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법과 적분 [1395941] · MS 2025 · 쪽지

2025-08-07 22:49:08
조회수 857

[킬럼]오늘의 지식: 우리나라의 산불이 나는 이유 중 하나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96804

부제: 이제부턴 나도 킬럼러?!


안녕하세요, 킬럼러 화법과 적분입니다

오늘은 산불의 원인 중 하나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산불이란 산에 불이 나는것을 말하는데요

산불이 나는 이유로는 여러 원인들을 꼽을수 있지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원인은 높새바람이라 할수 있겠습니다.

먼저 높새바람을 설명하기 앞서 우리나라의 지형에 관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우리나라는 동고서저의 지형으로 동쪽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동쪽의 태백산맥을 떠올릴수 있겠네요

높새바람을 일으키는 바람은 여러 바람들이 있지만

저는 지금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높새바람이

떠오르기 때문에 그에 대해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높새바람은 높은 곳의 새로 인한 바람이라는 뜻인데 이는

오호츠크해 기단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오호츠크해 기단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죠

우리나라는 계절풍이 불기로 잘 알려져있는데

오호츠크해 기단은 주로 초여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기단에 오호츠크해 기단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를

많은 분들이 오호츠크해에서 따왔다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은데

사실은 오호츠크해에 서식하는 '츠크'라는 거대한 새와

이 새 특유의 울음소리인 '오호' 하는 소리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여기서 아셔야 할 점은 이 츠크가 우리나라에 높새바람을

일으킨다는 것인데요?

오호츠크해의 영향력이 강해질 무렵 츠크가 오호츠크해를 떠나

우리나라까지 날아옵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오호츠크해부터 우리나라까지는

거리가 있다보니 우리나라의 동쪽, 즉 아까 말씀드린

태백산맥에 도달할 무렵 힘이 들어 눈물을 흘리는데

이로 인해 태백산맥의 동쪽에 비가 오게됩니다

충분히 운 후에 태백산맥을 넘으며 기침을 하게 되는데

눈물을 많이 흘렸기 때문에 이 기침은 건조하며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부리의 구조 때문에 기침과 함께

불이 나오게 되고 이 불이 산으로 번져

산불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높새바람, 즉 높은 새로 인한 바람이란 이름이 붙은 만큼

츠크라는 새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높은 곳에서 비행하기 때문에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거 같아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한국지리 내용 중 일부 발췌)

이상 킬럼러 화법과 적분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이 글을 많은 분들이 볼수 있도록

좋아요 부탁드릴게요

rare-아쯔이 rare-소전 벡터 rare-끼얏호우!흥이 rare-빵튀하는 칸나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