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생윤 퀴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22024
1. 칸트는 도덕법칙을 경험적 세계에서 가져와야 한다고 생각한다.
2. 루소는 국가를 개인의 합으로 보았다.
0 XDK (+10)
-
10
-
ㅂㅂ
-
틀린 문제 스캔따서 갤노트에 넣어놓고 오답정리하는 용도로 쓰고있음
-
이직로그가 3
너무 순식간에 끝나버렸어..
-
미적분 시간 1
미적분 개념 끝내는 시간 보통 얼마나 걸림? 기출까지도 포함하면 얼마나 걸리지...
-
과거랑 현재 의미비교하는 문제가 주관식으로 나온 적 있었는데 과거는 신체라고 쓰는데...
-
매일이 오늘같으면 좋겟더
-
연인무리
-
아까 세운 계획 중 7번은 결국 실패란 말인가
-
토키빵에서 토키떴다 12
캬캬
-
언제 자냐 1
ㄹㅇ
-
슬슬 가을인가 3
막 안 덥네
-
그냥 남은 기간 기출, ebs 복습 좀 하고 실모 벅벅이나 해야겠다. 실모 많이...
-
자꾸 뭔 유효하지 않은 계정이래
-
화작 86 미적 84 영어 90 사문 45 정법 47 정법 ㄹㅇ 1컷이 47인건...
-
정법 질문 11
보기 ㄴ이 궁금한게, 자료에서 ㄱ이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을 하고 재판부에서...
xo?
땡
xx??
정답!
x 선험적
o 개인들의 단일한 결합체
맞나여!!
단순히 개인들의 합이라 보진 않았습니다. 오히려 국가는 하나의 인격체라 보았습니다.
칸트도 그 말하지 않았나
맞긴한데 조금 의미가 다름. 칸트가 말하는건 법적 인격체임. 개개인을 뛰어 넘은 어떤 인격체다.라는건 아니고 법인? 같은 개념임. 루소는 국가가 일반의지의 표현이라고 보았는데 일반의지는 개인들의 의지의 합인 전체의지와는 다름. 공동선만을 추구함. 암튼 칸트도 국가를 조건부 인격체라고 보긴 했는데 루소랑은 좀 다른 개념임
아 난 칸트가 국가들를 하나로 통합 할 수 없는 이유가 각 국가가 하나의 인격체처럼 여겨져서 그런걸로 알고 있엇음
맞음 그런 의미에서 도덕적 인격체임. 쉽게 말하면 칸트는 형식적인 인격체이고 루소는 완전한 하나의 인격체라고 봄. 형식적 인격체라는건 책임, 법적인 행위 같은걸 할 수 있는 주체 라는 뜻임. 영구 평화를 위하여 원문에서는 국가를 인격체로 표현하는게 많은데 다만 그게 국가에게 자율성을 부여한다던가 하나의 인간 비스무리하게 본다던가 하는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