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racompact · 1069866 · 07/26 04:11 · MS 2021

    259?
    이거 노가다 없이 풀리나요

  • 물2화2여행자 · 1383883 · 07/30 11:48 · MS 2025

    노가다로 풀리는 문제입니다만
    노가다의 방식을 잘 결정하면 크게 무리는 없습니다
    저는 답이 610이 나왔습니다

    아니면 f(5)만 구해보셔요

  • paracompact · 1069866 · 07/30 13:49 · MS 2021

    f(a)=a인 a나 f(a)=b, f(b)=c, f(c)=a인 a, b, c가 없는 함수 f 구하는 거 맞나요?

  • paracompact · 1069866 · 07/30 13:53 · MS 2021 (수정됨)

    아 생각해보니 여집합으로 구하고 마지막에 안뺐네요
    근데 그래도 614인데

  • 물2화2여행자 · 1383883 · 07/30 14:11 · MS 2025

    저도 제가 맞는진 몰라서요
    저랑 다른거 있으면 알려주세요

  • paracompact · 1069866 · 07/30 14:15 · MS 2021

    h(3)=6 아닌가요?
    f(1)=1 f(2)=3 f(3)=2 형태면 f(f(f(1)))=1
    f(1)=2 f(2)=3 f(3)=1 형태면 f(f(f(x)))=x가 항상 성립이니까

  • 물2화2여행자 · 1383883 · 07/30 14:26 · MS 2025

    그렇네요 제문제를 제가 틀렸네요

  • 물2화2여행자 · 1383883 · 07/30 14:43 · MS 2025

    닫힌구간에서의 일대일 대응 함수는 자기 자신을 계속해서 합성할때 모든 원소에 대해서 주기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생각하고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함수를 n개의 루프로 나타냈고
    h(6)을 구할때는 경우의 수가
    6
    5+1
    4+2
    4+1+1
    3+3
    3+2+1
    3+1+1+1
    2+2+2
    2+2+1+1
    2+1+1+1+1
    1+1+1+1+1+1
    이렇게 되는데 여기서 1과 3은 3의 약수이므로 세번 합성하면 자기 자신이 나옵니다
    3과 1이 들어가지 않은 경우의 수를 분할로 구하고 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