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적 읽기 [795473] · MS 2018 · 쪽지

2025-07-12 00:33:41
조회수 372

7모 국어 12번 오답률 1위인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00533

부분 긴장 콘크리트는 ~ 고정하중만 작용할 때 발생하는 인장응력이 상쇄되도록 긴장력을 준 것으로 ~ 이때 부재의 전 단면이 하중에 저항한다.


Q. 그러면 고정하중만 작용하는 상황이 아니라, 추가로 하중이 작용하면? 그래도 부재의 모든 단면이 하중에 저항하는가? 이것이 지문으로부터 추론 가능한가?


.

.

.


A. 추론 가능하다.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한, 추가로 하중이 작용한다고 해서 부재의 어느 부분이 갑자기 하중에 저항하지 않게 될 이유가 없다.


균열이 발생한다면 그 부분은 하중에 저항하지 못하겠지만, 균열이 없는데 하중은 전체에 전달되는 게 당연하지 않은가?


하지만 이렇게 추론하면 문제의 답을 고르지 못했다.


지문에서 명시적으로 언급한 것은, "고정하중만 작용할 때" 전 단면이 저항한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하중(활하중)이 추가로 작용할 때는? 지문에서 언급하지 않았으니 알 수 없다는 논리로 출제한 것일까?


.

.

.


메가 기준 1등급 학생들의 오답률이 38%이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