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원 영어 pdf에서 txt 추출하기(python)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761517
영어 pdf에서 txt 추출.txt
2606.txt
평가원 영어 시험지 pdf에서 txt 추출하는 파이썬 코드임
필요해서 만들어 봄
pip install PyMuPDF
라이브러리 설치 필요
코드 원문
================================================================
import fitz
import os
import re
def clean_and_format_text(text: str) -> str:
"""
추출된 텍스트 청크를 문제/선택지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모든 예외 규칙에 따라 서식을 정리합니다.
각 정규식은 특정 예외 케이스를 해결하기 위해 논리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
# 1단계: 초기 정제 - 후속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텍스트를 한 줄로 정렬하고 기본 서식을 정리합니다.
# 모든 줄바꿈 문자(\n)를 공백으로 변환하여, 여러 줄에 걸쳐 있던 텍스트를 다루기 쉬운 한 줄의 문자열로 만듭니다.
processed_text = text.replace('\n', ' ').strip()
# 단어와 공백으로 떨어진 문장부호(.,?!)를 단어에 붙입니다. (예: "단어 ." -> "단어.")
# \s+는 하나 이상의 공백을, ([.,?!])는 문장부호 그룹을 의미하며, \1은 찾은 그룹(문장부호)을 가리킵니다.
processed_text = re.sub(r'\s+([.,?!])', r'\1', processed_text)
# 두 개 이상의 연속된 공백을 하나의 공백으로 통일하여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s{2,}', ' ', processed_text)
# 2단계: 구조적 줄바꿈 삽입 - 문맥을 파악하여 문단 구분이 필요한 곳에 줄바꿈 문자를 삽입합니다.
# '[숫자~숫자]...답하시오.' 형식의 장문 독해 안내문 전체를 별도의 문단으로 분리합니다.
# ( )로 묶인 전체 패턴을 그룹(\1)으로 찾아, 그 앞과 뒤에 줄바꿈을 추가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d{1,2}~\d{1,2}\].*?답하시오\.)', r'\n\n\1\n', processed_text)
# '[3점]'과 각주 기호 '*'가 붙어있는 특정 케이스를 분리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d점\])\s*(\*)', r'\1\n\2', processed_text)
# 한글 또는 닫는 괄호')' 뒤에 대괄호'['가 오는 경우(예: ...상쇄하다[36~37])를 찾아 줄바꿈을 추가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가-힣\)])\s*(\[)', r'\1\n\2', processed_text)
# 일반적인 각주 분리 규칙. 단어의 끝으로 간주되는 문자들 뒤에 각주 기호 '*'가 오면 줄바꿈을 삽입합니다.
# [a-zA-Z가-힣0-9.,?!")’\']는 단어의 끝을 구성하는 다양한 문자셋을 의미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a-zA-Z가-힣0-9.,?!")’\'])\s+(\*)', r'\1\n\2', processed_text)
# '고르시오.', '것은?', '문장은?'으로 끝나는 문제 제목과 본문을 분리합니다.
# (?:...)는 캡처하지 않는 그룹을 의미하며, 제목 뒤에 선택적으로 오는 '[3점]'까지 하나의 단위로 묶어 처리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고르시오\.|것은\?|문장은\?)(?:\s*\[\d점\])?)\s*', r'\1\n', processed_text)
# 요약문 기호 '?'를 찾아, 그 앞뒤로 충분한 간격을 주어 별도의 문단처럼 보이게 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s*(?)\s*', r'\n\n\1\n\n', processed_text)
# 각주와 선택지(①)가 한 줄에 붙어있는 경우를 분리합니다. (2차 방어 로직)
processed_text = re.sub(r'(\*.+?\w)\s*(①|②|③|④|⑤)', r'\1\n\2', processed_text)
# 원문자 뒤에 공백이 없는 경우(예: ①단어) 공백을 강제로 추가합니다.
# (?!\s)는 '부정형 전방탐색'으로, 뒤에 공백이 오지 않는 경우에만 패턴을 일치시킵니다.
processed_text = re.sub(r'(①|②|③|④|⑤)(?!\s)', r'\1 ', processed_text)
# 문제 번호를 인식하여 그 앞에 두 번 줄바꿈을 삽입합니다.
# (?<!\d)는 '부정형 후방탐색'으로, '숫자+점' 패턴 앞에 다른 숫자가 없는 경우에만 일치시켜 '2022.' 같은 연도를 문제 번호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d)\s*(\d{1,2}\.)', r'\n\n\1', processed_text)
# 선택지 기호(①) 앞에 줄바꿈을 삽입합니다.
# (?<!\()는 '부정형 후방탐색'으로, 원문자 앞에 여는 괄호'('가 없는 '진짜' 선택지에만 적용하여, '(①)'과 같은 문장 삽입형 기호는 제외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s(①|②|③|④|⑤)', r'\n\1', processed_text)
