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leo [849815] · MS 2018 · 쪽지

2025-08-02 18:56:49
조회수 589

수학 공부 질받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20360

16 수능 4, 17 6월 3


17 9월 100, 17 수능 1

18 6 9 수 각각 96 100 96

모 의대 논술합


성적 상승도 해봤고


나름 높은 벽도 넘어 봤다고 자부함


잠시간 인생이 한가하여 비용 안 받고 무료로다가 해드림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늙은노베 · 1385724 · 4시간 전 · MS 2025

    입시 수학 굇수가 되려면 하루에 몇시간씩 갈아넣을까요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저도 궁금해요

  • 늙은노베 · 1385724 · 4시간 전 · MS 2025

    센세 수준까지 가기위해 가장 영향력이 컸던 책이나 강의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 늙은노베 · 1385724 · 4시간 전 · MS 2025


    벅벅이가 도움이 되셨다니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기출 이외에는 최고의 책이죠

  • 늙은노베 · 1385724 · 4시간 전 · MS 2025

    와 의왼대요 이건 정말

  • 늙은노베 · 1385724 · 4시간 전 · MS 2025

    수리논술에 좋은 교재 추천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수리논술나침반

  • 늙은노베 · 1385724 · 4시간 전 · MS 2025

    캄사캄사

  • fami · 1398347 · 4시간 전 · MS 2025

    하루에 수학 문제 몇문제 푸심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한창 시절엔 실모 3개 까고 N제도 추가로 풂

  • VeniVidi · 1396290 · 4시간 전 · MS 2025

    현시점 논술 의대 노릴정도면 어느정도 실력이어야 하나요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논술 의대가 꽤나 축소된지라 수학만 따졌을 때 전국 300등 정도는 해야...

  • VeniVidi · 1396290 · 4시간 전 · MS 2025

    저도 개인적으로 기출로 엄청 크게 성장한 타입인데, 오답같은 경우는 어떻게 하는지, 그리고 복습은 얼마나 텀을 두고 하셨는지 마지막으로 여쭤봅니다..!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오답은 따로 노트를 만들거나 하진 않았고, 심심할 때 보면서 뭐 놓쳤나 풀이 복기하는 식으로 많이 했습니다

    머리속으로 다시 풀이 과정을 전개하면서 이럴 땐 왜 이렇게 가야하지 생각해보는 식으로 했습니다

  • VeniVidi · 1396290 · 4시간 전 · MS 2025

    감사합니다 !

  • 신입22 · 1344462 · 4시간 전 · MS 2024

    제일 도움 됐던 교재가 뭔가요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쎈, 기출

  • 늙은노베 · 1385724 · 4시간 전 · MS 2025

    kmo imo 잘하시는지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한번도 안 해봐서 모르겠네요

  • 음잘알희망 · 1390155 · 4시간 전 · MS 2025

    어려운 기출문제는 어떻게 접근해야될까요(수2, 미적)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수2, 미적이면 함수 추론이 대부분일텐데 문제의 텍스트가 수학적으로 어떻게 나타내야 되는지 항상 생각을 해보셔야 합니다

    예를 하나 들자면 올해 6평 15번의 문제는 (가)부터 막힌 학생이 많을텐데, 조건을 보면 우극한값이 0 이상이다라는 텍스트를 기본적으로 극한값이 존재해야 하고, 이는 함숫값과 우극한 값이 동일해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분자가 0이 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과 같죠

    이렇게 텍스트를 하나하나 풀어서 사고해봐야 됩니다

  • 음잘알희망 · 1390155 · 4시간 전 · MS 2025

    감사해용
  • 거2때는 어떨게공부하셨나요..만년4등긎인데 2등급이상 받으려명 러덯게 공부해야햐나요..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고2때는 열심히 잤는데...

    일단 쎈 열심히 푸시고, 쎈을 생각없이 풀지 말고 쎈의 유형에 대한 기본적인 접근을 졸면서도 할 수 있을 만큼 체화한다고 생각해보세요

  • 장래희망비둘기 · 1239176 · 4시간 전 · MS 2023

    고정1등급의 벽이 안뚫리는데 여긴 양치기로 극복가능할까요

  • 장래희망비둘기 · 1239176 · 4시간 전 · MS 2023

    요즘 문제마다 얻어가는게 적어진 느낌이에요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제 칼럼 보셨는지 모르겠는데 그럴 때는 지금가지 풀었던 문제들 중에 풀이가 마음에 안드는 문제들 가져다가 다시 깔끔하게 푸는 연습 한번 해보세요

    저도 아직 기출을 곱씹으면 새로운 게 나와서 칼럼 씁니다

  • 장래희망비둘기 · 1239176 · 4시간 전 · MS 2023

    감사합니다 칼럼도 읽어볼게요

  • 사좃경정 · 1293669 · 4시간 전 · MS 2024

    평가원 96 사설 92 정도 높1인데 100점을 받기 위한 길이 너무 험난해요..이 과정을 어떻게 버티셨나요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사실 저도 96 100 96 100 이렇게 나온지라 뭐라 드릴 말씀은 없는데...

