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진정한 수학 개념 학습의 의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993208
개념을 공부한다는 것은 '개념을 안다' 와 '개념을 모른다' 의 흑백논리가 아니라, 그 개념에 대한 이해도와 관점을 넓혀 가는 과정입니다.
251128을 통해 제가 생각하는 수학 개념 학습+기출분석에 대해 더 자세히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ebs 기준 오답률 72.5퍼센트, 정답률 27.5퍼센트면 당시 수능을 본 수험생 입장에서 꽤 까다로운 문제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무리없이 했을 것입니다.
g'(1)도 단순 계산으로 나옵니다. 문제는 g(1)을 구할 때 f(1)과 0부터 1까지 f의 정적분을 어떻게 계산해야 하는지인데, 아마 못 푼 학생들의 대부분은 여기서 막히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1×f(x)로 바라보면 f(x)를 부분적분을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사고할 수 있는 가장 큰 근거는 교과서입니다.
lnx의 부정적분을 구할 때 1×lnx로 바라보고 부분적분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 교과서 내용 저정도로 기억 못하는데요 하실 수 있습니다.
저도 이 예제는 올해 수능 다시 준비하면서 찾은거고, 25수능을 현장에서 응시하며 28번을 풀었던 저는 교과서에서 저걸 본 기억이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f(x)를 1×f(x)로 바라보고 부분적분을 해서 저 문제를 맞힐 수 있었을까요?
전 제가 개념을 바라보는 태도 덕분에 저 문제를 맞힐 수 있었다 생각합니다.
부분적분이라는 개념에 대한 학습은 단순히 부분적분의 연산 방법을 아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분이 사용되는 상황과 그 이유에 대해 학습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저에게 있어 부분적분의 이해 중 하나는,
"어떤 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하는 것이 어렵더라도, 즉 곱의 미분을 제외한 미분의 역과정으로 부정적분을 알아내는 것이 힘든 상황에서, 《부정적분을 알고 있는 다른 함수와의 곱》으로 함수가 주어져 있다면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는 사실" 입니다.
부정적분의 연산 과정에 의미를 부여했을 뿐인데, 부분적분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 더 체계화됩니다.
이러한 이해는 기출문제 등을 풀며 "어 이거 적분 어떻게 하지?" 의 상황에 마주했을 때 다음 해야 될 생각을 자연스럽게 제공합니다.
"부정적분을 알고 있는 다른 함수가 곱해진 형태로 볼 수 없나?" 라는 생각입니다.
저는 이 생각을 통해 f(x)를 1×f(x)로 보는 생각을 해냈습니다. 단순 운일 가능성이 없지는 않지만, 제가 평소에 하던 "어 이거 적분 어떻게 하지" -> "부정적분을 알고 있는 다른 함수가 곱해진 형태로 볼 수 없나?" 의 사고의 흐름이 시험장에서도 일관되게 발현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식의 학습을 이어나가다 보면 "너무 발상적인데" 라는 생각은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 우리가 보는 문제들은 교육과정 내에서 깊게 고민해본 사람들이라면 충분히 생각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도록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제 생각은 틀렸을 가능성이 있고, 공부에는 무한한 방향성이 있기에 제 생각에 동의하지 않으실수도 있습니다. 댓글로 비판 부탁드립니다. 배워가겠습니다!
하지만 수학을 독학으로 공부해 100점 근처의 점수를 맞게 된 수험생으로서 수학 학습 방향에 대해 깊게 고민을 해봤으니 제 말에 도움을 받는 분도 분명히 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수학 학습에 대해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잘자요! 4
오늘도 수고 많았어요!
-
6평92(30 22틀) 9평96 ( 28틀)인데 미적 허들링 ㄱㅊ을까요 6평...
-
쉽지 않더라구요..
-
9모때 미적 2등급 떴는데 그동안은 n제 안풀었고 스블만 들어가지고 이제 빡세게...
-
노래추천 11
요루시카 - 폭탄마 (재녹음) 엘마 구름과 유령 요네즈 켄시 - 신데렐라 그레이 비...
