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즈과학고 [1399926]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07-16 00:48:10
조회수 90

검정고시가 어려워져야 하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46815

검고를 보는 이유는 

ㄱ. 만학도

ㄴ. 천재의 대학 조기진학

ㄷ. 학교 부적응 / 대안학교(삼육 등) 

ㄹ. 문화체육관광 / 노동

ㅁ. 내신 낮아서 생기부 없애려고


다섯 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음


ㄱ 케이스의 경우, 고교 진학이 흔하지 않은 시절의 사람은, 회사 경력을 위한 50대 이하가 아니라, 이미 은퇴했을 60후반임. 이들에게 고교 졸업장은 자존심일뿐, 실리적으로 써먹을 곳이 없음. 자존심 때문에 이들을 배려할 필요는 없음.


ㄴ 케이스의 경우, 천재고 고등학교를 건너뛰고 싶다면,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어떤 문제가 나와도 풀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ㄷ 케이스의 경우, 각각 자기가 학교를 못 견뎌서, 부모가 극단적인 사상에 빠진 것인데, 이들을 배려해줄 필요가 있는가?


ㄹ 케이스의 경우, 자기가 예체능,자영업, 노동 등은 학력이 필요없어서 자퇴한 것 아닌가? 학교에서 배울 필요는 없는데 졸업장은 필요하다고?


ㅁ 케이스가 가장 열받는 경우인데, ㄹ과 마찬가지로 학교 교육은 가치가 없으니 필요 없으면서 졸업장은 필요하거니와 ㄴ케이스와 마찬가지로 자신 있으니까 나가는 것 아닌가? ㅁ 케이스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 때문에 무너지는 공교육은? 학교가 입시만을 위한 공간인가?


공인중개사는 4지 선다, 60점 커트라인 절대평가임에도 불구하고 한자리수의 합격률

사법시험 1차는 여기에 더해 오픈북인데도 한자리수 합격률이다


검정고시도 이정도 난이도로 출제해야 공교육을 지킬 수 있다 


더불어서, 고교 졸업 자체도 검정고시와 비슷하거나 낮은 난이도의(3년간 물리적으로 학교를 다닌 시간을 생각해) 졸업 시험을 봐서 일정 성취도 아래이면 유급해야한다고 봄. 


학력은 학교에 나와서 수업을 듣고, 나눔을 통해서 얻는 것이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