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역인데 공통은 0-1틀 고정으로 상수로 많이 끌어올린것 같은데 미적은 아직 그정도...
-
뭐만 하면 욕이 툭툭 튀어나옴
-
차단목록 8
-
한번.. 들어봐도될까요 ..
-
평반고여도 4
만족감은 있어요 내신 난이도 중 어느정도 면학분위기 조성 쌤들 좋으심 일진 없음 이게 베스트인듯요
-
ㅇ
-
강평업 첫강 후기 10
수업 재밌음 강기분 새기분에서 배웠던 포인트들 정리해서 테마별로 지문 묶어놓은...
-
차단 목록 ㅇㅈ 4
그 - 없 모두 잘 지내보아요
-
한명빼고..
-
어떻게 n수들보다 공부 잘하는 거임 진짜 존경스러움
-
언제 줄이지
-
제 몸을 여사친이 자꾸만져요
-
김종익 잘잘잘 0
9모끝나고 들어가도 괜찮나여 9모까지 잘잘잘 + 기시감만 제대로 하려구요
-
내일 달려야겠다
-
차단목록 ㅇㅈ 29
-
나는이걸위해일주일을버틴게아닌데
-
흐음 뭐지
-
ㅇ
-
고2 정도까지만 쓰는 내신용 교재 아니었나요 ?.? 저는 수능 기출같은 거로...
-
휴 다행이다
-
완전 노베전용 강사셨나요??? 지금은 상위권도 꽤듣던데
-
학교가고 싶다 5
학교를 가야 생활패턴이 잡히면서 공부가 됨
-
수능용으로도움이되긴함?
-
재수생 만년 3등급 이때까지 강기분 문학. 올오카 독서로 기출 분석 끝내고...
-
잘자... 13
좋은꿈꿔
-
유튜브 킬 때마다 슬픔 11
몇번을 새로 들어가도 들어갈 때마다 타코피가 뜸.. 알고리즘 나한테 왜이래 ㅠㅠ
-
9모는 너무 중요함 9모를 잘봐야 수시 원서를 높게 쓸 수 있음
-
일단 나는 그럼 내가 이후에 고시준비를 시작하면 극소점이자 최솟값인 지점이...
-
야!!!!!! 24
잘자
-
오키 4
-
특히 본인이 수학/물리학/통계학 계열 쪽이면 한번 확인해 보세요.참고로 2022년...
-
차단목록 6
도파민추종자라 오히려 차단 안함 그냥 즐겨
-
님들 먼가 있자나여 11
수특 수완을 좀 시작해보려하는데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밖에 안드네요.. 이런생각 버려야겟지..
-
20대초반
-
차단목록 6
초장견 이새~기들아
-
[공지]고2 6월 학평 대결 결과 및 9모 대결 변동사항 안내 부제:9모 한판 뜨자 33
안녕하세요 약 두달만에 돌아온 설의적 표현입니다. 사실 제가 요즘 많이 바쁜 관계로...
-
대성 패스가 있긴 한데 작년 수능 기준으로 산ㅇ반기에는 대성 위주, 하반기에는 메가...
-
오르비 유저의 구성을 일컫는 말이다.
-
오르비거의처음인데 10
뭔짓하면차단박힘? ㄹㅇ여기 플로우를 모루겟어
-
차단 목록 ㅋㅋ 12
-
반수생이고 7월부터 확통 공부 시작해서 지금 수분감 통계파트빼고 개념기출 다했는데...
-
차단목록 ㅇㅈ 6
-
아 또 잠시 10
영어 과탐 스퍼트 해볼까.. 딱 3일만.. 다른과목에 지장없겟지..
-
제가 알기로는 카의, 성의 논술 동시합격하면 다 카의 가신다고 들었는데 그럼 카의가...
-
[짧은 칼럼]241122는 논리적이면서 의외로 간단하다 0
삼차함수 f(x)가 감소하는 부분 기준 적당히 왼쪽 부분(좀 더 세밀하게 나누면...
-
시발근데맨끝이야 A-5 6 7 8님 제발 바꿔주세요
soft acid 아시는구나!!!

그뭔씹https://namu.wiki/w/HSAB%20%EC%9D%B4%EB%A1%A0
HSAB 이론은 **Hard and Soft Acids and Bases theory**의 약자입니다. 이 이론은 화학 반응에서 산과 염기 사이의 선택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배위화학이나 무기화학에서 중요하게 쓰입니다.
Hard (강): 전자가 강하게 결합된, 변형되기 어려운 성질
Soft (연): 전자가 느슨하게 결합된, 쉽게 변형되는 성질
HSAB 원칙:
"강산은 강염기와, 연산은 연염기와 잘 결합한다."
즉,
Hard acid ↔ Hard base
Soft acid ↔ Soft base
이 조합이 안정하고 유리한 상호작용을 만든다고 설명합니다.
예시:
Ag⁺(soft acid) 는 I⁻(soft base) 와 잘 결합하여 AgI를 형성함
Al³⁺(hard acid) 는 F⁻(hard base) 와 잘 결합하여 AlF₃를 형성함
1. 침전 반응 예시 (HSAB 적용)
Ag+ + I- → AgI (침전 생성, 안정함 — soft-soft 상호작용)
Ag+는 soft acid, I-는 soft base이기 때문에 잘 결합함.
2. 배위화학 예시 (리간드와 금속의 결합)
PtCl2 + 2 PPh3 → PtCl2(PPh3)2
Pt2+는 soft acid, PPh3는 soft base → 안정한 착물 형성
3. 유기금속 반응 예시 (촉매 반응에서의 선택성)
Pd(0) 촉매는 soft acid → π-계 알켄(soft base)과 잘 결합해서 아래와 같은 반응을 유도함:
Pd(0) + CH2=CH-X → π-복합체 형성 → C-C 결합 반응 진행 (ex. Heck, Suzuki)
(※ X는 전형적으로 할로젠 또는 보레이트 등)
4. 생물무기화학 예시
Zn2+ + O/N donor ligands → 안정한 착물 (hard-hard 상호작용)
Hg2+ + sulfur donor ligands (ex. cysteine) → 안정한 착물 (soft-soft 상호작용)
5. 리간드 치환 반응 예시
[Co(NH3)5Cl]2+ + I- → 반응 안 함 (Cl- 치환되지 않음)
Co3+는 hard acid, I-는 soft base → 치환이 잘 안 일어남
기준이 표점인가요
예!
걍 변표를 쓰는게
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