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티피플 공명 [834542] · MS 2018 · 쪽지

2025-07-03 13:22:53
조회수 81

i+1 이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688951

입력 가설에서는 학습자가 언어 습득에 성공하는 것은 'i+1'


이라고 하는 특별한 입력을 받은 경우라고 말하고 있다.


'i+1' 이란 학습자의 현재 지식 i 보다 경미한 정도의 미 (未)


습득 요소 1 이 더해진 학습 환경으로, 이 수준의 언어 정보


를 접했을 때 학습자는 이해 가능한 인풋을 얻게 되며, 인간


에게 선천적으로 타고난 언어 습득 장치가 작용한다고 보고


있다.


오직 'i+1' 수준의 인풋만이 언어 습득 장치를 작동시켜


무의식적 습득을 진행시키고 언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이다. 만일 학습자 입장에서 너무 어려운 과제나 간단한


과제를 할당받으면, 의미에 초점을 둘 수 없어 인풋이 0 이


되고 언어 습득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출처: 나무위키의 언어습득론 3. 제2언어 1.1 비교차 이론


입장 항목 (Tyler Rasch 의 타일러 볼까요? 너튜브 채널 영


상을 보다가 검색해봄)



역시 남자나 여자나 똑똑하고 박학다식한 사람들이 매력


있음 :)


rare-이더리움 rare-비트코인 rare-을지문덕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