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 왜 자음체계표에 치조음이 이렇게 많고 후음은 별로 없을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64258
(ㅎ이 격음인지 평음인지는 교과서마다 다름.)
간단합니다. 우리 몸의 구조와 관련된 부분입니다.
치조음은 혀를 움직여서 혀끝을 치조 부위 또는 그 근처에 대거나 근접하여 내는 소리인데 우리 인간은 혀 그중에서도 혀끝을 발음기관 중 가장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이 부위를 이용하는 자음 수가 자연히 많을 수밖에 없는 것이죠. 한국어처럼 자음체계에 다른 조음 위치에 비해 치조음이 많은 것은 언어 보편적인 특징입니다.
반대로 후음은 성대를 통해서 나는 소리인데 인간은 성대를 발화자가 능동적으로 움직이기는 어려운 부분이고 또 위치 자체가 다양한 소리를 내기 어려운 부분이라 이 위치의 자음이 별로 없는 겁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님들아 사랑해 4
-
느는거 맞겠지?
-
메가터짐? 0
윽건이 해설 봐야되는데
-
[250630] 1. 탄젠트 덧셈정리와 관계식의 이용 2. n -> inf일 때,...
-
베고파 28
진순이 하나 낋여먹을까
-
언매가 더 쉽고/표점도 높고/더 빨리 풀리는데 외 않해?
-
어쩌다보니 이중근호 나와서 걍 풀어버림..
-
좀만 자야겠다 0
7시브터 빡공!!
-
하원 6
오늘도 수고하셨습니다 현강이랑 라이브 여러개를 갑자기 등록하다보니 자료때문에...
-
이거 원래 개념책으로 수강 가능?
-
흠.
-
뭘 보고만 있어 살려줘!
-
진짜로 내가 진짜 너무사랑함 야ㅡ미안해ㅋㅋㅋ..내가너무많이좋아해서 표현을너무많이하고...
-
좋은 애니 대사는 너무 많아서 못고르겠네 사람이면 제발 다크나이트 봅시다 진짜........
-
인증할까 2
저급한 도파민이 필요하다
-
미적 최근 기출들 30은 풀만하고 28은 대놓고 어려움 4
객관식 찍맞으로 오답률 낮추기+그래도 실수들은 30 맞추게끔 내기가 평가원 전략인듯
독일어나 스페인어 같은 거에는 후음도 많지 않나요?
그렇게까지 많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애초에 후음(glottal sound)이 언어 전체적으로 음소 개수 자체가 적어요
음소로 따질 때 독어나 스페인어 모두 후음이 많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변이음으로는 어떨지 몰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