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의 역이 안성립하는 이유가 뭐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71975
1시에 밥먹다->2시에 똥싸다
2시에 똥싸다->1시에 밥먹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님들 본명 성 뭐임 33
난 강 씨임
-
근데 혹시 나 성인인데 18
이런거 어케 없앰.. (이상한거 검색안함)
-
오로라 탈릅 원하면 23
덕코좀
-
잘 끝낼 수 있을까
-
하늘에서 뿅하고 나오길 기대중
-
닉이 너무 긴듯 18
좀 줄일필요가 있음
-
잠온다가 애교지…
-
대체 뭐임 ㄷㄷ
-
학원 학생들이 잘 쳐야할텐데
-
@kiboupoietin 입니당
-
너무 유치함..... 진짜 왜저러지 싶음 ....
-
아직 아기같음 05부터는 개늙엇음
-
실전개념 강의 들어본 적 없는데 다 들으려면 시간이 무지막지하게 걸릴 것...
-
맞팔구 14
-
3/3 4/4 ?
정사각형은 직사각형이다 ㅇ
직사각형은 정사각형이다 ㄴ
사실 직사각형이 정사각형인거아님?
결론
어떤 명제 'A이면 B이다'가 참일 때, 그 역인 'B이면 A이다'가 항상 참이 아닌 이유는 B가 성립하게 만드는 다른 원인(A가 아닌 다른 경우)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B를 만족시키는 경우가 오직 A밖에 없다면 (이때 A는 B의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합니다), 그 명제의 역도 참이 됩니다.
ㄳㄳ
대쿠리는 다른 뭔가가 숨어있을거라 생각??
왜냐하면 가추,귀납,연역의 과정을 추론결과를 다시 전제로 쓰는 방식을 통해 최대한 많은 3가지 추론횟수를 적용하면 A<->B<->C 가 되는데, 이걸 다른말로 하면 명제의 역이 성립하는것이 최대한의 추론횟수 적용과 같아진다는거임..
그러니까 가추,연역,귀납 추론을 최대한 적용하면 명제의 역을 참으로 받아들이는게 그 과다추론과 동일하다는거임
대쿠리 왜이리 똑똑함? 나한테는 어렵다
안어려운건데 내가 멍청하게 설명해서 어렵게 들리는거임
끄덕끄덕 이해함이제
꾸준추
비가오면 땅이젖는다
하지만 땅이 젖었다고 비가 왔을지는 알수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