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풀 때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83982
만약에 식이 f=g=h 이렇게 있으면
f=g 쓰고 g=h 이렇게까지만 정리하면 되는 건가요?
아니면 f=h도 써야 하나요?
제가 이런 논리쪽을 몰라서요...
f=h 써도 어차피 위의 두 식으로 도출할 수 있는 똑같은 정보가 나오게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번에 에피 가능할거 같은데
-
풀다가 머리 터질거같네
-
연계좀;;
-
10번에 노랑색깔 부분을 통해 강재의 인방력도 어쨌건 인장력이니 이동하는 사람이니...
-
둘 중 하나만 푼다면 뭐 풂
-
군대가면 연애고 뭐고 뇌 비울수있나요 ㄹㅇ급해요
-
1호만 있어도 수시정시 안 가리고 만점의 30% 깎는다는데 이정도면 우수한 학생도...
-
얘 아이폰 쓰네 4
-
공통은 그냥저냥 무난 미적이 좀 맵군요 28은 그닥인데 30이 꽤 맛있네요 전체적인...
-
자료만 풀지 수업을 들을지를 못정함 탐구긴한데 내가 막 굳이 3시간 반씩 수업...
-
델몬트로는 부족하지만 ,,
-
잇올 남녀분반 3
잇올 남녀분반인가요?
-
어찌생각함
-
영어,국어 읽기할때 졸리는것같아요
-
고1 수학 세특 6
행렬 가지고 세특 쓰려 하는데 행렬을 이용한 게임 이론 보상 구조 분석 -> 이런거...
-
내공냠냠, 즐 사절
네 어짜피 도출할 수 있는 정보량은 등식 두개가 끝이에요
f=h하면 빙빙돌게됨
다만 계산이 좀 더 편해지거나 할 수 있음
윗분 말씀처럼, 이미 알고 있는 정보를 새로운 정보인 줄 알고 다시 보게 되는(빙빙 돈다고 표현하신 내용) 문제가 있습니다만... 저같은 경우는 보통 다 써요. 조금이라도 더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를 보고 싶어서
쓰는 식이 새로운 정보인지 아니면 이미 이전에 쓴 식으로 나온 정보인지는 딱 보고 판단하는 노하우는 없을까요?ㅜㅜ
어떤 상황에 이게 좋다! 이런 게 있는 게 아니어서... 결국 이것도 경험이 많이 쌓여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