-
이건 아니지 걍 하나에 12000으로 조금만 더 비싸게 팔던가 이게 뭐임ㅠㅠ
-
일단 파스타 아님 김치찜 생각중
-
근대 얼굴도 한번도 안본사람을 좋아할수이쓴ㅇ거임? 11
버튜버같은건갸
-
옛날 수능엔 신기한 게 많네 - 영어편 (feat. 니거는 더럽다.) 7
94수능 - 1차 - 거진 문학 시험 94수능 - 2차 - 글의 유형 찾기 95수능...
-
victual 발음은 '비틀' ㅋㅋㅋㅋ
-
무한 실모인가... 하..
-
수능때 저 제재들 중 하나 나올 거라고 예측하시던데 갑자기 생명 나올 순 없는 건기요???
-
Auf der Heide blüht ein kleines blumelein 1
Und das heißt Erika
-
번따 못해보고 맘 접음 근데 나중에 안 사실인데 우리 학원에 걔 좋아하는 남자애맘...
-
현타오네잉 4
나도 좀 과몰입 한 감이 없잖아 있네. 당장 할 공부가 산더미인디... 에휴
-
주변이나 오르비에 08들은 다 작년보다 점수대가 다 오르는 것 같은데 내 점수는...
-
도선생 약력 현직 영어 강사(고1,2 내신 수능) 한국외대 영어교육/영어학...
-
벌써 대학가서 과외할생각하고 있네ㅋㅋ
-
실모 성적 7
상상 언매 91점 1등급 수학 서바 10회 92점 1등급 영어 2409 79점...
-
그런거 없죠? 03인데 아주 홍익 시립 숭실 경희 과기 씀여 03까지는 샹기부 온라인으로 가죠?
-
화1 물1 비킬러 잔실수 좀 있는 편이에요 실수 없으면 사설 실모 기준 2~3개정도...
-
얼탱
-
히히.. 7
히히… 빨간 머리 고트 불꽃수학
-
아수라 배송 6
혹시 아직도 나만 배송 안 옴? 대구 살아요; 금요일에 시키긴 했는데 이건 좀 진짜..
-
사랑한다 10
연새
-
ㅇㄱㅈㅉㅇㅇ?
-
SK하이닉스 반도체 계약학과, 에리카에 있는 약대, 심지어 분캠인 에리카까지 죄다...
-
칼럼)이륙하는법 0
.
-
실전모의고사 28 30 하나도 못 풀겠으..
-
션티 좌석신청 0
9월전에 대기넣어서 9월3일에 입금 문자오고 9월 5일전까지 입금까지했는데 왜...
-
수학 2개만 더 맞으면 성불할 수 있는데 ... 통통이에요
-
가끔 모의고사 치면 유독 뇌가안돌아가는느낌+ 계산복잡해보이면 풀기전부터 뇌가지치는...
-
큐블라로 볼까요 마더텅으로 볼까요??
-
수학 실모풀때 2
말리는 문제 생기면 끝도 없이 그 문제에 빠짐... 큰일이네...
-
ㅇㅅㅇ?
-
어떠한 고등학교 미적분 시험의 20번 문제 ㄷㄷ
-
김연경은 있는데 3
왜 김고경은 없냐 ㅋㅋ ^~^
-
여자가 된다 끗
-
이미 반에서 제일 열심히하는 애로 이미지가 만들어져서 먼저 스카 나오기 애매해짐 ㅋㅋ..
-
언매는 한국인의 감으로 문법은 어렵지 않다
-
지금 개념은 4바퀴돌렸는데 대충한것같아요 지금까지 푼책: 파운데이션 수1,2 상하...
-
일 어디서구함? 2
편의점도 가까운곳이 없음 알바 편의점말고는 할거없냐?
-
아직 2206밖에안하긴했는데 평가원은 문학이든 비문학이든 모든문제 답 근거가...
-
누런 팔절지에 20문제 담아놓는다고 그게 실모가 아니라고시발 실전 모의고사로 실전...
-
현시점 커리 0
유대종 풀커리(인셉션부터) Vs 피램 생각의 전개로 독학 노베입니당
-
정신병도 안 오고 훨씬 덜 열심히 살아도 인생은 훨씬 즐겁지 않았을까 억울하고 불공평하다
-
프사 ㅇㄸ 8
-
갑자기 18
공부도 손에 안잡히고 일본 갈려그랬는데 계획짜는 것도 귀찮고 그냥 메타몽이...
-
잔다 4
르크라고 할 줄 알앗지
칼럼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