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기출 분석이란?-지문말고 제발 문제도 분석 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50092
먼저 주관적 의견이고, 성적은 6평 언미 만점임을 밝힙니다
국어 기출의 활용 용도는 더할 나위 없이 많은데, 이걸 다 활용하지 않는 경우가 의외로 많더라구요.
그런 의미에서 용도를 전부 정리해봤습니다. 개인마다 중요도는 달라서 순서에 의미부여하진 마세요.
1. 서술/전개 방식
2. 출제 포인트
3. 이를 기반한 독해 방식의 확립 및 적용 연습
***4. 선지 논리(중요해서 먼저 설명함)
4. 선지 논리
대부분 무시하는데, 근래 트렌드는 너무 난해한 지문보다는, 답을 찾기 어려운 문제로 변별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25 수능 가 나 인문지문의 보기 문제가 비문학에서 제일 어려웠는데, 사실 이는 지문의 개념과 부합하지 않는 사례로, 아무리 지문을 잘 읽어냈어도, 지문의 개념을 적용해야만 한다고 생각하고 접근하면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저는 이걸 "지문과 약간 다른 보기"라고 명명해서 이해하고 있으며, 이는 25수능에 깜짝 등장한 것이 아니라
08수능 할인율, 2006동일성 지문, 2506 과두제
모두 나왔을 때 정답률이 굉장히 낮았던 문제들입니다.
1. 전개 방식
평가원은 새로운 방식으로 글을 전개해나가기도 하지만,
유사한 전개 방식을 보일 때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주제의 화두를 던지고, 그 사이에 두 세 문단 가량
그걸 설명하기 위해 개념 정의를 하고, 다시 주제로 돌아와 마무리 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렇게 글 전체의 전개 방식도 좋고,
요즘 "(A의 정의)한 A"와 같은 형태로 정의를 숨겨서
던지기도 하는데, 이런 사소한 서술 방식도 좋습니다
2. 출제 포인트
역시 유사한 부분에서 꾸준히 선지를 내는 포인트가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법지문은 예외 사례를 질문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3. 이를 기반한 독해 방식의 확립 및 적용 연습
제일 중요한 건데, 결국 수능날 어떻게 읽을지를 고민하는겁니다. 그것의 판단 기준이 기출이 될 것이구요.
그읽그풀이든 구조독해든, 표시를 하든 안하든, 그 규칙을 기출을 기반으로 확립해야 합니다.
문학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역시나 소설의 경우 자주 등장하는 전개방식이 있구요
유사한 부분에서 질문을 던집니다
다만 지문을 직접 쓰지 않고, '골목 안'과 같은 정말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지문보다 문제가 중요하단 게 큰 특징입니다
따라서 문학은 제가 선지 논리라 표현한 '문제에 대한 분석'이 더더욱 중요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래
-
dp pt 하골 소실 이거 말곤 걍 ㅈ노잼임
-
6모 92단인데 진짜 이감풀때 지문은 그래도 이해해서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문제가...
-
시대라이브 강대라이브 해도 되고 정말 환경이 열악하면 이투스 ㄱㄱ
-
오늘은 범모풀었는데 훨씬 숨통트이는느낌
-
경찰대 질문임 4
1차 최초합에서 6배수인 300 뽑고 거기서 등록안한애들만큼 1차 추합에서...
-
수열 관련 질문 0
Sn이 상수항이 있는 이차식 꼴인 경우에는 등차수열이라고 할 수 없는 건가요? 단지...
-
서울대가고싶다 2
예아 또 다시 보여줘야돼
-
현역때는 그냥 생각이 없고 재수때는 아 모르겠고 삼수는 아 시발!
-
니 자피 아나 2
자피? 애들 좋아하는 자피 저도 좋아합니다
-
수학 중간3등급정도 타겟으로 가르치시는 강사분은 누구있나요?? 안가람,엄소연t 정도말고는 없죠?
-
진행되고잇는거?
-
제가 남자를 진짜 좋아해서 서울대 공대 가고싶어요 10
분탕 아니고 진짜에요...ㅜㅜ 꼭꼭 응원해주세요!
-
브레턴우즈 지문 1시간이나 박았는데 2문제 밖에 못맞았네 2
노베에겐 너무 많이 어려운 것 이에요...
-
과외 끝났다 3
뒤질거 같다 하아
-
레어뺏지마 1
ㅠㅠㅠㅠㅠㅠㅠㅠ
-
연애 왜 함 1
진짜 모름 그거 할 시간에 문제 하나 더 풀겠다 ㅋㅋ
벌벌떨리는 수능현장이어도 불구하고 글 읽으려면 루틴을 만드는게 중요한듯
지문은 작가의 것이지만 문제와 선지는 평가원이 내는 것이기 때문에 평가원의 방식을 익히는 것이 중요한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