    그래도 100점 사정권이시니 지금 하시는 것 열심히 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 연수학망해라 · 1229081 · 4시간 전 · MS 2023

    17 18때 오르비 실모 벅벅은 못 참지 캬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해모, 히카가 사실 오르비 출판이었다는 사실...

  • 이레이저헤드 · 1156800 · 4시간 전 · MS 2022

    사설문제 복습 의미있나요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수정됨)

    문제에 오류가 있지만 않다면 나름의 의미는 어떤 문제든 있다고 생각합니다

  • 삼수안해요 · 1345962 · 4시간 전 · MS 2024

    수리논술 공부는 어떻게 하셨나요??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1. 수능/실모 고난도 문제 논술 답안 작성하듯 '논리적'으로 풀기
    2. 논술 기출 풀기

    중요한 건 언제나 논리성을 따지는 것입니다

  • 삼수안해요 · 1345962 · 4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글쿤여 혹시 논술현강을 다니셨거나 첨삭 이런건 받으셨나요??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수정됨)

    9평이 끝나고 깔짝 다니긴 했는데, 합격한 대학에는 큰 도움 못 받았던 거 같네요

    안 다녀도 붙긴 했을듯

  • 삼수안해요 · 1345962 · 4시간 전 · MS 2024

    그러시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운기칠삼 · 1326516 · 4시간 전 · MS 2024

    이상한 질문 하나만 해볼게요..!
    수능때 기하 1컷 84인 가능세계 시험지는 어떤 수준으로 나와야하는지..?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공통이 어렵게 나와야 합니다

  • ultraleo · 849815 · 4시간 전 · MS 2018

    아니면 뭐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십이면체의 부피를 구하시오 이런거 27번에 박아두거나

  • 07평범현역 · 1394057 · 3시간 전 · MS 2025

    하루에 수학은 몇 시간 하는 게 좋을까요 그리고 수1 수2를 하루에 같이 하는 게 나을까요?

  • ultraleo · 849815 · 3시간 전 · MS 2018

    1. 본인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이 많이 쳐지면 수학 비중이 제일 높아야 하고, 다른 과목도 상태가 안 좋다면 적당히 나눠야겠죠

    2. 1과 연결지으면 시간이 충분하다면 다 하고, 아니면 따로 하세요

  • 박채영 · 1319574 · 3시간 전 · MS 2024

    개념이 부족한 부분이 생기면 누구 들으시나요?

  • ultraleo · 849815 · 3시간 전 · MS 2018

    저는 17때 양승진을 메인으로 듣고 장영진 깔짝 들었습니다

    근데 요새는 양승진 강의가 옛날이랑 좀 바뀌었다는 말을 어디서 들은 거 같기도 하고

  • 박채영 · 1319574 · 3시간 전 · MS 2024

    처음부터 수학을 잘하셨나요?

  • ultraleo · 849815 · 3시간 전 · MS 2018

    되게 못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는데 16때 한번 무너지니 수습하기 어렵더라고요

  • JJONAKLOVE♡♡♡ · 968227 · 3시간 전 · MS 2020

    오답노트나 발상노트 이런거 만들으셨나요
    사람마다 의견이 정말 다르던데

  • ultraleo · 849815 · 3시간 전 · MS 2018

    전 안 만들었습니다만 본인에게 맞는 방법은 다 있는 거 같습니다

    쓰면서 잘 외워지고 체화도 시킬 수 있겠다 싶으면 만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아망추 · 1387684 · 3시간 전 · MS 2025

    96점의 벽을 못 넘겠어요

    모의고사 이런저런거 사두고 공부하고 있는데 약간 쉽게 느껴지는건 팔고 차라리 서바이벌로 넘어갈까요?

  • 아망추 · 1387684 · 3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아님 그냥 모의고사 주 3회만 풀고(강k+범모) N제를 더 풀까요? 하루에 수학 7시간 정도 하고 있어요

  • ultraleo · 849815 · 3시간 전 · MS 2018

    아쉽게도 30번만 노리는 N제가 시중에 없지 않나요?

