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이 독서 지문 출처 아는 국어 고수 있으려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108427
전능한 기만자 가설이 나오고 회의주의자들 이야기,
드레츠키 주장이 나오면서 '갑은 을을 존중한다'가 명제a 면 어쩌고 하면서 나오는데
혹시 이렇게만 듣고도 출처 아는 사람 있을까?
수능 특강이나 수능 완성일 것 같은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맞팔해요 0
-
그와중에 이 말을 하려고 폰으로 오르비를 들어왔네 이런
-
수분감 스탭0이랑 고쟁이 2까지 다풀었습니다
-
2회 94 3회 90걸쳤는데 각각 등급컷 아시는 분 있음??
-
솔직히 발상적이다 뭐다 다 필요 없고 내가 사는 수학 실모 기준 1
1. 1컷 84~80점 정도 난이도 2. 약점체크 효과가 명확해야(모든 문제는...
-
안녕하세요. 티스토리에 영어 자료들을 짤막하게 올리는 평범한 1人입니다. 고1...
-
요즘 잘 안들어와서 몰랏음 ㅠㅠㅠ 당장 풀어야지
-
89 89 3 94 94 설의 가능하냐?
-
3과목 10시간 내외로 하루컷 ㄱㄴ?
-
한완기 버릴까 7
틴트묻어서 보기 너무 불편함 걍 한쪽면이 아예빨개
-
시는분들 성적좀 주셈 ㅜㅜ
-
하
-
계정 뒤지고 안 함 ㅋㅋ 아구몬이 아니라 이제 쉬라몬이라...
-
준비 어느정도 많이 했는데 여기서 버리려니 아깝고 수능시간 빼기도 그러고......
-
숫자조절 시발
-
필요하면 ㅗ 할 수도 있어야 된다고 봄 너무 착하게 행동하려고 하면 사람들이 우습게 봄
-
도와주십시오... 아예 없애고 싶슴다
-
어젠 아침 9시부터 밤12시까지 미국 고등학교 다니는 친구 배웅하려고 홍대가서...
-
단순히 어려워서 그런거임? 할지말지 고민중인데
-
걸어리
-
시발점도 미리 교육과정 바뀌기 훨씬이전부터 개정판찍고 벌써 개정수분감까지...
-
공룡책에 바다공룡 나오거등요? 흥.
-
경험적으로 그치아늠?
-
나 사실 6
술 ㅈㄹ마심 헉
-
그냥 내가 잘 만드는걸수도 있자나
-
에휴...
-
251130 15
겉보기엔 가형스럽고, 실제 난이도도 킬러급인 문제 (가)조건으로부터 sin...
-
일단 쉬운문제 다 풀고 피방가서 강의듣기러
-
잘자 0
오야스미~
-
투과목 가산에 대하여 15
투과목 (물2 화2 생2 지2)를 하면 매우 좋은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해 서술해봄...
-
진짜 인간 진학사셨는데
-
흠..제가 다니는 학교는 지방 일반 사립고인데요 요즘 원서 쓰는 시기에 학교에서...
-
ㄴ 해설에서 의문이 드는 게 1. 싱어) 쾌고감수능력 = 필요조건 -->...
-
내 이름은 아리에띠. 17
줄여서 초절정 미소녀
-
왜냐고? 모든 사람과 연애해야지 암 뻐킹 알파메일 우하하
-
군생활 꿀팁 0
관물대에 컵라면 쟁여두기(본인은 최소 4개이상) 밥먹기 귀찮을때 결식하고 하나씩...
-
애초에 국어 어휘를 규칙화 시키려던 시도도 실패했는데 0
왜 문학에서 변별력을 주는거지? 어휘보다 훨씬 논란이 큰? 비문학에서 변별해야
-
1. 칸트는 도덕법칙을 경험적 세계에서 가져와야 한다고 생각한다.2. 루소는 국가를...
-
목표로 잡아본 올수 희망사항임 언 미 화2 생2 96 92 1 90 95
-
특이어가 보이기도 하고 방언이 보이기도 하고 재구나 어원 설명할 때 도움이 됨 이건...
-
논리실증주의자는 예측이 맞을 경우에, 포퍼는 예측이 틀리지 않는 한, 5
논리싫증주의자는 관심이 없다
-
계속 틀리는건 어떻게 보완할 수 있나요 ㅠㅠ 지문 이해가 힘들 때가 많은데 결국엔...
-
밥 먹기 귀찮다 9
ㄹㅇ..
-
단어 하나로 전문가끼리 이렇게 갈리는게 말이 안됨 걍 리트 김소월 지문처럼 내고 문학 삭제좀
-
다 무너뜨려
-
님들아 9
내가 항상 사랑한데이
-
올해 지구런했는데 점수 편차가 너무 커요 서바이벌 1회 48->2회 37->3회...
-
언제까지 어깨춤ㅇㄷㄹ 추게 할 거야
-
그 강게이3회도 1컷 68이라 논란이던데 풀어보면 알테지만 그거 솔직히 1컷 친구도...
? 정리하면
• “갑은 을을 존중한다”와 같은 명제를 중심으로 P→Q의 증거 관계를 다룬 지문은 수능/수특/수완 지문에는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하지만, 회의론과 인식론 전반에 대한 철학 지문은 분명 출제된 바 있습니다.
• 위 사례들과 함께 보면, 질문자님이 착각하신 표현은 어떤 철학 요약 문장이나 논술 자료에서 본 것일 수 있겠어요.
혹시 지문의 흐름, 문체, 특정 철학자의 이름(예: 퍼트넘, 버클리, 로티 등) 등이 떠오르면 말씀해 주세요! 더 비슷한 실제 지문 사례를 한번 더 찾아 볼 수도 있어요 ?
리트미트피트/평가원에는 없는것같고 사설이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