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이 왔어요 (ft. 여덟)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4093421
8월 시발 왜 벌써...
참고로 '8'의 고유어 '여덟'은 중세국어에선 '여듧'으로도 쓰였지만 '여ᄃᆞᆲ'으로도 쓰였습니다. 중세국어가 모음조화가 매우 엄격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 둘의 관계는 퍽 특이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특히 ㆍ와 ㅡ가 양음 대응을 이뤘고 이러한 대응이 보이는 단어는 다수 발견되므로(ᄇᆞᆰ다~븕다, ᄂᆞᆰ다~늙다, ᄑᆞᄅᆞ다~프르다), 이 역시 그러한 관계가 있을지도 모르죠. 더 중요한 것은 바로 방언 분포입니다. '야'로 시작하는 방언이 다수 보입니다. 'ㅕ>ㅑ'가 가능한 변화일까요? 사실 제일 중요한 건 제주방언이었습니다. 제주 방언에선 아래아(ㆍ)가 음소로 존재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인데 사실 아래아(ㆍ) 말고도 쌍아래아(ᆝ /ᆢ)가 존재합니다. 쌍아래아는 j계 상향 이중 모음으로 ㅣ 뒤에 아래아를 이어 말하는 발음이었습니다.
제주 방언에서 바로 'ᄋᆢ답'이 존재한다는 게 밝혀지면서 아 음소 ᆝ /ᆢ가 꽤 오래 전부터 존재하였는데 중세 국어 시기에는 이미 다른 음운으로 분화되었구나!라는 발상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여덟'은 기원적으로 '*ᄋᆢᄃᆞᆲ~여듧'의 양성 음성 대응쌍을 지녔던 거라 말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중세국어 이전에 원래 음소 ᆝ/ᆢ가 있었는데 중세국어로 들어오며 중앙어(서울)에선 'ㅕ'로 합류되고(왜냐면 이 당시 아래아는 ㅓ에 가까운 발음이었기 때문) 일부 방언에는 남아 있었고, 그러다 아래아의 음가가 ㅏ로 바뀌는 시기에 ᆝ/ᆢ가 살아있던 방언에선 'ㅑ'로 변했다 라는 결론이 나오게 된 거죠. 방언에서 '야듧'형이 보이는 이유가 설명이 됐습니다.
방언이 국어사에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죠.
관련 글
염소 --> 얌생이의 어원 https://orbi.kr/00069616330/
육진 방언의 국어사적 의의 https://orbi.kr/00072740989/
(마지막 문단 참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저옯창인가요 2
녜
-
개조은데
-
슈냥 정벽?
-
동욱쌤 아들분은 나랑 동갑임..
-
뭐만하면 다 정치태그를쳐다너
-
고13모 11111(전체 3틀) 고19모 11441 고23모 11422 고26모 21311
-
얘기괜히꺼냄 하
-
약대 순위는 4
어떻게 되나요 전혀 모름
-
go round the outside round the outside round...
-
오늘 내 상태 7
-
마플 이런거 두께 보니까 사람이 하는게 아니네 이동훈이나 살까.........
-
. 6
-
아니 문제 일부가 쎈 고난도보다 어려운거같은데
-
난 너를 사랑해 6
왜?
-
건동홍 가능? 5
국어 2 수학4 영3 사탐 4 4 인데 확통이고 수학만 하느라 사탐을 못함 재수...
-
미적 2개에서 4개 사이로 틀리는데 지금 확통런하는게 괜찮을까요?
-
할 데가 없네 할 수 있는 법 아시는 분 있나여
-
방금 꺼진 불의 사명, 처음부터 끝없이 사라지는 것이었다
-
오면 맛있는거 사드릴게
-
면에 소스 반 올려 먹고 나머지 반 밥 비비기
오늘은 논리 싫증 주의자 안함?
했어요
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