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연속미분가능 · 1007587 · 6시간 전 · MS 2020

    soft acid 아시는구나!!!

  • 정시파이터 설의적 표현 · 1355337 · 6시간 전 · MS 2024

    그뭔씹
  • 불연속미분가능 · 1007587 · 6시간 전 · MS 2020

    https://namu.wiki/w/HSAB%20%EC%9D%B4%EB%A1%A0

    HSAB 이론은 **Hard and Soft Acids and Bases theory**의 약자입니다. 이 이론은 화학 반응에서 산과 염기 사이의 선택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배위화학이나 무기화학에서 중요하게 쓰입니다.

    Hard (강): 전자가 강하게 결합된, 변형되기 어려운 성질
    Soft (연): 전자가 느슨하게 결합된, 쉽게 변형되는 성질

    HSAB 원칙:
    "강산은 강염기와, 연산은 연염기와 잘 결합한다."

    즉,
    Hard acid ↔ Hard base
    Soft acid ↔ Soft base
    이 조합이 안정하고 유리한 상호작용을 만든다고 설명합니다.

    예시:
    Ag⁺(soft acid) 는 I⁻(soft base) 와 잘 결합하여 AgI를 형성함
    Al³⁺(hard acid) 는 F⁻(hard base) 와 잘 결합하여 AlF₃를 형성함

  • 불연속미분가능 · 1007587 · 6시간 전 · MS 2020 (수정됨)

    1. 침전 반응 예시 (HSAB 적용)

    Ag+ + I- → AgI (침전 생성, 안정함 — soft-soft 상호작용)

    Ag+는 soft acid, I-는 soft base이기 때문에 잘 결합함.

    2. 배위화학 예시 (리간드와 금속의 결합)

    PtCl2 + 2 PPh3 → PtCl2(PPh3)2

    Pt2+는 soft acid, PPh3는 soft base → 안정한 착물 형성

    3. 유기금속 반응 예시 (촉매 반응에서의 선택성)
    Pd(0) 촉매는 soft acid → π-계 알켄(soft base)과 잘 결합해서 아래와 같은 반응을 유도함:

    Pd(0) + CH2=CH-X → π-복합체 형성 → C-C 결합 반응 진행 (ex. Heck, Suzuki)
    (※ X는 전형적으로 할로젠 또는 보레이트 등)

    4. 생물무기화학 예시

    Zn2+ + O/N donor ligands → 안정한 착물 (hard-hard 상호작용)
    Hg2+ + sulfur donor ligands (ex. cysteine) → 안정한 착물 (soft-soft 상호작용)

    5. 리간드 치환 반응 예시

    [Co(NH3)5Cl]2+ + I- → 반응 안 함 (Cl- 치환되지 않음)

    Co3+는 hard acid, I-는 soft base → 치환이 잘 안 일어남

  • 그래프를찢어 · 1366010 · 6시간 전 · MS 2024

    기준이 표점인가요

  • 정시파이터 설의적 표현 · 1355337 · 6시간 전 · MS 2024

    예!

  • 그래프를찢어 · 1366010 · 6시간 전 · MS 2024

    걍 변표를 쓰는게

  • 시립대를 미분두번 벅벅 · 1339063 · 6시간 전 · MS 2024

    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