# 장문 독해의 문단 표식( (A), (B) 등) 앞에 두 번의 줄바꿈을 삽입하여 문단을 나눕니다.
# 문장 종료 부호(.?!”’) 뒤에 오는 경우만 실제 문단 표식으로 간주하여, 선택지 내부의 '(A)' 등은 제외합니다.
processed_text = re.sub(r'([.?!"]|”|’)\s+(\([A-Z]\))', r'\1\n\n\2', processed_text)
# 3단계: 후처리 - 구조화된 텍스트를 최종적으로 다듬습니다.
# 여러 줄로 나뉜 각주들을 하나의 줄로 통합하며, 각주 사이에 공백을 두 개 삽입하여 가독성을 높입니다. (2회 반복하여 ***까지 처리)
processed_text = re.sub(r'(\*.+)\n(\*+.+)', r'\1 \2', processed_text)
processed_text = re.sub(r'(\*.+)\n(\*+.+)', r'\1 \2', processed_text)
# 3개 이상의 연속된 줄바꿈을 2개로 줄여, 의도적으로 만든 문단 간격(빈 줄 하나)은 보존하고 불필요한 간격만 제거합니다.
final_text = re.sub(r'\n{3,}', '\n\n', processed_text)
return final_text.strip()
def extract_combined_text_from_pdf(input_pdf_path: str) -> str:
# (이전과 동일)
try:
doc = fitz.open(input_pdf_path)
except Exception as e:
print(f"오류: PDF 파일을 열 수 없습니다. 경로: {input_pdf_path}, 오류: {e}")
return ""
all_text_parts = []
MM_TO_POINTS = 72 / 25.4
page_margins = {
0: {'top': 75 * MM_TO_POINTS, 'bottom': 40 * MM_TO_POINTS},
'default': {'top': 54 * MM_TO_POINTS, 'bottom': 40 * MM_TO_POINTS}
}
print(f"'{os.path.basename(input_pdf_path)}' 파일 ({len(doc)}페이지) 텍스트 추출 중...")
for page_num in range(len(doc)):
page = doc.load_page(page_num)
page_rect = page.rect
page_width, page_height = page_rect.width, page_rect.height
margins = page_margins.get(page_num, page_margins['default'])
top_margin, bottom_margin = margins['top'], margins['bottom']
mid_x = page_width / 2
left_rect = fitz.Rect(0, top_margin, mid_x, page_height - bottom_margin)
right_rect = fitz.Rect(mid_x, top_margin, page_width, page_height - bottom_margin)
for rect_area in [left_rect, right_rect]:
raw_text = page.get_text("text", clip=rect_area)
if raw_text.strip():
formatted_text = clean_and_format_text(raw_text)
all_text_parts.append(formatted_text)
# 최종적으로 합치기 전에, 각 파트의 앞뒤 공백을 다시 한번 정리하여 일관성을 높임
cleaned_parts = [part.strip() for part in all_text_parts if part.strip()]
return '\n\n'.join(cleaned_parts)
if __name__ == '__main__':
base_folder = r'D:\영어 문제지'
output_folder = os.path.join(base_folder, 'txt')
if not os.path.exists(output_folder):
os.makedirs(output_folder)
try:
all_files = os.listdir(base_folder)
except FileNotFoundError:
print(f"오류: '{base_folder}' 폴더를 찾을 수 없습니다. 경로를 확인하세요.")
exit()
pdf_files = [f for f in all_files if f.lower().endswith('.pdf')]
if not pdf_files:
print(f"'{base_folder}' 폴더에 처리할 PDF 파일이 없습니다.")
else:
print(f"총 {len(pdf_files)}개의 PDF 파일을 처리합니다.")
for pdf_filename in pdf_files:
input_pdf_path = os.path.join(base_folder, pdf_filename)
combined_text = extract_combined_text_from_pdf(input_pdf_path)
if combined_text:
# === 최종 후처리 단계 (전체 텍스트 대상) ===
# 1. 불필요한 안내 문구 목록
lines_to_remove = [
"1번부터 17번까지는 듣고 답하는 문제입니다. 1번부터 15번까지는 한 번만 들려주고, 16번부터 17번까지는 두 번 들려줍니다. 방송을 잘 듣고 답을 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듣기 문제가 끝났습니다. 18번부터는 문제지의 지시에 따라 답을 하시기 바랍니다.",
"* 확인 사항 ◦답안지의 해당란에 필요한 내용을 정확히 기입(표기)했는지 확인 하시오."