    그럼 결국 30번급은 모의를 까야 나올텐데, 쉽게 느껴지면 15 22 28 30만 먹고 버리고 어려운 거 많이푸세요

  • 아망추 · 1387684 · 3시간 전 · MS 2025

    넵 감사합니다!!

  • 1.0 강해린 08 · 1282655 · 3시간 전 · MS 2023

    멋있으시네요 캬

  • ultraleo · 849815 · 3시간 전 · MS 2018

    과찬이십니다...

  • Yonsei milk · 1315877 · 3시간 전 · MS 2024

    현재 확통은 다 맞고 공통은 2~3개 틀리는 상황입니다
    92에서 96까지 노리고 싶은데 머리 깨져가면서 N제 푸는 게 맞겠죠.?

  • ultraleo · 849815 · 3시간 전 · MS 2018

    공통 2-3개 틀리는거면 15 22말고도 날리는 게 있다는건데 그거부터 확실하게 잡는 걸 목표로 하세요

  • Yonsei milk · 1315877 · 2시간 전 · MS 2024

    답변 감사합니다 :)

  • 재수우퍼 · 1277814 · 2시간 전 · MS 2023 (수정됨)

    기출 공부 어떻게 하셨나요? 구체적으로는 복습할때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제가 확통 낮3 정도인데 여기서 멈춰있는데 어떻게 공부를 하는게 맞을까요? 참고로 6모 기준 15,20,21,22 틀렸습니다!

  • ultraleo · 849815 · 1시간 전 · MS 2018

    1. 일단 푸는 자체에 집중해서 막 풀고, 나중에 찬찬히 뜯어보면서 풀이를 리파인할 것이 있는지 살펴봅니다

    2. 6모 기준 20 21까지 다 날리셨으면 기출 학습도 제대로 안 된 거 같은데 기출 복습하시면서 N제는 쉬운거로 병행하세요

  • 의무사령관 · 523038 · 2시간 전 · MS 2014

    벌써 8월이 됐는데도 수학이 많이 부족합니다.. 기하 선택자고 6평은 15 21 22 30 틀린 2등급이었습니다 아직도 낮은 2등급 수준인거 같은데 이래저래 커리 및 공부방향 등에 있어서 방황을 하다가 여태 기출 1회독 정도만 한 상태입니다 ㅠㅠ 이런 상황에서 실전개념으로 김범준 스타팅블록, 고난도기출 카나토미를 할지 아니면 다른 N제(4규 설맞이 등) 등을 다뤄볼지 고민이 됩니다

  • ultraleo · 849815 · 1시간 전 · MS 2018

    기출 1회독 몇 개년 하셨는지는 모르겠으나

    공통 유난히 쉬운 이번 6평에서도 21 날리고 들어갔으면 N제를 늘리기 보다는 기출 다시 풀면서 중점으로 둘 것은 왜 이 행동을 하느냐를 곱씹어보세요

    그냥 이렇게 하니까 뭔가 되더라가 아니라 이 텍스트는 이런 의미이기에 수학적으로 이런 표현으로 바꿀 수 있다에 집중해서 문제를 다시 풀어보세요

  • 의무사령관 · 523038 · 26분 전 · MS 2014

    상세한 조언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9평 전까지는 기출학습부터 제대로 하겠습니다.

  • 콜마 · 1400823 · 1시간 전 · MS 2025

    센세이 기출 돌리고 있는데 n제는 한두권만하고 기출에 올인하려고 하거든요 지금 뭔가 개념 두루뭉실한거는 쎈도 하고 있는데 이 관점은 어떠신가요? 그리고 이맘때는 뭐하셨는지도 알려주세요 기출 공부하셨을때 어떤식으로 접근하시는지요ㅠㅜ 스스로 발상 생각은 얼마나 가지고 있어야하나요? 또 몇년도치를 돌려야할까요? 10년 평가원부터 하고있는데

  • ultraleo · 849815 · 57분 전 · MS 2018

    일단 고정 1 아닌 이상 수쎈딱은 언제든 옳다고 봅니다
    제 글 보셨겠지만 쎈은 뇌 빼고 벅벅 풀어도 계산력은 기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고정 1 아래는 무조건 거쳐가야 하는데, 그게 제대로 안 됐다면 하는게 맞습니다

    저는 이맘때 실모 조지고 N제 조지고 논술 준비하고 그랬네요...

