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학교에서 성적표 받자마자 찍어둔거고, 물리는 가려져서 안보이긴 하지만 3등급...
-
공부 딱히 안하고도 1~2등급 뜨는 사람들? 근데 그런 사람들이 진짜로 있나
-
어차피 재릅할거면서
-
뭐 키가 크면 비율도 좋겠지만
-
액션 영화 추천 1
데자뷰 옛날 영화(2006년도에 나온 걸로 알고 있음요)라서 찾기는 힘들텐데 보는 맛은 확실함요
-
개ㅈ박았네 예? 나ㅈ박았네..
-
이번에 독학90사려는데 지금사면 90일이라 수능까지 한달정도 비는데 그때 한달권같은거 파나요?
-
2022~2025에 있는 20 21 22로만 구성하면 1컷은 몇일까
-
논란없는 사람임 물론 호감인지 비호감인지 그건 모르겠음 나도 모름
-
하아.. 노땅수험생힘들다
-
타인에 잘못에 조금은 너그러운 사회가 되면 좋지 않을까 싶음 2
나는 내 스스로 깨끗하고 도덕적으로 무결한 인간이 아니란 걸 알기 때문에 타인에...
-
x->inf 일때 f(x) 존재 안해요
-
.
방?대?한 텍스트량
3?

자료에 제시된 게 파니파트 전투(델리 술탄 왕조 몰아내고 무굴 제국 수립, 1526)인가..?티무르 왕조(1370~1507)
티무르는 같은 이슬람이지만 우상숭배를 허용하던 이교도인 델리 술탄 왕조를 공격했음
또한 오스만 제국(동방의 이슬람)과 앙카라 전투(1402)를 벌여 오스만의 술탄을 생포하기도 함
그리고 그들은 몽골의 후손을 자처했음
따라서 페르시아 문화와 튀르크 문화가 융합되었다는
1번 선지가 옳은 선지
++
2번 선지가 틀린 이유)
시아파 이슬람을 국교로 삼은 나라는
세계사 교육과정에서는
사파비 왕조(1501~1736)(국부인 이스마일 1세가
시아파 종교단체 수장)
부와이 왕조 (아바스 왕조 몰락시킨 왕조로 간단히 언급됨) 이 있음.
참고로 아바스 왕조는 시아파의 도움으로 건국되었지만 국교는 수니파 이슬람이었음
3번 선지가 틀린 이유)
아프가니스탄에서 인도 대륙으로 이동한 것은
아마 문제의 출제 의도로 보았을 때
바부르를 언급하는거 같음
바부르는 티무르의 내손(증손자의 손자)이고,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인도 아대륙으로 남하해서
파니파트 전투(1526) 승리 후 무굴 제국을 개창했지만
그를 티무르 자체라 보기에는 어려움
4번 선지가 틀린 이유)
상반된 종교정책이 시행된 것은
교육과정 내에서 무굴 제국(1526~1856)이 대표적.
아크바르 황제와 아우랑제브 황제의 이교도에 대한 종교 정책을 짚은 거 같음
5번 선지가 틀린 이유)
지중해 교역의 이익을 독점했다는 것을
티무르 왕조와 연관지어서 생각하면
아무래도 부자연스러운게
북아프리카의 맘루크가 티무르의 영향권이었던 것은
맞지만, 그게 곧 지중해 전체의 이권을 가졌다는 것으로
해석하기에는 약간은 어불성설이기 때문
선지 분석까지 완벽하십니다 제 의도를 완벽하게 읽어내셨어요 참고로 3번은 구르왕조도 해당하고 바부르도 해당하고 여러국가가 해당합니다
3 - 바부르? 선조를 없애버린 애들한테 복수하겠다는 건 우즈베크족 얘기같고
크아아악 세사러 자격박탈
실전에서ㅏㄴ 안 틀리면 그만이죠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