, 171130을 기울기 함수가 아닌 수식으로 풀어보기 등등)
김범준 센세 카나토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