    기출은 표현을 익히는데 주력했습니다
    이 표현이 왜 수학적으로 이렇게 환원될 수 있는가를 궁리했죠

    발상이야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좋은데 이 발상이 쓸모 있는지 없는지를 기출을 통해서 확인해보는겁니다

    예를 들어 22 수능 14번 같은 문제는 x(t) 미분해서 v(t) 구한 다음 abs(v) 적분식=2가 되도록 a b 조건 구하고 ㄴ ㄷ을 풀어볼까? 라는 발상을 할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 기출을 풀어보면 별로 의미 없는 발상이란 걸 알 수 있죠
    그런데 반대로 23년 9월 14번 같은 경우는 실제로 계산을 통해서 값의 범위를 확정하는 발상이 옳은 발상인거죠

    이렇게 기출을 통해서 이 발상이 적용 가능한지 아닌지 생각해보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몇 개년 돌린다에 정해진 건 없고 10년부터 돌리시면 충분하긴 합니다

  • 의대 ㄱ · 1334006 · 1시간 전 · MS 2024

    고1이고 작년에 수능공통 22빼곤 다 풀정도로
    수1,2 완성이 됐었습니다 허나 올해초부터 수12를 하나도 복습을 안했는데 2-1에 두 과목이 모두 내신 과목입니다 자사고라 이외에도 2학년 때 과학 과목이 많이 깔리는데, 수12를 겨울 방학에 과학과 병행할지 아니면 남은 여름 방학에 수12 복습을 좀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 ultraleo · 849815 · 55분 전 · MS 2018

    올 여름방학에 원래 뭐 하실 생각이셨나요

  • 의대 ㄱ · 1334006 · 13분 전 · MS 2024

    수학 하도 쉬고 있어서 수학 하 실력 다시 끌어올리기와 수학 외적으론 국영 실력 올리기를 하고 있었습니다

  • ultraleo · 849815 · 11분 전 · MS 2018 (수정됨)

    사실 내신은 어느 한 과목이라도 빠지는 게 가장 치명적인지라 밸런스를 중시하시길 바랍니다

    수학 100점 받고 과탐 하나 3 찍히는 것 보다 둘 다 1컷으로 방어하는게 더 좋으니

  • 전략적빤쓰런 · 1394667 · 44분 전 · MS 2025

    공통은 241122급 문제가 아닌 이상 웬만하면 다 풀어내는데, 미적은 이번 6평 28이나 30급만 되어도 반반이거나 틀리는 비율이 높습니다. 미적 기출을 패스파인더로 다시 잡고 있습니다. 수1/수2는 정형화된 틀 내의 조건 해석을 요구하는 문제가 나오는 비율이 높아서 익숙한데, 미적분을 공부할 때는 "이걸 계산해도 뭐가 안 될거 같은데?" 라던지 "이게 어디에 쓰라고 준 조건이지?" 싶은 느낌을 받습니다.

  • ultraleo · 849815 · 42분 전 · MS 2018

    해답은 2가지인데

    본인이 시간이 충분할 때 그러한 문제들을 다 털어낸다? -> 공통을 40분 안에 끊을 수 있도록 공통 빠르고 정확히 터는 연습 위주로

    시간이 충분해도 날린다? -> 실모 15 22 28 30 열심히 풀기

  • Apex predator · 1378471 · 9분 전 · MS 2025

    선생님 제가 평가원 교육청은 88점에서 92점 정도 됩니다 미적분을 못한다고 생각해서 미적 기출을 돌리는 중인데 년도나 출제기관을 거르니 않고 다 풀어봐야 할까요?? 그리고 다들 그렇게 n제에 집착하던데 저는 지금 기출과 단과 숙제 2개를 하느라 추가적인 n제를 학습할 시간이 없는데 9모쯤부터 n제를 풀고 수1,2,미적 각 과목당 3권 정도만 풀어도 충분할까요?

  • ultraleo · 849815 · 7분 전 · MS 2018

    1. 평가원 위주 교육청 사관도 ㄱㅊ

    2. 단과 숙제가 곧 n제 아닌가요?

  • Apex predator · 1378471 · 4분 전 · MS 2025

    그렇네요 요즘 많이 느낍니다 깊고 정확하게 공부할수록 욕심을 버리고 내려놓고 덜어 놓아야한다고 생각이 드네요....혹시 실모 점수가 80점에 92점까지 엄청 오락가락하는데 이건 제가 아직 많이 부족해서 이겠죠?

  • ultraleo · 849815 · 3분 전 · MS 2018

    점수 안정화가 안됐다는건 아마도 유형별로 실력차가 뚜렷해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본인이 생각하시기에 빈 유형이 있다면 그걸 채우는 방향으로 학습하시는 것이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