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뻘글) 오늘 법학적성시험(LEET) 날이라 한 마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98041
옯붕이들한테 뭐 하나 묻자.
요새 수능 국어 비문학이 '리트화(LEET化)'되어 가고 있다고 말하는 옯붕이들이 있던데, 그 '리트화'라는 게 어떤 거냐? 그저 내가 읽기 어렵고 내가 풀어서 틀렸으면 '리트화'된 지문·문제인가?
국어 강사인 내가 한 번 말해볼게.
내가 수험생이던 수능 언어영역(80~90분 / 50~60문항 / 문제당 1~3점) 시절과 비교했을 때, 요즘 수능 국어영역(80분 / 45문항 / 문제당 2~3점)에서는 '거저 주는 문제'가 전부 없어졌다. 지문과 문제를 한 번 읽고 내용을 숙지했을 때 글의 논지 혹은 사실 일치 여부를 묻는 문제들로, 보통 지문이 주어지고 가장 먼저 등판하며 언어영역 시절에는 1점짜리로 자주 출제됐지.
이 '거저 주는 문제'들 대신 17 수능부터 많이 나오는 유형이 바로 '숨은 전제 찾기', 지문과 <보기>에서 전제 하나랑 결론만 던져주고 "나머지 숨은 전제 하나를 5개 선택지 중에 찾아라."하는 유형. 나는 이게 LEET 언어이해·MDEET 언어추론·PSAT(입시 1차 포함) 언어논리에서 가장 많이 나온 문제 유형이라고 본다. LEET 언어이해에서는 1지문 3문항 세트를 풀면 최소 1문항은 이 유형이 나올 정도이고, PSAT 언어논리에서는 대놓고 "다음 중 전제가 나머지와 다른 한 주장은?" 식으로 물어볼 정도지. 이렇게 도출된 '숨은 전제'를 '사례 적용'할 수 있도록 융합형으로 출제하면 어떤 언어 시험에서건 최고난도 문항이 나온다. LEET 언어이해·PSAT 언어논리는 그저 텍스트가 길고 시간이 빠듯하게 주어진다고만 해서 수능보다 어려운 게 아니야. 실제로 지문과 문제를 독해하면서 해설을 직접 써보거나 구조를 그려본다면 바로 체감할 수 있을 거야.
이렇게 수능 국어 비문학에서 단순하게 글의 논지를 직설적으로 묻거나 사실 일치 여부를 묻는 문제가 전부 없어지고, 대신 추론을 통해 숨은 전제를 찾는 문제가 빈출되는 경향이 소위 '리트화' 아닐까 생각한다. 마침 오늘 법학적성시험 날인데 최상위권이나 국어 자료 찾는 옯붕이들은 이따 오후에 문제·정답 공개되면 한 번 풀어보고 체감해보길.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뭔가 나의 은밀한 부분을 드러내는 거 같아서 좋을 거 같은데ㅋㅋ
-
제가테토레어를살수있게 힘을보태주셔서 감사합니다 따흐흑
-
ebs는 4
김상훈 듄탁해 >.<
-
그 사이트한테 직접 요청해서 지워 달라고 하기 >>> 얘도 시간 좀 걸림 로봇이...
-
존잘 존예한테 달면 몰매맞을거같고 진짜들한테 달면 상처받을거같음
-
최장시간 식사로 세우실거같은데..
-
그 생각해보니깐 글 쓰면 팔로워들한테 알림 가자나요. 잡담 태그 붙이긴 하는데 좀...
-
추천받아요
-
이거 고딩때임 20
-
지원아 여기서 머해 이런 거 올렸는데 그러다가 실명 맞춰서 쪽지뱓은 적 있어요
-
사진은 고유한 url이 이 있음 구글이나 검색엔진에서 로봇이 돌아다니다가 게시글을...
-
기만러들ㄹ 6
인증해조
-
관련증거 제시합니다. 고광수 선생님과 비핵화 저자님 관련 4
고광수 선생님께서 재종에서 초반부터 가르치시는 내용이고요... 제 책은 입시끝나서...
