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의 누] 독서/문학 칼럼 : 소개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40251
“올해는 독서가 어려워진대.”
“내년부터는 이제 문학이 어려워질거라네.”
“아니야, 이번 교육 과정부터는 화법과 작문이 더 어려워질 거라는데?”
입시판에 발 들여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 류의 얘기를 한 번이라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주기적으로 바뀌는 교육과정과 매 시험 바뀌는 출제 기조. 수험생 시절의 나는 이 부분에 큰 회의를 느꼈다.
“시험 공부하기도 바쁜 수험생들이 과연 이런 부분까지 신경써야 하는 것일까?”
“변하는 출제 기조에 맞추어 매년 나의 공부 방법이 바뀌어야 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상위권 학생들은 그들만의 변치않는 공부법이 있지 않을까?”
국어 공부뿐 아니라, 모든 과목에 걸쳐 항상 던지는 질문들이었다. 현역 시절의 나는 그러한 질문들에 답을 내리지 못했다. 결과는 물 보듯 뻔했다. 평소에는 본 적도 없던 숫자들이 내 성적표에 적혀 있었다. 충격을 받고 재수를 시작한 이후로도 몇 달 간은 이걸 왜 공부해야하는지도, 어떻게 공부해야 하는지도 모른 채 그저 남들 하는 것처럼 공부를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대치동 모 학원의 논술 현강을 들으러 간 이후 내 공부의 근간이 바뀌었다. “논술 전형의 변화와 대학별로 다른 출제 기조를 하나로 아우르는 논술의 공부법을 알려주겠다.” 자기가 뭔데 저렇게까지 말을 하나, 의심 가득하게 들었던 그 수업에서 내가 던지던 일련의 질문의 정답을 찾을 수 있었다.
결국 우리가 읽어야 하는 것은 ‘한국어로 된 지문’이다. 이 사실을 꺠달은 이후 나 스스로에게 질문을 다시 던지기 시작했다.
“나는 책을 읽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해 본 적이 있는가?”
“나는 책을 읽을 떄, 글의 구조에 대해 분석해 본 적이 있는가?”
아니, 난 한 번도 그래본 적이 없다. 그렇다면 대체 왜 <수능 국어 지문>을 읽을 때에는 구조를 분석하고 읽는 방법에 대해 공부를 해야하는가. 그 후 내 국어 공부는 지문 이해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자연스럽게 지문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며 선지-지문의 왔다갔다 하는 시간이 절약되었다.
결과는 훌륭했고, 입시판을 떠난 이후 과외 학생들이 어떻게 봤을까하며 현장 응시했던 수능에서 항상 상위권의 성적을 거두었다. 물론, 더 훌륭한 강의와 교재들이 존재하나 나와 같은 의문을 지닌, 지닐 학생들을 위해 이 교재를 써본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돌려볼까
-
전글보고와....
-
국어 겨울방학, 3모준비, 6모준비 이렇게 각각 한달 정도씩 할애했는데 확실한건...
-
진짜 공부하다가 미치는중인데 좀만 더 있으면 정신질환 생길거 같음 친구 만나도 속에...
-
카르텔문제임뇨
-
맛있습니다 블루아카 관심없으신분들한테도 추천드림.. 츄라이츄라이
-
고민되네 2
더이상 의미없는 것 같은데
-
솔직히 국어는 2
공부를 하나 안하나 점수 변화가 없는 것 같아요…
-
동생 잠 자는거 방해하려고 모기 소리 mp3 다운 받은 다음에 진짜 모기 소리처럼...
-
비독원 공부중인데 제가 본택이랑 인강들으면 약 2시간에서 시간 30분정도가 걸립니다...
-
지난해 하니의 국정감사 출석.정말로 아티스트를 아꼈다면 무조건 막았어야 하는...
-
조정식 구속여부 0
어떻게 될까
-
눈 감고 1
하나 둘 셋
-
정녕 니 수강생의 한계를 시험하려 하는가
-
시즌1 대기 풀렸는데 밀린 거 기간 끝나기 전에 다 들어야 한대서 고민인데요...
-
나밖에없을줄은몰랏음
-
이건 진짜 ㅋㅋ 3
한국사 8100원은 양심 터졌냐 진짜 좋게 봐주려다가도 욕설 마렵다
-
우리 과 영강 많아서 영어 졸업요건 없음 대학원 가야해서 영어 자체를 잘해지고 싶음...
-
허수입니까? 아니 평가원에서 통계 문제 나온 적이 최근에 있었나??
-
어싸 2
계산이 힘드네
부족한 실력이지만,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