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 Sapiens trial 사회·문화 실전 모의고사 2회 배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79052
2026 Sapiens trial 1회.pdf
2026 Sapiens trial 2회.pdf
2026 Sapiens trial 1, 2회 정답 및 코멘트.pdf
안녕하세요? [Prime] Headmaster입니다.
이전에 안내했던 대로, 사회·문화 실전 모의고사 2회를 무료로 배포합니다.
이전에 배포했던, 그리고 앞으로 배포할 6평/9평/수능 대비 사피엔스 모의고사와는 다르게, 본 모의고사는 24/25수능과 유사한 수준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본 모의고사를 활용함에 있어서는, 모래주머니의 목적보다는 말 그대로 실전 연습의 목적에 초점을 두시기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모의고사를 풀어 보신 분들은 댓글 또는 글로 후기 한 번만,,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게 자료 제작자에게는 큰 힘이 됩니다 ㅎ
그럼 다음에 더 유익한 자료 또는 정보와 함께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수정] 1회 3번 문제의 배점은 3점입니다!
0 XDK (+5,100)
-
5,000
-
100
-
자고일어났는데 5
존예여고생이 되어있으면 좋겠다..
-
아닠ㅋㅋㅋㅋㅋㅋ 4
???
-
이차함수 문제 27
110730 요론것도 잇음
-
덕코주세여 12
-
A B C 순서대로 읽으면서 푸나요 아니면 한두문장 읽고 다음인 거 같은 순서로 푸나용…
-
양적으로 어떤편인가요 객관적으로 내 위치를 알고싶음 물론 쉬4는 거의 없긴함
-
12명이 이렇게나 안모이네
-
줄여서 수모상대
-
7덮국 0
공 66 7 신도 인간 외부에 있는데 왜 3했지? 12 그냥 순수도였구나! 17 걍...
-
자작문제 풀이 9
이거 풀이
-
특히나 본질적인 부분이 안 드러나고 표면적인 것만 보이는 입장에서는..
-
ㅇㅅㅇ
-
식인 야만족 수십만을 수백의 군사로 때려잡은 상남자이자 위대한 탐험가 개멋있음
-
어그로 끄는거랑 실검 단어 집어넣는건 어디서 배워오는거임 볼때마다 어이가 업슴요
-
머지 0
일본 책 원작의 k팝 감성 뮤지컬??
대 마
ㅖ?
초

Goat
바로 개같이 받아먹기컷은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수능기준으로
감사합니다. 아는 사람은 보이는 퀄의 차이. 근데 무료 배포.
선생님 1회 15번 해설에 B수급자 비율 72 아니라 52인거같아요..!
이미 한분이 구해주셨구나 굿굿
1회 모의고사 풀었는데 44 점이고 찍맞 하나 있어요
모의고사 퀄리티 대박이네요 ... ㄷㄷ
5번에 읽으면서 화상 , 채팅만 구분 잘해줬으면 잘 풀 수 있었던 문제 같고요
6번이 어려워서 처음에 막혔었어요 다시 보니 풀었지만
ai 관련기술의 성작이 음악작곡 ----> 전체성 이게 처음에 생각이 안나서 ㅜㅜ
정리를 잘해야하는 문제 같아요
7번 오답이요 3번 골랐는데... 갑이 속한 비공식 사회화 ( 동아리 회사 시민단체 가족 ) 병 이익사회 ( 회사 동아리활동) 이렇게 봤어요 ..
9번 수특이랑 비슷했어요
11번은 1번 선지가 정말 장난아니었습니다
문제 너무 좋았어요
14 번 보기에 너무 끔찍해서 .. ㅎ 넘어갈려고했었는데
각 구분에 들어가는 이론들 써놓고 갑부터 첫번째 답변에 틀렸다는 것을 기본으로
c 가 머튼이라면 ?? 이라는 가정으로 풀었더니 잘 풀려써요
15번 찍맞이요 ... 인구수 변환이 어려웠어요 ..
16,17,18 을 무난했고
19번이 ㄷ 선지 판별이 좀 걸렸긴했는데 ( 각각의 서술에 맞는 사회 적어두고 눈풀이로 풀었어요 )
ㄱ 판별하고 ㄷ바로 가서 쳐내니까 답이 바로나왔어요
20번 틀렸어요 ..
오,,,소중한 후기 감사합니다!
모고 푸느라 수고 많으셨어요 ㅎㅎ
아 사피엔스님은 1회 7번문제의 가장 이상적 풀이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해설처럼 빠르게 표로 나타낼까요??
네네 표로 정리하는 게 베스트라고 봐요!
감사합니다!!!!
2회 8번은 ㄴ보기가 기능론의 입장이라서 틀리지 않나요? 또 같은 회차 11번은 2번도 답이 될거같아요 해설지에는 코맨트가 없어서 여쭤봅니다
8번 ㄴ은 기능론의 입장이 아니에요! 오히려 기능론은 사회 불평등이 있기에 사람들이 더 노력할 수 있으니 사회 불평등을 긍정적으로 봐요
11번 2번은 '책임을 진다'의 영역이 나타나 있지 않아서 답으로 볼 수 없어요!
그럼 갈등론이 사회 불평등을 병리적현상으로 본다는게 참인가요..?
네네
갈등론은 사회 불평등 현상 <- 기득권층이 자기 멋대로 만들어둔 사회적 환경의 산물이라고 여겨서
사회 불평등 현상을 병리적으로 보죠
아아....
책임을 지는걸 피해를 보는거라고 해석하면 2번도 될거같은데 아닌가요?
그렇다 해석을 한다 하더라도
'가장 적절한' 것으로 볼 수 없으니,,
음... 알겠습니다
1회차 10번에 혹시 누락된 조건이 있는 건가요?
모래시계형 계층 구조는 상층이 하층보다 작아야 해요
감사합니다 1번에 4번 선지에서 둘 다 수치화 분석이 가능하지만 유리한 건 자연현상인 거죠?
네네
1회 20번 해설에 오류가 있는 것 같은데 확인해 주실 수 있나요...?
분명 발문에서는 t+50년의 전체 인구 대비 부양 인구의 비율이 t+100년보다 20% 높다고 했는데, 해설에 나와 있는 자료에서는 10%밖에 차이가 안 나는 것 같아요.
저도 방금 풀었는데 t+100년이
노부유 60 48 12 해서 1번골랐는데 틀렸네요
아래댓 참조해주세요!
그거 %p랑 %를 헷갈리신 거에요!
50->60은 10%p, 20% 차이가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