-
난 인증해도 0
특정당하지 않을 정도로만 하는데 1명한테는 신상 털렷어 ㅋㅋ
-
ㅇㅈ하면좋은점 0
평범하게만생겨도ㄱㅁ소리들을수있음 기분째짐
-
체스잘하고싶다 0
-
오르비 처음할땐 6
ㅌㅈㅇㄹ 적힌 댓글 보고 개쫄아서 후다닥 글 지웠는데
-
데헷
-
. 12
대충 이렇게 생김
-
오싹오싹 4
-
인증은하는거아님 2
ㅇㅇ
-
제빌 구라라고해줘 아니
-
제목: 매미 새끼 시커먼 도로 위 무더운 여름 속에 쩌렁쩌렁 번개를 울어대는...
-
나정도면 빌런이죠? 16
헤헷
-
아니 6
다 내가 실제로 아는 사람들이였네
-
요즘 점점 2
지문에 밑줄을 긋기 시작함..ㅠ 정답으로 나올게 보이는데 어떡함.. 그래도 안 치고...
-
벌써 시간이..
-
하 큰일났네 0
꿀잠자고 이제 일어났는데 내 생활패턴!
-
올만에 눈물이남 8
얼른 자야지..
-
맞팔하지 않을래…?
-
내가 느낀 모든 것들도~ 나만의 이야기가 될 거야
-
맞팔구 맞팔구 0
구한다
-
팔로우 알람 왔을 때 되게 신기했었는데 그리고 나같은 일반인 팔로우 아예 안...
-
갑자기 11
-
파이널 국어 0
아수라 총정리과제+김승모+이감온라인하반기+이감학원용 3-4~6-2+언매n제 이렇게...
-
ㅇㅇ 고민글에도 닥돌하네
-
본인 머리길이 인증 15
지피티 사진이긴 한데 진짜 저 만큼 옴
-
못보던 사람들이 많아
-
빨리 고르샘 2
-
첫 정답자 5000덕 14
방법만 알면 진짜 매우 쉬움
-
님들은 4
국어 오답 어떻게 해요? 저는 답인 선지가 왜 답인지, 내가 어떤 생각을 못했는지...
-
나는 언제쯤 저정도로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글을 쓸 수 있을까 나는 관심끌기에 재능이 없는거 아닐까
-
비핵화 저자님 ..제자여서 뭐 배운내용이 묻어나는건 그럴 수 있지만 11
어디서도 배운적 없다고 한다음에 필기 내용 구조까지 복붙인데... 비핵화는 그나마...
-
돌고래 = Dolphin 이니까 돌빼고 고래 = Phin 일케됨?
-
99 97 94 93 90 88 72 양극단 제외시 97 94 93 90 88...
좋은 글 감사합니다 선생님
그냥 오늘 리트날이라 생각나는대로 막 써본 뻘글인데 그렇게 말씀해주시니 감사합니다...
그런 내용을 알수있는 사람은
수능국어와 리트 둘다풀어본사람일텐데
뜻을 이해하고 쓰던사람들이
커뮤에서 쓰기 시작하니까
그냥 일반학생들도
어느순간부터 어렵다=리트화되었다
이런 뉘앙스로 쓰는거 같긴해요
저는 수능국어 따위에 리트를 비견하는 것 자체가 결례라고 생각해요. 수능시험은 최소한 지문근거로 추론할 수 있게 나오고, 모든 선지가 추론적인 경우는 없는데 리트는 모든 선지가 추론해야 하거나, 지문을 근거로 명확히 답을 찾을 수 없고 상당한 개연성만 느껴지는 경우도 많아서요.
딱 들어맞진 않지만, 도구를 쓰는 원숭이를 보고
원숭이가 인간화 됐다고 하는 느낌이랄까...?
근데 추론에 오지게 강한 애가 따로 있긴 하더라고요
그 영역은 공부 1도 안하고 쓸어버리던데
꼼꼼히 읽고 찾아라->이런건 그냥 덤벙거리는지 틀림 ㄹㅇㅋㅋ
근데 지문에서 추론하는것과
지문밖 지식까지 알고서 근본 추론을 하는것에서
결국 리트가 이긴다고 생각함
수능 국어대비도 리트 기준은 쉬운 지문만 가능
언어영억땐 듣기도 있었으니까요
정독했습니다.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