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이 왔어요 (ft. 여덟)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093421
8월 시발 왜 벌써...
참고로 '8'의 고유어 '여덟'은 중세국어에선 '여듧'으로도 쓰였지만 '여ᄃᆞᆲ'으로도 쓰였습니다. 중세국어가 모음조화가 매우 엄격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 둘의 관계는 퍽 특이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특히 ㆍ와 ㅡ가 양음 대응을 이뤘고 이러한 대응이 보이는 단어는 다수 발견되므로(ᄇᆞᆰ다~븕다, ᄂᆞᆰ다~늙다, ᄑᆞᄅᆞ다~프르다), 이 역시 그러한 관계가 있을지도 모르죠. 더 중요한 것은 바로 방언 분포입니다. '야'로 시작하는 방언이 다수 보입니다. 'ㅕ>ㅑ'가 가능한 변화일까요? 사실 제일 중요한 건 제주방언이었습니다. 제주 방언에선 아래아(ㆍ)가 음소로 존재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인데 사실 아래아(ㆍ) 말고도 쌍아래아(ᆝ /ᆢ)가 존재합니다. 쌍아래아는 j계 상향 이중 모음으로 ㅣ 뒤에 아래아를 이어 말하는 발음이었습니다.
제주 방언에서 바로 'ᄋᆢ답'이 존재한다는 게 밝혀지면서 아 음소 ᆝ /ᆢ가 꽤 오래 전부터 존재하였는데 중세 국어 시기에는 이미 다른 음운으로 분화되었구나!라는 발상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여덟'은 기원적으로 '*ᄋᆢᄃᆞᆲ~여듧'의 양성 음성 대응쌍을 지녔던 거라 말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중세국어 이전에 원래 음소 ᆝ/ᆢ가 있었는데 중세국어로 들어오며 중앙어(서울)에선 'ㅕ'로 합류되고(왜냐면 이 당시 아래아는 ㅓ에 가까운 발음이었기 때문) 일부 방언에는 남아 있었고, 그러다 아래아의 음가가 ㅏ로 바뀌는 시기에 ᆝ/ᆢ가 살아있던 방언에선 'ㅑ'로 변했다 라는 결론이 나오게 된 거죠. 방언에서 '야듧'형이 보이는 이유가 설명이 됐습니다.
방언이 국어사에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죠.
관련 글
염소 --> 얌생이의 어원 https://orbi.kr/00069616330/
육진 방언의 국어사적 의의 https://orbi.kr/00072740989/
(마지막 문단 참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격추. 2
실시.
-
보통 연구자들은 자기 논문 가지고 나중에 엮어서 책 쓰는데 논문은 어지간해선 공짜로...
-
오늘은 안되겠다 2
내일 오전 사설국어쳐야되....
-
딸피아님
-
확통 고수 분들께 질문 10
지금 걍 확통 문제 ㅈ대로 푸는데 일관된 풀이 설정하려면 뭘해야됨? 보통 1틀 아님...
-
사진넣고싶은데
-
지금 기시감 한번 돌렸는데 한번 더 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임정환 올림픽 커리 들어갈까요
-
흠이군
-
아오 팜평 2
으으
-
몬가 할만 하다고 느껴지는 거면 착각뇨겠죠 생명같은 거보다 슥삭슥삭 훨씬 잘 풀리는...
-
국어성적 상승하고 싶으면 비문학이 아니라 문학부터 파야함 6
그냥 한번 빡세게 잡아서 20분컷 만들어놓으면 시험장운영이 이것보다 쉬울 수가 없음...
-
커뮤 눈팅충인데 이제 가끔 똥싸러 오는건데 맨날 싸우고계심 머하는지몰라서...
-
이 없는이유???
-
나 개뉴비임
-
고닉은 진짜 되면 안됨,,
-
ㄹ
-
여론조사 1
-
단무지 ‘단무지’는 원래 ‘다꾸앙’, ‘다꽝’으로 불렸는데 이는 일본어...
-
1.이전에 선생에게 찝적댄다 2.시험직전 3일전에 선생의 폰을 뺐는다 3.잠금을...
-
걍 개념 교재엔 RNA 적어주고 스킬 같은 거 설명할 땐 모든 걸 DNA로 놓고 설명좀 해주지
오늘은 논리 싫증 주의자 안함?
했어요
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