]
for line in lines_to_remove:
combined_text = combined_text.replace(line, "")
# 2. 탭(tab)으로 정렬할 특정 선택지 블록 처리
def tab_format_choices(match):
# 찾은 블록의 줄바꿈을 탭으로 변경
return match.group(0).replace('\n', '\t')
pattern = r'(?:^[①②③④⑤]\s*\([a-e]\)\s*\n){4}^[①②③④⑤]\s*\([a-e]\)$'
combined_text = re.sub(pattern, tab_format_choices, combined_text, flags=re.MULTILINE)
# 3. 위의 처리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과도한 줄바꿈 정리
combined_text = re.sub(r'\n{3,}', '\n\n', combined_text).strip()
# 최종 결과 저장
base_filename = os.path.splitext(pdf_filename)[0]
output_filename = f"{base_filename}.txt"
output_filepath = os.path.join(output_folder, output_filename)
with open(output_filepath, 'w', encoding='utf-8') as f:
f.write(combined_text)
print(f"-> 최종 결과가 '{output_filepath}' 파일에 저장되었습니다.")
print("\n모든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캬 6
진짜……. 19등출발에서 포디움진짜 캬…
-
1등급을 받을 수 있었을까 한비자 25분쓰고 죽었는데 16만 틀리긴 했는데 갑자기...
-
구질구질하게 미련갖고
-
방금 쟀는데 172 나옴 오래 앉아있어서 그런건가? ….. 안그래도 작은데 더 작아지면 ㅠㅠㅠ
-
ㅇㅈ하는건 1
오르비언들의 관심이 필요했던 거임. 언젠가 수능 끝나면 찐으로 인증 해봄. 체형하고...
-
젊음의 소중함을 이제야 깨닫네
-
물리 수완 실모 0
4회까지 풀었는데 1회빼고 어째 다 물임. 전부 20분컷임 ㄹㅇ 좀 빡빡하게좀 내주면 안되나
-
국어잘하고싶다 0
ㄹㅇ
-
반박시니말틀림 진심 답이 없음 이 성적은 대학을 어딜 가도 받아들여야됨
-
재수생이라 작년에 안푼게 꽤 있는데 지금 풀어도 괜찮을까요??
-
수학 88점이면 4
작수보다 더 어렵다는 전제하에 백분위 97정돈가요
-
도파민이 터져나옴. ㅇㅈ메타를 경험한 뒤로는 도파민이 너무 약해짐.
-
letsgo_uos
-
왜냐면...
-
ㅈㄱㄴ
-
윤도영이 11
왜 이렇게 말한거임?
-
추천친구에 본계 친구들 뜨네
-
그정동가
-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
이런식으로 매일 캡쳐해서 올렷엇슴.. ㅈㄴ추억이네
-
확통 만점 1
개념,쎈 돌렸다치면 만점 몇달정도 보시나요
-
인문반으로 3합3인데 가능할까요???
-
보고싶은 오르비언들 11
ㅁㄱㅁㄱ ㅇㅅㅇㅊㅋㄹㅅㅈ 내척친밀감max였는데 중간기말에 치이다 돌아오니까 사라져있음....
-
앙대 되나
-
오루비 잘자요ㅛ
-
싼티쌤 책이 안와.. 17
하 낼도 영어 안하겟네 개꿀
-
생1 고수님덜..(N수생이면 더 좋아요) 모고(edge core 브릿지)를 풀다...
-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겠다
-
헝그리헝그리 5
벗 아이고투베드
-
?=2 맞나요
-
옯슽 ㅏ 5
seriniye
-
ㅇㅅㅇ?
-
좀 바람직하지 않은거가틈
-
이름만 들어도 졸라웃기네ㅋㅋ 그래서 저게 뭔스킬이라고?
-
3헉년 1학기 끝나고 수능 준비하는데 학교애서 거의 풀자습 학교 끝난 후에 저녁먹고...
-
흠냐링 9
라면먹는중
-
역시 이세계가 최고야 「수속성의 마법사」
-
지금 수논때메 개념은 돌린상태라 23~27은 풀 수 있는데 하아 어떡하지 진짜...
-
일단 나보단 잘봄
-
얘 6평 30보다 어거운 건가요? 아니면 그냥 평이한 벡터 문제인가요?
-
근데 이걸 이렇게꼰다고?싶은애들도 있어서 ㅜ
-
계산실수랑 착각을 너무많이함 예를들어 1/r + 1/r = 1/2r이라 한다던가...
-
와..
-
본가가서 누워있을래
-
걍 솔직하게 얘기하면 스카이까지가 자명한 사실이긴 한데 좀 넓게 봤을 때 기준으로 ㅇㅇ
-
다들 뭐하세요?전 내신때도 외국어 안 해서 스페인어 처음부터 하는중
-
으흐흐
-
나는 이 지역 막 이사오고 초등학교 입학 준비하고 있었음
-
수학 기출 질문 0
김기현T 아이디어 2회독 끝나고 기출 병행하려는데 기생집4점이 부피가 너무 큰것...
천재인가
이런거 어떻게하는거임 다시봤어요
ㅋㅋㅋ 로직 생각해서 ai한테 던져주면 잘 만들어 줍니다
와 ㄷㄷㄷ
국어 코드도 있으신가유
국어는 맞춤법이 워낙 복잡해서 코드 짜도 이상하더라구요
영어는 그냥 단어로 딱딱 나뉘니까 괜찮은데
그래서 국어는 현재는 없습니다
어쩐지 제가 시도했을때도 잘 안되더니..
국어가 문제네요 ㅋㅋ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