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가 이과가 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그냥 받아들여야 할까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90291
내년에 고등학교를 가야 하는데, 갈 고등학교를 결정하는 데엔 제 진로를 문과쪽으로 할 것인지 이과쪽으로 할 것인지가 가장 중요할 것 같은데 이걸 결정하는 것부터가 문제입니다. 사실 대한민국 현실.. 들어보면 이과가 문과보다 더 잘 벌고 기회도 더 많잖아요. 대한민국 학생이라면 본인 성향과 관계없이 이과 계열로 대학을 진학하길 희망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마찬가지고요.
부모님께선 제가 감히 약대에 진학하길 원하십니다. 저도 된다면 가고는 싶다만... 수학을 풀 때 지능의 한계에 도달하는 기분이 듭니다. 그렇다고 수과학이 싫은 건 절대 아닙니다. 새로운 개념에 대한 흥미가 있고, 관련 문제가 풀린다면, 그리고 맞힌다면 정말 큰 쾌감과 행복함을 느낍니다, 맞히는 일이 자주 있는 게 아니라서 문제일 뿐..
사실 저도 잘 압니다. 저는 뼈속까지 문과입니다. 어려서부터 언어와 관련된 영역에서 두각을 보였고 남들보다 더 큰 이해도와 흥미를 가졌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부정하고 싶습니다. 제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건 적성에 맞는 직업보다 더 나은 워라벨과 연봉을 가진 직업이기 때문입니다. 적성에 맞는 일은 취미로 해도 되잖아요.
이과는 재능의 영역이 어느 정도 있겠죠? 좌절감이 드는 요즘입니다. 저도 남들처럼 수학문제 보고 바로 풀어내고 싶은데 신유형을 접하면 그게 잘 안돼요. 모든 과목에 흥미는 가지고 있지만 흥미만 가져선 성공할 수 없잖아요.
아니면 남은 한 학기동안 제가 이과가 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요?
이런 고민을 해야 한다니 대한민국이 조금은 원망스럽기도 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7모 화학1 손풀이입니당 알아보기 힘든게 있다면 댓글로 질문해주세용 3번 되베라이너...
-
올려줄 자신 있다. 버티기만 하면 2까지도 ㄱㄴ
-
굳이 들으라고 권하고 싶진 않은 강의임. 실전개념들을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
-
영카츠 맛있나요 5
-
시간 내에 문제를 다 푼 게 처음이고 100점도 처음이네요 물론 집모고 교육청이지만...
-
님들은 어캐생각함?
-
음
-
네, Perplexity를 사용하지 않은 말투로 작성했어요! 왕복 네시간 걸려서...
-
아이디가 본명이라 박제당해서 몬함.. 내 신상은 사이버 눈알보다 소중하다
-
수학 문제 풀 때 나오는 자잘한 실수들에 대해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신 것...
-
길가다가 남자애가 옆에 여자애한테 여자질 하지 마라는데 6
착한 생각.... 착한 생각...
-
퇴근언제하냐 6
시간 ㄹㅇ안가네 이거..
-
국어 어휘틀? 수학 20틀? 수능이었으면 재수각임
-
수능수학 3등급수시 의대면 수능수학과와 햐도 되냐? 4
참고로 7모 66점인데... 좋은 곳 입학하면 뭐 수시여도 정시 적백 치대...
-
그어떤 강도의 고통도 만회할 영원한 무한의 행복이 사후에 있기 때문.
-
그러면 손풀이를 어케함.... 머노
-
해설지를 훑어보니 다른 문제들은 굉장히 훌륭하게 풀어주셨는데 15번 해설에는 좀...
-
9모 때 올2뜨면 수능 때 보통 등급 어떻게 뜨는편임? 4
옛날에 추천글에 9모 1등급이 수능때도 1등급 맞을확률이 70%?정도 된다는 글이...
-
씨발 수학 존나 해도 안돼 지능차이야 저능안 극복 못해
절 대 자 신 에 맞 는 길 을 가 줘
너가 원하는걸 하라고 제발

대한민국 이과출신 대통령이 누가 있나요?있긴 합니다 선배님..
큰 돈을 바라는데 수학을 못 하는 것 같으면 걍 수학 ㅈ빠지게 해야댐
저는 수학 4등급 받을때도 있었지만 컴퓨터공학과 가겠다는 꿈 때문에 그냥 이과 계속 하고있습니다.
솔직히 저보단 수학에 재능 있으실거 같으니 너무 자신없어하진 마세요.
아직 중3밖에안됐는데 남들만큼,혹은 정말잘하는사람들만큼 못한다고 좌절할게 절대아님 솔직히 그때는 재능에 대해 운운하는게 매우 성급한시기라 생각함 아직 갈길은 멀고 시간은 많으며 그만큼 노력의 가능성이 남아있다 생각함 자기가 하고싶은걸 했으면좋겠습니다
문디컬 찾아보세용
공부는 못하는 고3 현역이지만, 같은 고민을 고1때 했던 입장에서 조심스럽게 말씀드리자면....
그냥 문과가 가고 싶으면 문과에 가는 게 맞는 거 같습니다
오르비처럼 뛰어난 분들이 많은 집단에서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적어도 저처럼 평범한 사람들에게 있어 적성은 생각보다 중요한 것 같아서요
학업 성취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면에서...
고3이라 사회를 너무 모르고 하는 얘기일지도 모르겠지만 저는 문과에도 기회는 많고, 잘 벌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과라고 전부 9급 준비하고, 중소기업을 준비하는 게 아니고 이과라고 전부 대기업에 취업하는 게 아닐 것입니다
그리고 결국에 사람 사는 것은 다 비슷하니까요
문이과 선택에 그리 연연하지 않으셔도 될 거 같습니다
(물론 문과에 비해 이과가 상대적으로 전망이 좋은 것은 사실이니, 이러한 것과 자신의 적성과 잘 고려하여 진로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사실상 인문사회계 기피 현상이 어나고 있는 지금, 평범한 문과생1로서 문과가 마냥 이과의 하위호환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나도 수학에서 벽느꼈었는데
수학을 지식 싸움으로 가져와보셈
안되는거 두시간 세시간 박지말고 바로바로 해설 보고 아이디어 학습하고
압도적인 수학 실력을 원하면 이렇게 하면 안되지만 적당히 1등급 + a 를 원하면 이정도만 해도 된다고봄
나도 이렇게 해서 올해 실력 많이 늘렸고
진로 관련은 내가 말하기엔 너무 쉽지않은거라 뭐라 못할거같은데
고등수학은 지식 싸움으로 끌고가면 어떻게든 성적이 나오긴합니다
올바른 방향으로 열심히만 하면 됨
근데 나도 하고싶은건 있지만 님처럼 약대가서 취미로 하려는 사람인데
그냥 꿈 찾아가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봐요
난 하고싶은게 있는데도 그걸 못하고있는거라 매일매일 너무 힘듬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